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상에서 공유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Social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ared Online: Focusing on Social Big Data Analysis

  • 안순태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 이하나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투고 : 2021.04.26
  • 심사 : 2021.07.12
  • 발행 : 2021.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노인'이 어떠한 표현들로 지칭되고 있는지, 해당 단어의 쓰임새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인 낙인이라는 이론적 개념에 근거하여,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혐오표현의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익명의 대화가 오가는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상에서 공유되는 노인 이미지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인해 이들을 대하는 태도 역시 부정적인 경향이 높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노인 관련 지칭어를 살펴보면, '노인네', '틀딱', '할머니', '꼰대', '늙은이', '할배' 등이 상위 빈도를 차지했다. 이 중, '틀딱', '꼰대'는 주로 노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비난하는 댓글에서 확인됐으며, 이러한 표현에는 청년들에게 짐만 되는 노인들을 향한 혐오와 차별의 의미가 담겨 있었다. 넷째, 온라인상에서의 노인 혐오표현은 노인을 주제로 한 콘텐츠가 아닌 정치/경제 관련 이슈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세대 간 이해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hrase "old person" are expressed and used in the online spher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stigm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ages and attitudes in society toward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te speech aimed at the elderl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based on social big data using anonymous conversation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 images shared online were generally negative. The attitudes expressed toward them also tended to be negative due to the negative images that are propagated of the elderly. The hate speech relating to the elderly, in usages such as 'Teul-ttag' and 'Kon-dae', were mainly identified in comments that negatively evaluate the elderly, and these expressions demonstrate the depth of hate and discrimination towards the elderly who are considered burdensome by young people. Interestingly, the hateful expressions towards the elderly were found more with regard to issues related to politics and economics and not just any content about the elderly.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and means to enhance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and solidity.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C2A03092919)

참고문헌

  1. 강소영. (2018). TV 광고 속 노인의 재현 양상과 의미화 과정-IBK 기업은행 광고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70, 177-210.
  2. 강한나. (2018). 미디어의 이용정도와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9(3), 873-884.
  3. 국가인권위원회. (2018). 노인인권 종합보고서. https://www.humanrights.go.kr/common/pdfview.jsp?boardtypeid=17&boardid=7603324&info=1068145
  4. 권중돈.손의성. (2010).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9, 81-105.
  5. 김경희.조연하.배진아. (2020). 인터넷 혐오표현 대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출경험 사례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499-51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499
  6. 김미혜. (2003).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 한국노년학, 23, 13-30.
  7. 김선영. (2007). 고령화 사회의 노인 이미지 분석-4 개의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9(2), 139-170.
  8. 김수진.김미혜.전혜연. (2019). 노인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이미지가 노인학대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경제지위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9(2), 222-249. https://doi.org/10.15709/HSWR.2019.39.2.222
  9. 김숙.박주연. (2014). 텔레비전 시사 및 교양 프로그램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연구. 사회과학연구, 30(2), 281-300.
  10. 문화체육관광부. (2018). 혐오 표현 대응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보고서.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8304
  11. 박범기.서경원.맹상기.강수연. (2019). 노인에 대한 혐오. 배제가 노인의 자살생각 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7(3), 31-56.
  12. 부천초.안순태.이하나. (2021). 자살 뉴스기사의 댓글에 나타난 자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 자살 뉴스기사의 댓글에 나타난 자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 한국방송학보, 35(2), 35-67.
  13. 신경아.최윤형. (2020). 혐로 (嫌老) 사회: 뉴스 댓글에 나타 난 노인인식과 공공 PR 의 과제. 광고학연구, 31(6), 93-128.
  14. 이여주.송준아. (2021). 노인혐오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노인간호학회지, 23, 1-12.
  15. 이윤경. (2007).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한국인구학, 30(2), 1-22.
  16. 이금룡. (2004).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노인복지연구, 26, 143-164.
  17. 이해진.서민선. (2018). '앵그리 올드' 노인 범죄 vs "저 틀딱들" 노인 혐오.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82318385240131
  18. 안소영. (2020). 고령사회의 노인혐오. http://kiri.or.kr/report/downloadFile.do?docId=5133
  19. 안순태.강한나.정순둘. (2018).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른 낙인 인식. 한국노년학, 38(1), 203-223.
  20. 안순태.오현정.정순둘. (2017).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37(2), 309-328.
  21. 양정혜. (2011). TV 광고가 재현하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커뮤니케이션 이론, 7(1), 72-106.
  22. 오현정.신경아. (2019). 한국 언론은 '노인'을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는가?: 2010 년 이후의 노인 관련 언론 보도 특성 분석. 홍보학연구, 23(4), 40-68.
  23. 윤성옥. (2019). 혐오표현 규제와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미디어와 인격권, 5(1), 56-94.
  24. 이은주. (2011).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 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보, 55(3), 179-198.
  25. 이재신.이민영. (2008).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249-279.
  26. 이종형.이준배. (2020).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 위험요인 통계분석: 패널 로짓 GLMM 의 적용. 보건사회연구, 40(4), 263-293.
  27. 이택호.한윤선. (2016).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낙인이론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4), 567-593. https://doi.org/10.24230/KSIOP.22.4.200911.567
  28. 임정숙.정세미.정순둘. (2019). 중고령자의 노인낙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39(4), 173-203. https://doi.org/10.15709/HSWR.2019.39.4.173
  29. 전성희. (2011). TV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와 노년에 대한 인식. 드라마연구, 35, 55-86.
  30. 정진경. (2015). 노인 이미지 연구 경향 분석: 1990 년 이후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5(4), 1115-1134.
  31. 조인숙.김도연. (2017). 대학생의 노인 관련 미디어 관심도, 노인 이미지 및 정서와 노인 대상 행동 의향: 바이어스 맵 (BIAS map) 모델의 적용. 한국방송학보, 31(3), 248-281.
  32. 지은정. (2017). 60세 이상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에 대한 인식연구: 통계적 차별과 접촉가설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73-109.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73
  33. 최동성.최성은.최용준. (2008). 인터넷 포털뉴스 댓글의 여론형성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8, 311-358.
  34. 한국기자협회. (2014). 한국기자협회 인권보도준칙. https://www.journalist.or.kr/news/section4.html?p_num=7
  3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https://www.kpf.or.kr/front/research/consumerDetail.do
  36. Ajzen, I. (1989). Attitude structure and behavior. in: A.R. Pratkanis, S.J. Breckler, A.G. Greenwald (Eds.), Attitude Structure and Fun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1989, pp. 241-274.
  37. An, S., & Lee, H. (2019). Suicide stigma in online social interactions: impacts of social capital and suicide literacy. Health Communication, 34(11), 1340-1349. doi.org/10.1080/10410236.2018.1486691
  38. Bandura, A., & McClelland, D. C. (1977). Social learning theory (Vol. 1).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39. Bai, X., Lai, D. W., & Guo, A. (2016). Ageism and depression: Perceptions of older people as a burden in China. Journal of Social Issues, 72(1), 26-46. doi.org/10.1111/josi.12154
  40. Brogaard, B. (2020). Hatred: Understanding Our Most Dangerous E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1. Cary, L. A., & Chasteen, A. L. (2015). Age stereotypes and age stigma: Connections to research on subjective aging.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35(1), 99-119. doi.org/10.1891/0198-8794.35.99
  42. Cuddy, A. J., & Fiske, S. T. (2002). Doddering but dear: Process, content, and function in stereotyping of older persons. In T. D. Nelson (Ed.),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pp. 3-26). Cambridge, MA: The MIT Press.
  43. Cummings, J. R., Lucas, S. M., & Druss, B. G. (2013). Addressing public stigma and disparities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e role of federal polic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3(5), 781-785. https://doi.org/10.2105/AJPH.2013.301224
  44. Dovidio, J. F., Major, B., & Crocker, J. (2000). Stigma: Introduction and overview.
  45.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117-140.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46. Fiske, S. T. (1998). Stereotyp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4), 357-411.
  47. Goffman, E. (1963). Stigma and social identity. Understanding deviance: Connecting class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265.
  48. Laswell, H. (1948).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society: The communication of ideas. New York: Institute for Religious and Social Studies, 203-243.
  49. Link, B. G., Cullen, F. T., Struening, E., Shrout, P. E., & Dohrenwend, B. P. (1989).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An empirical 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00-423. doi.org/10.2307/2095613
  50. Link, B. G., & Phelan, J. C. (2001).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1), 363-385. doi.org/10.1146/annurev.soc.27.1.363
  51. Link, B. G., Wells, J., Phelan, J. C., & Yang, L. (2015).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ymbolic interaction stigma": How expectations about the reactions of others adds to the burden of mental illness stigma.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38(2), 117-124. doi.org/10.1037/prj0000142
  52. Livingston, J. D., & Boyd, J. E. (2010).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internalized stigma for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71(12), 2150-2161. doi.org/10.1016/j.socscimed.2010.09.030
  53. Robertson, D. A., King-Kallimanis, B. L., & Kenny, R. A. (2016). Negative perceptions of aging predict longitudinal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Psychology and Aging, 31(1), 71-81. https://doi.org/10.1037/pag0000061
  54. Rosenberg, M. J., Hovland, C. I., McGuire, W. J., Abelson, R. P., & Brehm, J. W. (1960).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An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attitude components.(Yales studies in attitude and communication.), Vol. III.
  55. Scheff, T. J. (2017). Being mentally ill: a sociological study.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