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 Burnout: Focusing on the Latent Profile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학교조직풍토와 교사 소진의 관계: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8.07
  • Accepted : 2021.11.25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ir school's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performed using Mplus, and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teacher burnout rate between perception groups using three-step approaches. The participants were 3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erception groups were identified as 'closed', 'laissez-faire', 'average', 'controlled', and 'autonomous.' The groups had different teacher burnout rates. The closed group had the highest rate, while the autonomous group had the lowest.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uggests idea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유형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각 프로파일에 따라 교사 소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Mplus 3단계 접근법을 이용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은 5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관료지향이 높고 인간지향이 낮은 '폐쇄적 집단', 방관이 높고 친교/헌신/목표지향이 낮은 '방임적 집단', 모든 풍토가 중간 수준인 '평균 집단', 친교/헌신은 높으나 인간지향이 낮은 '통제적 집단', 마지막으로 인간지향은 높고 관료지향/방관이 낮은 '자율적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개 집단의 교사 소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 소진을 보조변수(distal auxiliary variable)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전체 소진 및 3개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무능감) 모두에서 폐쇄적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자율적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소진과 학교조직풍토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21). 2021 특수교육통계. Retrieved from http://www.nise.go.kr/ebook/site/20210803_092644/
  2. 구본용, 김영미 (2014).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7), 275-306.
  3. 김달효 (2020). 학교장의 민주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사기,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4), 79-92. https://doi.org/10.24159/JOEC.2020.26.4.79
  4. 김상돈, 김현진 (2013).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을 매개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0(4), 95-122.
  5. 김아영, 김민정 (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6. 김영한, 서영, 강소영, 구현진, 권수정 (2014).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4), 375-392.
  7. 김영한, 추경진 (2010).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413-432.
  8. 김은라, 박재국 (2017).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0(4), 47-68.
  9. 김은주, 김은라 (2017).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7(4), 345-363. https://doi.org/10.21024/PNUEDI.27.4.201712.345
  10. 김자경, 강영심, 안성우, 박재국 (2006).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1(3), 321-334.
  11. 김자경, 강혜진 (2020). 특수교사의 학생 문제 행동 지각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 특수교육논총, 36(3), 1-20.
  12. 김재엽, 장대연, 배성훈, 서대민 (2020). 군 초급간부의 부대 내 관계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5(3), 253-270.
  13.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태성, 허찬영 (2012).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KTX 승무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5(9), 3761-3780.
  15. 김현진, 전용관 (2011). 학교조직풍토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장의 과업지도성과 인화지도성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79-99.
  16. 김희경, 지현순, 류은경, 이현주, 연승은, 전미경, 김희정 (2004).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임상간호연구, 10(2), 7-18.
  17. 남택영, 김헌형 (2009). 호텔종사원의 소진현상이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0), 368-377. https://doi.org/10.5392/JKCA.2009.9.10.368
  18. 노종희 (1990).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8(2), 67-80.
  19. 문영주 (2018).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장공모제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1), 373-397.
  20. 박경옥, 김지연 (2021). 유.초.중등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잠재평균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22(1), 79-107.
  21. 박미화 (2016).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 109-128.
  22. 방제철, 표윤희 (2016).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에 대한 지각과 영향 관계. 특수교육, 15(2), 31-55.
  23. 배옥경, 김자경, 강혜진 (2013).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2), 147-169. https://doi.org/10.21075/KACSN.2013.15.2.147
  24. 서미옥 (2017). 초 중등 교사들의 소진과 개인 내적 요인, 직무요인 및 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31(4), 615-637
  25. 서석림 (1995).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 (燒盡) 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승인, 최은수 (2018).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조직 내 의사소통, 학습 조직문화, 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사학습 공동체 활성화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5(4), 41-70.
  27. 심덕섭, 최지호, 양동민, 문연희 (2011). 집단 내 갈등(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의 개념 구성과 인과 경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3), 1287-1307.
  28. 안우환, 권민석, 신재한 (2006). 교장의 미시 정치적 결합기제와 교사의 대응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1), 51-68.
  29. 엄문영, 길혜지, 이재열, 황정훈, 서재영 (2020).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8, 197-225.
  30. 오찬교, 정진자, 이예다나 (2019).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특수교육, 18(3), 83-109.
  31. 오혜정 (2014).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교육, 13(1), 273-295.
  32. 윤경미, 윤혜미 (2015).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03-528.
  33. 윤민희 (2020).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경은, 신효정 (2017).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교사 기본심리욕구와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9(1), 57-74.
  35. 이경화, 정혜영 (2009). 학교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21-133.
  36. 이광림, 이미숙 (2019). 중학교 일반학교 특수 교사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0(1), 65-87.
  37. 이상은, 조원일 (2009).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0(2), 1-32.
  38. 이영만 (2016). 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사교육연구, 55(4), 441-459.
  39. 이주영, 유재경 (2020). 교사학습공동체 풍토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교사소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109-134.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109
  40. 이현호, 홍지영 (2018).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와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2), 173-194. https://doi.org/10.15703/KJC.19.2.201804.173
  4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7494호, 2020. 10. 20. 일부개정).
  42. 정미경, 주영효, 정바울 (2013). 교사 업무경감 정책의 단위학교 추진 실태.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377-404.
  43. 정수경 (2017). 교사가 지각한 학교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직 헌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조민아, 이정화, 송소원, 장석진 (2010).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의 차이. 교원교육, 26(1), 93-111.
  45. 조인수, 김영학 (2013).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109-128.
  46. 주영효, 정주영 (2020). 중등교사의 교직만족도 영향 요인 및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6(2), 309-333.
  47. 최석봉, 정미영, 문재승 (2013).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갈등 및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2), 193-214.
  48. 최원석, 길혜지 (2019).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 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472-483.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472
  49. 최태진 (2014). 교사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자기존중감의 영향 비교. 수산해양교육연구, 26(3), 510-524.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3.510
  50. 최항석 (2012). 팀 구성원의 과업갈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2), 1019-1039.
  51. 허병기 (2008). 교육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교육행정연구, 26(4), 489-507.
  52. 홍우림 (201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8(3), 255-280.
  53. 황순영, 강영심 (2007). 특수교사 임파워먼트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1), 223-239.
  54. 황연우 (2016).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195-224.
  55.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Psychometrika, 52, 317-332. https://doi.org/10.1007/BF02294359
  56. Anderson, C. S. (1982). The search for school climate: A review of the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368-420.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3368
  57. Armon, G., Melamed, S., Shirom, A., & Shapira, I. (2010). Elevated burnout predicts the onset of musculoskeletal pain among apparently healthy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5(4), 399-408. https://doi.org/10.1037/a0020726
  58. Asparouhov, T., & Muthen, B. (2014).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1(3), 329-341. https://doi.org/10.1080/10705511.2014.915181
  59. Ballet, K., & Kelchtermans, G. (2008). Workload and willingness to change: Disentangling the experience of intensifi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0(1), 47-67 https://doi.org/10.1080/00220270701516463
  60. Berlin, K. S., Williams, N. A., & Parra, G. R. (2014).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ing (part1): Overview and cross-sectional latent clas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9(2), 174-187. https://doi.org/10.1093/jpepsy/jst084
  61. Bottiani, J. H., Bradshaw, C. P., & Mendelson, T. (2014). Promoting an equitable and supportive school climate in high schools: The role of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taff burnou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6), 567-582. https://doi.org/10.1016/j.jsp.2014.09.003
  62. Bradshaw, C. P., Koth, C. W., Bevans, K. B., Ialongo, N., & Leaf, P. J. (2008). The impact of school-wide positive beh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o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3(4), 462-473. https://doi.org/10.1037/a0012883
  63. Brunsting, N. C., Sreckovic, M. A., & Lane, K. L. (2014).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 synthesis of research from 1979 to 2013.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37(4), 681-711. https://doi.org/10.1353/etc.2014.0032
  64. Capp, G., Astor, R. A., & Gilreath, T. D. (2021). Exploring Patterns of Positive and Negative School Climate Experiences among Staff Members in California. Journal of School Violence, 20(2), 153-166. https://doi.org/10.1080/15388220.2020.1862673
  65. Caruso, A. L., Giammanco, M. D., & Gitto, L. (2014). Burnout experience among teachers: a case study. Mediterran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1-20.
  66.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67. Grayson, J. L., & Alvarez, H. K. (2008). School climate fa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A mediator mod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5), 1349-1363. https://doi.org/10.1016/j.tate.2007.06.005
  68. Hakanen, J. J., Bakker, A. B., & Schaufeli, W. B. (2006).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mong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6), 495-513. https://doi.org/10.1016/j.jsp.2005.11.001
  69. Halpin, A. W., & Croft, D. B. (1963).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70. Hoy, W. K., & Miskel, C. G. (2008). The school as a social system.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th ed (pp. 2-23). Boston, MA: McGraw Hill.
  71. Jehn, K. A., & Mannix, E. (2001). The dynamic nature of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of intra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 238-251. https://doi.org/10.2307/3069453
  72. Karasek,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https://doi.org/10.2307/2392498
  73. Lavian, R. H. (2012).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burnout among home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ll classes/individual pupils) in mainstream schools. Teachers and Teaching, 18(2), 233-247. https://doi.org/10.1080/13540602.2012.632272
  74. Lo, Y., Mendell, N., & Rubin, D.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 767-778.
  75. Malinen, O.-P., & Savolainen, H. (2016). The effect of perceived school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in behavior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 longitudinal stud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0, 144-152. https://doi.org/10.1016/j.tate.2016.08.012
  76.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77. McCrae, J. S., Champman, M. V., & Christ, S. L. (2006) Profile of children investigated for sexual abuse: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ymptoms and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468-481. https://doi.org/10.1037/0002-9432.76.4.468
  78. McLachlan, G., & Peel, D. (2000).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John Wiley.
  79. Meyer, J. P., Stanley, L. J., & Vandenberg, R. J. (2013).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3(2), 190-202. https://doi.org/10.1016/j.hrmr.2012.07.007
  80. Muthe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In D. Kaplan (E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81. Muthen, L. K., & Muthen, B. O. (2006). Mplus,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82. Nylund, K. L., Asparouhov, T., & Muthen, B. O.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14, 535-569. https://doi.org/10.1080/10705510701575396
  83. Park, E. Y., & Shin, M. (2020). A meta-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rnout. SAGE Open, 10(2), 2158244020918297.
  84. Pastor, D. A., Barron, K. E., Miller, B. J., & Davis, S. L. (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1), 8-47.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6.10.003
  85. Platsidou, M. (2010).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of Greek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1), 60-76. https://doi.org/10.1177/0143034309360436
  86. Rohatgi, A., & Scherer, R. (2020). Identifying profiles of students' school climate perceptions using PISA 2015 data. Large-scale Assessments in Education, 8(1), 1-25. https://doi.org/10.1186/s40536-020-0079-0
  87.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https://doi.org/10.1214/aos/1176344136
  88. Sclove,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 333-343. https://doi.org/10.1007/BF02294360
  89. Siegrist, J. (1996). Adverse health effects of high-effort/low-reward condi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27-41. https://doi.org/10.1037/1076-8998.1.1.27
  90.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91. Yao, X., Yao, M., Zong, X., Li, Y., Li, X., Guo, F., & Cui, G. (2015). How school climate influences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10), 12505-12517. https://doi.org/10.3390/ijerph12101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