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

  • Yu, Myeonghw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 Wonkwang University) ;
  • Kang, Jisook (Department of Nursing,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유명환 (원광대학교 건강정보소통연구소) ;
  • 강지숙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20.12.31
  • Accepted : 2021.05.21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tilize for foundation data of research related nursing communication and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elderly, communic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fter IRB approval, data were collected either face-to-face survey or by online survey. A total of 292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26 program. As a resul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behavior,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 found that nurses who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had less communication disorders,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From this result, we suggest that nurses caring for the elderly should receive education on communication methods with elderly to improve their perception. Furthermore, we suggest future studies to improve nurse'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연구 및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조명하는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IRB 승인을 받은 후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병원 및 관련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와 구글엔진을 통한 온라인 자료수집을 병행하여 진행되었고, 총 292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과 ANOVA,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의사소통 장애는 감소하고 의사소통 행위는 좋아지며 노인과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 노인을 만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교육과 함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관련된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또한, 관련하여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의사소통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2A03035246)

References

  1. 권윤희, 이화연, 황승숙. (2013).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천. 한국산학기술학회, 14(11), 5785-5791. doi.org/10.5762/KAIS.2013.14.11.5785
  2. 김세향, 이미애. (2014).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한국간호행정학회, 20(3), 332-341. doi.org/10.11111/jkana.2014.20.3.332
  3. 김은지, 이경희. (2020).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도. 한국노인간호학회, 22(2), 165-173. doi.org/10.17079/jkgn.2020.22.2.165
  4. 김정완, 김향희. (2009). 노년층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4), 495-513.
  5. 김화수, 김시현. (2017). 노인의 언어 및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언어치료학회, 26(3), 35-48. doi.org/10.15724/jslhd.2017.26.3.004
  6. 박미희, 최은희, 최경숙. (2015). 일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1(1), 18-27. doi.org/10.14370/jewnr.2015.21.1.18
  7. 박성지, 한희원, 정유진, 우희순. (2020).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노인 인식 및 의사소통 현황.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0(3), 15-26.
  8. 박순주. (2017). 간호사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한국성인간호학회, 29(2), 166-176. doi.org/10.7475/kjan.2017.29.2.166
  9. 윤정임, 손현미. (2019). 간호사의 시간압박감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5(3), 248-257. doi.org/10.11111/jkana.2019.25.3.248
  10. 양인숙. (2021).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애요인, 의사소통 행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연재. (2008). 간호대학생의 의소소통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소현. (2003).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1), 300-325.
  13. 이정화, 신은정, 박지현, 김미영, 문혜경. (2017). 환자의 신뢰만족도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전략.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1), 619-633. doi.org/10.14257/AJMAHS.2017.01.73
  14. 이지혜, 강문희. (2019).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 49(1), 1-13. doi.org/10.15207/JKCS.2020.11.5.327
  15. 임영신, 김진선, 김기순 (2002),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1), 31-46. pp.31-46, 2002.
  16. 임희정, 김형주. (2016).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6(6), 627-635. doi.org/10.5392/JKCA.2016.16.06.627
  17. 장성옥 박영주. (1999). 간호사의 임상에서의 아소소통장애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6(1), 130-140.
  18. 정경희 등.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19. 정광하, 신성희. (2011). 간호사 의사소통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164-170.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164
  20. 정혜선. (2011).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 교육요구도: 노인 건강문제와 노인간호 간호진단 중심. 한국자료분석학회, 13(6), 3021-3035.
  21. 조윤희, 라진숙. (2019). 응급실 환자-간호사 간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행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4(1), 1-10. doi.org/10.15715/kjhcom.2019.14.1.1
  22. 조헌하, 김남희. (2011). 노인을 대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7), 79-88. doi.org/10.14257/AJMAHS.2016.07.08
  23. 통계청. (2019). 2019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24. 한다솜, 임순연. (2017). 의사소통 장애요인이 환자만족도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2), 467-475. doi.org/10.5392/JKCA.2017.17.02.467
  25. 한애경, 원종순 (2000). 율동적 근육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 노인의 신체기능 변화. 기본간호학회지, 7(2), 301-315.
  26. 한정란. (2000).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0(3), 115-127.
  27. 한정연. (2017). 중환자실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의사소통 유형 및 의사소통 장애정도와의 관계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Jacelon CS. (2002). Attitudes and Behaviors of Hospital Staff Toward Elders in an Acute Care Setting. Applied Nursing Research, 15(4), 227-234. https://doi.org/10.1053/apnr.2002.35958
  29. Sanders GF. & Montgomery JE. & Pittman Jr, JF. & Ballwell C. (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doi.org/10.1177/0733464884003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