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literati sacralized their daily lives through ritual practices across the three dimensions of time, place, and humanity. 1) In the dimension of time, they cultivated in their personal lives by accepting and thoroughly practicing the ethical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Learning (『小學』). These practices of self-cultivation developed into ritualized practices of daily routine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2) In the spatial dimension, local public schools (鄕校), local private academies (書院), and village private schools (書塾) were constructed as the symbolic places for disseminating Confucian norms through intensive seminar activities and collective learning sessions (講會). These places were also used for the pious recitations of selected Confucian proverbs that had been ritualized by Confucian literati. 3) In the dimension of humanity, pious consciousness, reinforced by the ritualized practice of periodic sacrifices or intensive reading, was subconsciously deepened and projected onto dreams individuals reported of their deceased fathers or teachers. According to the Confucian ritualization process, people were seen as being able to sanctify their daily lives by thoroughly internalizing and effectively realizing Confucian values.
조선시대 사족(士族)들은 시간, 공간, 인간의 삼간(三間) 차원에서 일상생활을 유교적으로 의례화하는 실천을 통해 삶을 성화(聖化)했다. 일상생활의 성화는 1) 시간적 차원에서는 『소학(小學)』의 규범을 율신제행(律身制行)의 의례화된 실천으로 철저하게 구현했다. 특히 이러한 실천은 특히 성리학적 수양과 공부를 시간에 따라 구별해서 실천하는 일과(日課)의 시간적 의례화로 전개되었다. 2) 공간적 차원에서는 서원(書院)이나 서숙(書塾) 등에서 강회(講會)의 상징적 강학(講學) 공간을 구성했고, 그에 따라 강회의 의절(儀節)을 의례화했다. 이러한 양상은 특히 경독(敬讀)의 확대와 잠명(箴銘)의 독송(讀誦)을 통해 강학활동의 공간적 의례화로 발전했다. 3) 인간적 차원에서는 주기적인 제사나 집중적인 독서의 의례화된 실천이 강화한 경건한 의식[경(敬)]이 무의식적으로 심화해서 각각 가족 공동체의 상징적 중심인 선친(先親)과 유림 공동체의 상징적 중심인 선사(先師)에 대한 꿈으로 투사되었다. 이러한 유교적 의례화 양상은 유교적 가치를 철저하게 내면화하고 효과적으로 실현하여 조선시대 사족의 일상생활을 성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