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팬츠 패턴설계를 위한 3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 분석 - 인체치수 변화 및 체형분류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ower body shape of men in their 30s for pants pattern designs - Focus on changes in human dimensions and body type classification -

  • 김은경 (서울디지털대학교 패션학과) ;
  • 남영란 (가톨릭대학교 의류학전공)
  • Kim, Eun-Kyong (Dept. of Fashion, Seoul Digital University) ;
  • Nam, Young 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21.03.11
  • 심사 : 2021.05.11
  • 발행 : 2021.06.30

초록

It is important to conduct an anthropometric study to develop garment patterns to accommodate the changes found in the body size and type of men in their 30s, to effectively address fit dissatisfaction.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nges in the lower body sizes and body types of men in their 30s, and provide basic measurements for designing pants patterns. For this purpose, key anthropometric dimensions for the lower body of men in their 30s, which were acquired by the 6th (2010) and 7th (2015) survey conducted by Size Kore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for Windows.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on major lower body sizes to track changes over time.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ere used to classify lower body types. From the comparison of the 6th (2010) and 7th (2015) survey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lower body size of men in their 30s were increasing in the height-related aspects, circumference, thickness, and width-as well as body weight and BMI. The five factors were derived to determine the typical lower body types of men in their 30s and the body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rough cluster analysis: (1) those with the largest body size, body volume, and obesity, (2) those with smallest body size, lower body volume, and obesity degree, visually the most skinny type, (3) those with BMI and weight that are the smallest, like Type 2, but the main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is lower. In order to visually look at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by producing a avatar based on the main lower body valu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자윤. (2019. 7. 18). "20-30대 남성 5명 중 2명 난 그루밍족". 파이낸셜뉴스. 자료검색일 2021. 1. 10, 자료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1907180847298954
  2. 국가기술표준원 사이즈코리아. (2010). 제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사업 인체치수결과보고서. 자료검색일 2020. 9. 1, 자료출처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http://sizekorea.kats.go.kr
  3. 국가기술표준원 사이즈코리아. (2015). 제7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사업 인체치수결과보고서. 자료검색일 2020. 9. 1, 자료출처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http://sizekorea.kats.go.kr
  4. 김경아, 김명옥. (2016). 피티드 원형 개발을 위한 20대 남성의 체형특성 및 유형화.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8(2), 235-243. https://doi.org/10.5805/SFTI.2016.18.2.235
  5. 김은경. (2016). 20대와 30-40대 여성의 상반신 신체치수 및 체형비교 연구-30, 40대 여성의 영캐주얼 브랜드 선호 현상에 따른 문제점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2), 15-33.
  6. 김은경. (2018). 상의패턴설계를 위한 30대 남성의 상반신 신체치수 및 체형유형 변화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2), 73-87.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2.73
  7. 김지민. (2015). 50-6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48, 455-464.
  8. 석혜정, 임남영. (2009).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유형화에 관한 연구. 복식, 59(8), 123-131.
  9. 성옥진. (2004). 중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 499-508.
  10. 신선미, 도월희. (2019). 30-40대 비만 남성의 슬랙스 패턴개발을 위한 하반신 체형분류.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3), 308-317. https://doi.org/10.5805/sfti.2019.21.3.308
  11. 이정은, 도월희. (2015). 슬림-핏 팬츠 패턴 개발을 위한 30 대 한국인 남성 하반신 체형 분류.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2), 227-236. https://doi.org/10.5805/SFTI.2015.17.2.227
  12. 임지영. (2019). 노년기 남성의 하반신 체형 분석 및 하의류 치수 체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3(5), 768-777. https://doi.org/10.5850/jksct.2019.43.5.768
  13. 임지영. (2019). 복부비만 성인 남성을 위한 하반신 비만 유형분석과 정장 하의류 치수체계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5), 677-686. https://doi.org/10.5805/sfti.2019.21.5.677
  14. 지승환, 천종숙. (2018). 20대 한국인 남성 하반신 체형 변화와 분류. 대한인간공학회 201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93-194.
  15. 차수정. (2018). 청소년 남학생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3(9), 97-105.
  16. 차수정. (2019). 고령 남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2), 569-579.
  17. 차수정. (2019). 중년남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기초조형학연구, 20(4), 543-554.
  18. 차수정. (2020). 60대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5(4), 17-26. https://doi.org/10.21326/KSDT.2020.25.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