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후계자 관점에서 가업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요도에 대한 AHP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Affecting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Firm Using AHP

  • 투고 : 2020.11.11
  • 심사 : 2020.12.18
  • 발행 : 2021.03.31

초록

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생존과 미래를 결정하는 승계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승계 과정에서 핵심플레이어로 평가되는 후계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론을 활용하여, 후계자 관점에서 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총 2계층으로 나누어 진행한 본 연구에서, 1계층은 1) 승계자와 후계자의 관계, 2) 후계자의 경영 능력, 3) 후계자의 자기효능감 그리고 4) 승계 계획으로 설정하였다. 각 1계층의 하위 계층인 2계층의 경우 승계자와 후계자의 관계는 상호간의 신뢰수준, 기업의 비전 공유, 상호간 대화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후계자의 경영능력은 경영 역량, 교육 및 훈련, 승계관련 주변인 관리 능력, 그리고 후계자의 자기 효능감은 후계자의 승계 의지, 역경 극복 자신감, 목표달성 자신감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승계 계획은 재무적 계획, 리더십 이양 계획, 인사 조직 관리 계획으로 설정하였다. 총 9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결측치가 있는 표본을 제외한 88개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후계자는 1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1) 승계자와의 관계를 선택하였고, 2) 후계자의 경영 능력을 2순위로, 3) 후계자의 자기효능감는 3순위, 마지막으로 4) 승계 계획을 4순위로 선택하였다. 특히, 승계자와의 관계를 구성하는 하위 3가지 요소 (상호 간의 신뢰 수준, 기업의 비전 공유, 상호 간 대화 수준) 모두 최종 결과에서도 가장 중요한 1순위~3순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succession in a family business which is the crucial factor affecting future and survival of a family business. Especially, the study concentrate a successor's view which is regarded as a key-player during the succession. In this study, we us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to identify priorities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ion. We divided into two-tier level. The first-tier is defined as 1) the relationship with an incumbent CEO, 2) a successor 's management ability, 3) a successor' s self-efficacy and 4) succession plan. For the second-tier of each first-tier have 3 sub-factors ; 1) the relationship with an incumbent CEO is set as level of mutual trust, sharing the vision of a company, and level of communication each other. 2) A successor 's management ability is based on business competence, education and training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ability, 3) a successor 's self-efficacy was set as successor' s willingness of succession, confidence of overcoming crisis and confidence of achieving objectives. Lastly, 4) a succession plan is set as finance plan, leadership transformation plan and human-organization management plan. A total of 93 questionnaires is distributed and retrieved, and 88 questionnaires a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successors selected 1) the relationship with an incumbent C.E.O. a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in the first-tier. The second is 2) a successor 's management ability, the third is 3) a successor' s self-efficacy, and the last priority is 4) a succession plan. In particular, 3 sub-factors that make up the relationship with an incumben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se factors rank the first to the third in the final resul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문.이동명.문종범(2009), "기업가 역량 관점에서 파악한 중소가족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승계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4권, 제1호, pp. 1-28. https://doi.org/10.24878/TKES.2009.4.1.1
  2. 김기형(2015), "가족기업의 특성이 승계유형에 미치는 영향 : 행동대리인 이론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3. 김기형.문철우.김상균.이병희(2017), "행동대리인 이론관점에서 가족기업 특성이 승계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1호, pp. 1-39.
  4. 김근섭(2011), "우리나라 중소기업 가업상속 세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5. 김봉순.한문성.장용운(2016), "가업승계시 후계자의 자기효능감이 경영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 pp. 179-232.
  6. 김선화.남영호(2011), "가족기업의 승계프로세스 관련 이해관계자별 영향요인에 관한 문헌 검토", 「한국중소기업학회」, 제33권, 제3호, pp. 23-48.
  7. 김선화.남영호(2013), "가족기업의 승계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현 경영자와 후계자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6권, 제3호, pp. 1337~1359.
  8. 김지희(2001), "Family Business - 가족기업 창업 및 경영론", 삼성출판사.
  9. 김정원.김동철(2018), "중소/중견기업 인사 조직관리 진단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말콤 볼드리지 모형 및 선행 인사 조직관리 진단 척도의 응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조직과인사관리연구」, 제42집, 3권, pp. 31-66.
  10. 김현구(2018), "가족기업의 후계자 승계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청구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1. 남영호(2005), "가족기업의 승계계획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8권, 제1호, pp. 57-78.
  12. 남영호(2013), "성공적인 가업승계를 위한 정책 : 리더십 이전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2호, pp. 41-60.
  13. 남영호(2020), "우리나라 가족기업의 연구동향과 과제", 「중소기업연구」, 제42권, 제2호, pp. 69-92.
  14. 백유진.홍진환(2017), "중소 가족기업의 기존경영자-후계자 관계가 승계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승계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3호, pp. 31-56.
  15. 서정현(2015), "자기효능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송경애(2014), "중소기업의 가업승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17. 송덕근.남영호(2017), "가족기업의 경영성과 : 열린대화, 윤리적규범, 가족자본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283-309.
  18. 신동인.나종민.곽기영(2016), "카라반 야영장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및 가중치 분석-AHP 기법의 적용", 「한국관광레저학회」, 제28권, pp. 419-434.
  19. 신언정(2013), "가족기업의 인지된 성공적 승계에 관한 연구 : 지적자본의 조절효과", 박사학위청구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 신유근(1984), "한국기업의 특성과 과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임진혁.이장희(2016), "가족기업 후계자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 자본이 승계태도와의 관계에서 승계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제29권, pp. 2581-2606.
  22. 정대용.임진혁(2016), "가족기업 후계자의 셀프리더십과 승계자기효능감이 승계 의지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제31권, 제1호, pp. 191-211.
  23. 조병남(2012), "독일기업의 리더십 승계 전략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제30권, 제3호, pp. 23-47.
  24. 조병선.조봉현.최봉길.이윤생.유용관(2012), "가족기업 경영과 승계전략", 경제법륜사.
  25. 추문갑(2018), "사회적 자본이 장수기업 승계 프로세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후계자 어머니의 역할",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6. 홍경아(2001), "가족기업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7. 황우연(2008), "가족기업의 성공적인 승계요인과 기업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8. 황조익(2012), "중소규모 가족기업의 승계효율성 제고를 위한 후계자 교육훈련과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9. 황조익.남영호(2013), "중소규모 가족기업의 후계자 교육훈련과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5호, pp. 1079-1101.
  30. Aronoff C. E. and J. L. Ward(1995), "Family-Owned Businesses : A thing of the Past or a Model for the Future?", Family Busines Review, Vol.8, No.2, pp. 121-130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5.00121.x
  31. Astrachan, J. H., S. B. Klein, and K. X. Smyrnios(2002), "The F-PEC Scale of Family Influence: A Proposal for Solving the Family Business Definition Problem", Family Business Review, Vol.15, No.1, pp. 45-58. https://doi.org/10.1111/j.1741-6248.2002.00045.x
  32. Astrachan, J. H. and M. C. Shanker(2003), "Family Business' Contribution to the U.S. Economy: A Closer Look", Family Business Review, Vol.16 No.3, pp. 211-219 https://doi.org/10.1177/08944865030160030601
  33.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2, pp.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34. Barach J. A. and J. Ganitsky(1995), "Successful Succession in Family Business", Family Business Review Vol.8, No.2, pp. 131-155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5.00131.x
  35. Chrisman, J. J., J. H. Chua, and P. Sharma, (1998), "Important Attributes of Successors in Family Business: An Exploratory Study", Family Business Review, Vol.11, No.1, pp. 19-34.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8.00019.x
  36. Churchill, N. C. and K. J. Hatten(1987), "Non-market - Based Transfers of Wealth and Power : A Research Framework for Family Businesses",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11, No.3, pp. 51-63. https://doi.org/10.1177/104225878701100305
  37. Deephouse, D. L. and P. Jaskiewicz(2013), "Do family firms have better reputations than non-family firms? An integration of socioemotional wealth and social identity theorie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50, No.3, pp. 337-360. https://doi.org/10.1111/joms.12015
  38. Dibrell, C., D. R. Marchall, J. M. Palar, and R. J. Gentry(2019), "New director seletion druing growth in family-influenced and lone founder fimrs : An identity fit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01, pp. 1-11. https://doi.org/10.1016/j.jbusres.2019.04.005
  39. Dyer, W. G. Jr.(1986), Cultural Changes in Family Firms: Anticipating and Management Business and Family Transitions, San Francisco: Joessey-Bass, pp. 18-24.
  40. Fletcher, D.(2002), "In the company of men: a reflexive tale of cultural organizing in a small organization",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Vol.9, No.4, pp. 397-418. https://doi.org/10.1111/1468-0432.00166
  41. Fox M., V. Nilakant, and R. T. Hamilton(1996), "Managing Succession in Family-Owned Businesse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Vol.15, No.1, pp. 15-25. https://doi.org/10.1177/0266242696151001
  42. Handler W. C.(1994) "Succession in Family Business: A Review of the Research", Family Business Review, Vol.9, No.2, pp. 133-157.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4.00133.x
  43. Hollander, B. and W. R. Bukowitz(1990), "Women, family culture, and family-business", Family Business Review, Vol.3, No.2 pp. 139-151.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0.00139.x
  44. Houshmand M., M. L. Seidel, and D. G. Ma(2017), "The Impact of Adolescent Work in Family Business on Child-Parent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Business Review, Vol.30, No.3, pp. 242-261. https://doi.org/10.1177/0894486517715838
  45. Klein S. B., J. H. Astrachan, and K. X. Smyrnios(2005), "The F-PEC Scale of Family Influence: Construction, Validation, and Further Implication for Theory", Enrepreneutship Theory and Practice, Vol.29, No.3, pp.321-339.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5.00086.x
  46. Lansberg, I.(1988), "The Succession Conspiracy," Family Business Review, Vol.1, No.1, pp. 119-144. https://doi.org/10.1111/j.1741-6248.1988.00119.x
  47. Matthews, C. H., W. T. Moore, and A. S. Fialko(1999), "Succession in the family firm: A cognitive categorization perspective", Family Business Review, Vol.12, pp. 159-169.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9.00159.x
  48. McMullen, J. S. and B. J. Warnick(2015), "To nurture or groom? The parent-founder succession dilemma." Entrepreneurship Theory & Practice, Vol.39, pp. 1379-1412. https://doi.org/10.1111/etap.12178
  49. Michael-Tsabari, N. and D. Weiss(2015), "Communication traps: Applying game theory to succession in family firms.", Family Business Review, Vol.28, pp. 26-40. https://doi.org/10.1177/0894486513497506
  50. Morris, M. H., R. W. Williams, J. A. Allen, and R. A. Avila(1997), "Correlates of success in family business transi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12, pp. 385-401. https://doi.org/10.1016/S0883-9026(97)00010-4
  51. Paskewitz, E. A. and S. J. Beck(2017), "When work and family merge: Understanding intragroup conflict experiences in family farm businesses.",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Vol.17, pp. 386-400. https://doi.org/10.1080/15267431.2017.1363757
  52. Payne, G. T., K. H. Brigham, J. C. Broberg, T. W. Moss, and J. C. Short(2011), "Organizational virtue orientation and family firms.", Business Ethics Quarterly, Vol.21, No.1, pp. 257-285. https://doi.org/10.5840/beq201121216
  53. Santiago, A. L.(2000), "Succession Experiences in Philippine Family Businesses", Family Business Review, Vol.13, No.1, pp. 15-35. https://doi.org/10.1111/j.1741-6248.2000.00015.x
  54. Shanker, M. C. and J. H. Astrachan(1996), "Myths and Realities: Family Businesses' Contribution to the US Economy-A Framework for Assessing Family Business Statistics", Family Business Review, Vol. 9, No.2, pp.107-123.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6.00107.x
  55. Sharma, P., J. J. Chrisman, and J. H. Chua(1996), A review and annotated bibliography of family business studi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ston.
  56. Sharma, P., J. J. Chrisman, A. L. Pablo, and J. H. Chua(2001), "Determinants of Initial Satisfaction with the Succession Process in Family Firms: A Conceptual Model",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25, No.3, pp. 17-35. https://doi.org/10.1177/104225870102500302
  57. Satty T.(1990),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48, No.1, pp.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
  58. Vancil R. F.(1987), Passing the baton: Managing the process of CEO success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59. Venter E., C. Boshoff, and G. Mass(2005), "The influence of successor-related factors on the succession process in small and medium-sized family businesses", Family Business Review, Vol.18, No.1, pp. 283-303 https://doi.org/10.1111/j.1741-6248.2005.00049.x
  60. Ward, J. L.(1987), Keeping the family business healthy: How to plan for continuing growth, profitability and family leadership,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1. Westhead, P.(2003), "Company performance and objective reported by first and multi-generation family companies: a research note",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Enterprise Development, Vol.10, No.1, pp. 93-105. https://doi.org/10.1108/14626000310461231
  62. Wirtz A.(2020), The Generational push and pull of defining today's family, The Family Business Advisor, The Family Business Consulting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