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약품 품목허가 제도에서 제약기업 자료조작의 의미와 입법 개선 방안-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8두8628 판결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the Legislative Suggestion about Data Manipulation of Pharmaceutical Companies in the Aspect of the Medicine Approval System

  • 박성민 (HnL 법률사무소/성균관대학교 제약산업학과) ;
  • 신영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융합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투고 : 2021.12.13
  • 심사 : 2021.12.29
  • 발행 : 2021.12.31

초록

최근 제약기업이 조작한 자료를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 의약품 품목허가를 받은 사례들이 적발되었다. 국회는 제약기업의 자료조작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입법을 하였다. 현재와 같은 의약품 품목허가 제도는 Elixir Sulfanilamide 사고나 탈리도마이드 사고와 같이 의약품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피해를 초래한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의약품 품목허가에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의약품 품목허가는 제약기업이 제출한 자료에 조작이 없다는 신뢰를 토대로 한 심사를 통해 우리 사회에 진입 가능한 위험에 대한 잠정적 허용 결정이다. 제약기업의 자료조작은 국민의 생명, 건강에 위해를 가하고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경쟁력에 위해를 초래한다. 제약기업의 경제적 이윤 동기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제약산업에서 자료조작이 '합리적인' 선택으로 자리잡을 우려가 있고 그럴 경우 그로 인한 피해가 일상화된다. 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8두8628 판결은 제약기업이 아닌 제3자가 자료조작을 하였고 자료조작을 하지 않았어도 품목허가 요건이 충족되는 사례에서 의약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엄격하고 엄정한 기준이 요구된다고 밝히며 의약품 품목허가 취소 처분이 위법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대법원의 입장이 타당하다. 제약기업이 자료조작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이익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약기업이 자료조작을 선택할 경제적 유인을 약화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해당 의약품의 품목허가를 취소할 뿐만 아니라 제약기업이 그로 인하여 얻은 '부당한' 이익을 환수해야 한다. 그리고 자료조작 적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자 고발을 활성화하고 품목허가 심사료 현실화 등을 통하여 품목허가 심사 인력 등 심사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recently enacted laws to fortify sanctions about data manipulation of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medicine approval system is the result of legislative efforts to prevent accidents that caused damages to patients' life and health. The medicine approval system is based on the trust that the data submitted by pharmaceutical companies is not manipulated. The Supreme Court of Korea clarified that strict standard shoud be required to secure the medicine safety in Supreme Court Decision 2008Du8628 decided November 13, 2008. We agree. This paper suggest legislation to weaken the economic incentives for pharmaceutical companies to choose data manipulation by minimizing the expected profit. In addition to revoking the marketing authorization of the medicine, the 'unfair' profits the pharmaceutical company has earned must be recover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discover data manipul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view capacity and to activate the whistle-blow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섭, "법적인 근거가 없음에도 공행정을 정당화하는 행정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 「행정판례연구」 17-1집, 박영사, 2012.
  2. 김중권, "리스크 행정법으로서의 약사법의 의의에 관한 소고", 「중앙법학」, 2005.
  3. 김중권, "약사법상의 신약의 허가와 재심사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 2006.
  4. 김태호, "하자있는 수익적 행정처분의 직권 취소 복제의약품 허가 및 그 직권취소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행정판례연구」 15-1, 박영사, 2010.
  5. 박성민, 제약기업의 자료조작 등 약사법 위반사례와 재발방지를 위한 제언, 제약기업 윤리경영 강화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 국회의원 강병원 의원실, 2020. 7.
  6. 선정원,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기준의 위반과 법적 제재", 「행정법 연구」 제23호, 2009.
  7. 선정원, "의약품 품목허가의 취소와 변경", 「의약법연구」, 2019.
  8. 안동인, "비례원칙과 사법판단권의 범위", 「행정법원구」 제34호,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9. 오상호, "산재은폐의 법적 쟁점과 과제", 「노동법 연구」, 2018.
  10. 윤혜선, 「리스크규제에 관한 공법적 연구-식품안전법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1. 이재현, 약사법 해설, 데일리팜, 2011.
  12. 전병남, "감기약 콘택600 제조물책임사건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의료법학」 제10권 1호, 2009.
  13. 홍정선, "행정행위의 취소: 의약품 알로피아정 사건", 「행정법판례특강」 제2판, 박영사, 2012.
  14.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2021. 6.
  15. 한국바이오협회, 미국 FDA, 2022년 회계연도 심사수수료 확정, 2021. 8.
  16. Carol Ballentine, Sulfanilamide Disaster, FDA Consumer magazine, 1981.
  17. Daubert v.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509 U.S. 579, 1993.
  18. Ilyse D. Barkan, Industry invites regulation : The Passage of the Pure Food and Drug Act of 1906, AJPH, 1985.
  19. Milestones in U.S. Food and Drug Law History. https://www.fda.gov/about-fda/fdas-evolving-regulatory-powers/milestones-us-food-and-drug-law-history [최종방문일: 2021. 10. 12.]
  20. Neil Bargesson, Thalidomide-induced teratogenesis: History and mechanism, Birth Defects Res C Embryo Today, 2015.
  21. Robert D. Cooper, Thomas Ulen, 한순구 역, 법경제학, 경문사, 2009.
  22. Roseann B. Termini, Food and Drug Law, Forti Publications, 2017.
  23. Shelly R. Slaughter et al, FDA Approval of Doxylamine-Pyridoxine Therapy for Use in Pregnancy, NEJM,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