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2A03035246)
References
- 권윤희, 이화연, 황승숙. (2013).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천. 한국산학기술학회, 14(11), 5785-5791. doi.org/10.5762/KAIS.2013.14.11.5785
- 김세향, 이미애. (2014).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한국간호행정학회, 20(3), 332-341. doi.org/10.11111/jkana.2014.20.3.332
- 김은지, 이경희. (2020).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도. 한국노인간호학회, 22(2), 165-173. doi.org/10.17079/jkgn.2020.22.2.165
- 김정완, 김향희. (2009). 노년층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4), 495-513.
- 김화수, 김시현. (2017). 노인의 언어 및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언어치료학회, 26(3), 35-48. doi.org/10.15724/jslhd.2017.26.3.004
- 박미희, 최은희, 최경숙. (2015). 일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1(1), 18-27. doi.org/10.14370/jewnr.2015.21.1.18
- 박성지, 한희원, 정유진, 우희순. (2020).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노인 인식 및 의사소통 현황.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0(3), 15-26.
- 박순주. (2017). 간호사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한국성인간호학회, 29(2), 166-176. doi.org/10.7475/kjan.2017.29.2.166
- 윤정임, 손현미. (2019). 간호사의 시간압박감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5(3), 248-257. doi.org/10.11111/jkana.2019.25.3.248
- 양인숙. (2021).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애요인, 의사소통 행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연재. (2008). 간호대학생의 의소소통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소현. (2003).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1), 300-325.
- 이정화, 신은정, 박지현, 김미영, 문혜경. (2017). 환자의 신뢰만족도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전략.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1), 619-633. doi.org/10.14257/AJMAHS.2017.01.73
- 이지혜, 강문희. (2019).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 49(1), 1-13. doi.org/10.15207/JKCS.2020.11.5.327
- 임영신, 김진선, 김기순 (2002),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1), 31-46. pp.31-46, 2002.
- 임희정, 김형주. (2016).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6(6), 627-635. doi.org/10.5392/JKCA.2016.16.06.627
- 장성옥 박영주. (1999). 간호사의 임상에서의 아소소통장애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6(1), 130-140.
- 정경희 등.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 정광하, 신성희. (2011). 간호사 의사소통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164-170.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164
- 정혜선. (2011).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 교육요구도: 노인 건강문제와 노인간호 간호진단 중심. 한국자료분석학회, 13(6), 3021-3035.
- 조윤희, 라진숙. (2019). 응급실 환자-간호사 간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행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4(1), 1-10. doi.org/10.15715/kjhcom.2019.14.1.1
- 조헌하, 김남희. (2011). 노인을 대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7), 79-88. doi.org/10.14257/AJMAHS.2016.07.08
- 통계청. (2019). 2019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 한다솜, 임순연. (2017). 의사소통 장애요인이 환자만족도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2), 467-475. doi.org/10.5392/JKCA.2017.17.02.467
- 한애경, 원종순 (2000). 율동적 근육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 노인의 신체기능 변화. 기본간호학회지, 7(2), 301-315.
- 한정란. (2000).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0(3), 115-127.
- 한정연. (2017). 중환자실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의사소통 유형 및 의사소통 장애정도와의 관계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Jacelon CS. (2002). Attitudes and Behaviors of Hospital Staff Toward Elders in an Acute Care Setting. Applied Nursing Research, 15(4), 227-234. https://doi.org/10.1053/apnr.2002.35958
- Sanders GF. & Montgomery JE. & Pittman Jr, JF. & Ballwell C. (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doi.org/10.1177/0733464884003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