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80년 이후 목조 건축문화재 지붕부에 사용된 산자 재료의 지역별 특성 및 수리 시기별 변화

Regional characteristic and changes in time of repair of the materials of San-Ja used in the roof of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980

  • 박새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장헌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권양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투고 : 2021.02.08
  • 심사 : 2021.03.31
  • 발행 : 2021.06.30

초록

San-ja is one of the main members consisting of the roof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used in San-ja and changes of the materials over time were examined. To this end, 123 documents on the repair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recorded since the 1950s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n-ja material by region because of the diversity in the conditions of material supply. For instance, bamboo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 in Jeollanam-do province because it was readily availab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vehicl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disappeared. As a result, the material has been unified with bamboo now. This is because bamboo is specified as a representative materia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is prioritized. In addition,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t the time of repair had an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San-ja mater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2. 김진욱, 「100년 만에 되살리는 한국의 전통미장기술」, 성안당, 2017
  3.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전통건축 수리와 보존 - 윤홍로편」, 2018
  4. 문화재청, 「종묘 망묘루 복원.보수 및 가설관리사무소 신축공사 보고서」, 2000
  5. 문화재청.해남군, 「미황사 응진당 수리보고서」, 2002
  6. 문화재청, 「불갑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4
  7. 문화재청, 「귀신사 대적광전 수리.실측조사보고서」, 2005
  8. 문화재청, 「법주사 대웅전 실측.수리보고서」, 2005
  9. 문화재청, 「하동 쌍계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7
  10. 나주시청, 「나주향교 대성전 수리보고서」, 2008
  11. 문화재청, 「화성 융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8
  12. 국립문화재연구소, 「법주사 팔상전 수리공사 보고서」, 2009
  13. 공주시, 「마곡사 대웅보전 보수정비공사 보고서」, 2010
  14. 청양군, 「장곡사 상대웅전 수리공사보고서」, 2011
  15. 아름터건축사사무소, 「전통건축물의 지붕 시공기법 연구」, 문화재청, 2012
  16. 완주군청, 「위봉사 보광명전 보수공사」, 2013
  17. 안동시, 「개목사 원통전 해체수리보고서」, 2013
  18. 공주시, 「공주 마곡사 영산전 해체수리보고서」, 2013
  19. 경산시, 「경산 환성사 대웅전 실측.수리보고서」, 2013
  20. 여주시, 「여주 신륵사 조사당 해체수리실측보고서」, 2016
  21. 단양군청, 「단양향교 풍화루 지붕보수사업 수리보고서」, 2019
  22. 광주광역시, 「광주향교 대성전 해체보수공사 감리보고서」, 2019
  23. 문화재청,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 2012
  24. 문화재청, 「문화재수리 표준품셈」, 2012
  25. 문화재청,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업무지침」, 2020
  26. 김왕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건축경제사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8
  27. 공우석,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 제4호, 2001
  28. 이재용, 「전통기와지붕 시공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29. 이수정,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문화재, 45권, 4호, 2012, 126~139쪽 https://doi.org/10.22755/KJCHS.2012.45.4.126
  30. 강현, 「건축문화재의 원형개념과 보존의 관계 -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재, 49권, 1호, 2016, 120~145쪽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20
  31. 조영민.김상협, 「전통 벽체 외엮기 기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32(5), 2016.05, 127~134쪽
  32. 이수정, 「수리현장에서 보존철학이 왜 필요한가-보존철학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 243~248쪽
  3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4. 국가기록원 소장 문화재수리 관련 기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