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ashion & Film" in the liberal arts related to apparel science

의류학 관련 교양과목 <영화로 만나는 패션> 개발과 운영사례

  • Shin, Hye W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Seoul) ;
  • Kim, Hee R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Seoul)
  • 신혜원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가정교육과) ;
  • 김희라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21.04.21
  • Accepted : 2021.06.08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case study developed and operated "Fashion & Film" as a fashion-related liberal arts course. The class was designed to include fashion styles exhibitted in films, fashion-related PPL, fashion design through film, fashion images of movie characters, considering gender & color images expressed in movie costumes, and the history of western costumes and asian folk costumes in films. The class was counducted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student's presentation of movie plots, and team discussions, which created a student-led class. The team presentations at the end of the term we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ashion through movies. The results of subjective lecture evaluation of "Fashion & Film"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cation with professor. Students said that it was good to understand fashion through film. They expressed a burden with the team project; howe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team project outcomes. Students said that PowerPoint was used very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prevelent opinion that the content of PowerPoint and workbook did not match. To address this inconvenience, a textbook called "Fashion in Film" was published and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multiple-choice evaluation showed that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shion & Film" clas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1년도 동국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김성원, 윤정진. (2016).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간융합 창의성 교양수업 효과. 교양교육연구, 10(4), 457-486.
  2. 김현정, 정순희. (2002).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소비자교육 교과모형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6(2), 103-123.
  3. 박기범. (2015). 문학과 만화 융합수업의 개발 및 적용-대학 교양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387-406.
  4. 손동현. (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5-22.
  5. 신혜원. (2018). 가정과교육에서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4), 127-139. https://doi.org/10.19031/jkheea.2018.12.30.4.127
  6. 신혜원, 김희라. (2016). PBL을 활용한 <패션의 이해> 수업 사례 및 학습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3), 33-45. https://doi.org/10.19031/jkheea.2016.09.28.3.33
  7. 신혜원, 김희라. (2018). 플립 러닝을 활용한 서양복식사 수업 사례 및 효과 -고대 메소포타미아 복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2), 137-147.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6.30.2.137
  8. 신혜원, 이정욱. (2016). 국립민속박물관을 활용한 <의생활문화> PBL 수업 사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4), 97-109. https://doi.org/10.19031/jkheea.2016.12.28.4.97
  9. 어성연, 정진희. (2011). 교육대학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가족관련 교양과목의 개발 및 효과성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61-82.
  10. 이민아, 유복희. (2016). 웰빙.웰다잉과 주거공간의 연계를 통한 교양교과목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25(2), 267-280. https://doi.org/10.5934/kjhe.2016.25.2.267
  11. 이현주, 이정희. (2020). 증강현실을 활용한 대학생 대상 영어.식생활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문사회 21, 11(2), 941-956.
  12. 임희주. (2019). 교양영어수업에서 가상현실(VR) 앱 활용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3(5), 349-369.
  13. 정슬기, 허혜경, 김혜수. (2018). 대학생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글로벌 시민교육 강좌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2), 89-107.
  14. 조재옥. (2017). 영화를 활용한 영어 문법지도 방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11(2), 689-714.
  15. 주양선, 이은하, 김혜영. (2018). 기초교양으로서 생명과학 핵심개념의 이해를 위한 영상매체 활용. 교양교육연구, 12(5), 61-79.
  16. 최정임, 신상옥. (1995). 가정학 관련 교양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3), 1-16.
  17. 홍완식. (2018). 통섭 교양 과목 '소재와 인류문명'의 개발과 운영사례. 교양교육연구, 12(1), 73-94.
  18. Newby, T. J., Lehman, J. D., Stepich, D. A., & Russell, J. D. (1999). Instructional techn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designing instruction, integrating computers, and using media (2nd edition). NJ: Prentice Hall College 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