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s Yixiangshuo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의 상수학적 연원

  • Received : 2021.05.31
  • Accepted : 2021.08.03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 (曺好益)'s Yixiangshuo (易象說), it is necessary to review Hu Yigui (胡一桂)'s Zhouyi Benyi Fulu Zuanzhu (周易本義附録纂注). Hu Yigui based his work on Zhu Xi's Zhouyi Benyi, he took related contents such as the Zhu Xi's writings and phrases and organized them into a fulu (附録), and he collected commentaries that matched the meaning of Zhouyi Benyi among the theories of many Confucian scholars and produced a zuanzhu (纂注).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Yuwei (愚謂)' and 'Yuan (愚案)' which allowed him to add his own opinion. The system of Hu Yigui's Zhouyi Benyi Fulu Zuanzhu almost coincides with Cho Hoik's Yi-ological writing system. In other words, Cho Hoik appears to have written Yizhuan Bianjie (易傳辨解) and Zhouyi Shijie (周易釋解) as a fulu and zuanzhu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there is Yixiangshuo which corresponds to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Yixiangshuo was not originally an independent Yi-ological book, but was compiled by later generations from what was recorded in the form of the head notes of Zhouyi (周易). Thus, Yixiangshuo takes almost the same form as the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In addition, Cho Hoik's Yixiangshuo cites many contents from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s Yixiangshuo, the Yi-ology of Zhu Zhen (朱震) cannot be overlooked. This is true not only due to the fact that Yixiangshuo is quoting Zhu Zhen. The more significant reason is Yixiangshuo is a fundamental aspect of Zhu Zhen's Yi-ology. As demonstrated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the methodology of Image-Number Theory in Yixiangshuo and its counterpart in Hanshang Yizhuan (漢上易傳) are almost identical. In conclusion,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s Yixiangshuo can be found in both the Hu Yigui's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Zhu Zhen's Hanshang Yizhuan.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its origin can be found in both the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the methodlogy of Image-Number Theory in Hanshang Yizhuan.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의 상수학적 연원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周易本義附録纂注)』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호일계는 주자의 『주역본의』를 기본으로 하고, 주자의 문집과 어록 등의 관련 내용을 찾아 부록이라 하였고, 그리고 제유의 역설 중 『주역본의』의 뜻에 부합하는 주석을 모아서 찬주로 하였다. 여기에다 호일계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식의 '우위(愚謂)'나 '우안(愚案)' 등이 있다. 이러한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 체제는 사실상 조호익의 역학 저서 체제와 거의 일치한다. 즉 조호익은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의 부록, 찬주의 내용에 해당하는 저서로 『역전변해(易傳辨解)』, 『주역석해(周易釋解)』를 지은 듯하다. 이러한 저서는 주자의 『주역본의』의 단상을 정밀하게 밝힌 것이라고 이미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주역본의부록찬주』 '우위'나 '우안'에 해당하는 저서로 『역상설』이 있다. 『역상설』은 원래 독립적인 역학 저서가 아니라 『주역』의 두주 형태로 기록된 것을 후인들이 모아 편찬한 것이다. 따라서 『역상설』은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과 거의 같은 형식이다. 그리고 조호익의 『역상설』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의 역설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한편, 조호익 『역상설』의 상수학적 연원을 검토하기 위해서 주진의 역학을 간과할 수 없다. 『역상설』이 주진을 인용하고 있는 점 때문만이 아니다. 보다 큰 이유는 『역상설』과 주진 역학의 골간적 측면 때문이다. 본론에서도 증명했지만, 『역상설』의 상수학적 『주역』 해석 방법론과 『한상역전(漢上易傳)』의 상수학적 『주역』 해석 방법론이 거의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조호익 『역상설』의 상수학적 연원은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와 주진의 『한상역전』에서 모두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 부분, 그리고 『한상역전』의 한대(漢代) 상수학적 체례에 그 연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曺好益, 「易象說」, 「韓國經學資料集成88.易經(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6.
  2. 朱震 撰, 王婷, 王心田 点校, 「朱震集」, 長沙: 岳麓書社, 2007
  3. 朱震, 「漢上易傳」, 「欽定四庫全書」 電子版.
  4. 胡一桂, 「周易本義附録纂注」, 「欽定四庫全書」 電子版.
  5. 胡一桂, 「周易啓蒙翼傳」, 「欽定四庫全書」 電子版.
  6. 胡炳文, 「周易本義通釋」, 「欽定四庫全書」 電子版.
  7. 朱熹 撰, 「朱子全書」,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合肥: 安徽敎育出版社, 2002.
  8. 朱熹 撰, 廖名春 點校, 「周易本義」, 北京: 中華書局, 2009.
  9. 胡方平, 「易學啓蒙通釋」, 「四庫全書薈要」, 長春: 吉林人民出版社 影印本, 1997.
  10. 王雲五 主持, 「合印四庫全書總目提要及四庫未收書目禁燬書目(一)」,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78.
  11. 김인철, 「퇴계와 지산의 「주역」 해석」, 「퇴계학과 유교문화」 36, 2005. http://uci.or.kr/G704-001229.2005..36.010
  12. 엄연석,「조호익 역학의 상수학적 방법과 의리학적 목표」, 「대동문화연구」 38, 2001.
  13. 윤석민, 「조호익 「역상설」의 해석틀 분석(I): 괘기와 괘변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40, 2013. https://doi.org/10.19065/japk..40.201312.115
  14. 윤석민, 「조호익 「역상설」의 해석틀 분석 (II) : 효위.효변과 기타 해석틀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76-2, 2014. http://uci.or.kr/G704-000634.2014.76.2.009
  15. 임재규, 「정약용과 주진의 「주역」 해석 방법론 비교」, 「공자학」 36, 2018. https://doi.org/10.37300/GongJa.36.5
  16. 李秋丽, 「胡一桂易学思想研究」, 山东大学博士論文,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