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원각사(圓覺寺)13층탑(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The Modern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 Nam, Dongsin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9.20
  • 심사 : 2021.11.30
  • 발행 : 2021.12.20

초록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먼저 제II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비미(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기관(奇觀)'내지 '위관(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였다. 이어서 제III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IV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theories connected to the Wongaksa Temple Pagoda that have developed over the last 100 years focusing on the original number of stories the pagoda would have reached. Part II of this paper retraces the dynamic process of the rediscovery of the Wongaksa Temple Pagoda by Westerners who traveled to Korea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Koreans at the time viewed the Wongaksa Temple Pagoda as an object of no particular appeal or even as an eyesore. However, Westerners appreciated it as a wonder or magnificent sight. Since these Westerners had almost no prior knowledge of Buddhist pagodas, they were able to write objective travelogues. At the time, these visitors generally accepted the theory common among Joseon intellectuals that Wongaksa Temple Pagoda once had thirteen stories. Part III focuses on Japanese government-affiliated scholars' academic research on the Wongaksa Temple Pagoda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pagoda as a cultural property during the colonial era. It also discusses issues with Japanese academic research and management. In particular, this portion sheds light on the shift in theories about the original number of stories of the Wongaksa Temple Pagoda from the ten-story theory supported by Sekino Tadashi (關野 貞), whose ideas have held a great influence on this issue over the last 100 years, to the thirteen-story theory and then to the idea that it had more than thirteen. Finally, Part IV addresses the change from the multi-story theory to the ten-story theory in the year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until 1962. Moreover, it highlights how Korean intellectual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predominantly accepted the thirteen-story theory. Since 1962, a considerable quantity of significant research on the Wongaksa Temple Pagoda has been published. However, since most of these studies have applied the ten-story theory suggested in 1962, they are not individually discussed in this paper. This retracing of the history of theories about the Wongaksa Temple Pagoda has verified that although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for supporting the thirteen-story theory, it has not been proved in the last 100 years. Moreover, the number of pagoda stories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in academia. The common theory that both Wongaksa Temple Pagoda and Gyeongcheonsa Temple Pagoda were ten-story pagodas was first formulated by Sekino Tadashi 100 years ago. Since the abrasion of the Wongaksa Temple Stele was so severe the inscriptions on the stele were almost illegible, Sekino argued that the Wongaksa Temple Pagoda was a ten-story pagoda based on an architectural analysis of the then-current condition of the pagoda. Immediately after Sekino presented his argument, a woodblock-printed version of the inscriptions on the Wongaksa Temple Stele was found. This version included a phrase that a thirteen-story pagoda had been erected. In a similar vein, the Dongguk yeoji seungnam (Geographic Encyclopedia of Korea) published by the orders of King Seongjong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documented that Gyeongcheonsa Temple Pagoda, the model for the Wongaksa Temple Pagoda, was also a thirteen-story pagoda. The Wongaksa Temple Stele erected on the orders of King Sejo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Wongaksa Temple Pagoda evidently shows that Sekino's ten-story premise is flawed. Sekino himself wrote that "as [the pagoda] consists of a three-story stereobate and a ten-story body, people call it a thirteen-story pagoda," although he viewed the number of stories of the pagoda body as that of the entire pagoda. The inscriptions on the Wongaksa Temple Stele also clearly indicate that the king ordered the construction of the Wongaksa Temple Pagoda as a thirteen-story pagoda. Although unprecedented, this thirteen-story pagoda comprised a ten-story pagoda body over a three-story stereobate. Why would King Sejo have built a thirteen-story pagoda in an unusual form consisting of a ten-story body on top of a three-story stereobat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King Sejo's intention in building a thirteen-story pagoda, analyzing the Wongaksa Temple Pagoda is necessary. This begins with the restoration of its original name. I disprove Sekino's ten-story theory built upon flawed premises and an eclectic over-thirteen-story theory and urge applying the thirteen-story theory, as the inscriptions on the Wongaksa Temple Stele stated that the pagoda was originally built as a thirteen-story pagoda.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0년도 서울대학교 미래기초학문분야 기반조성사업으로 지원되는 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大東金石書」(京城帝大法文學部 影印, 1932)
  2. 「大東地志」(金正浩)
  3. 「東國輿地備攷」(저자 미상)
  4. 「東國輿地勝覽」
  5. 「續東文選」
  6. 「漢京識略」(柳本藝 著)
  7. <朝鮮城市圖>(1830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8. <京城圖>(19세기 전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3256)
  9. <塔洞宴帖>(작가 미상, 1803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0. 「朝鮮王朝實錄」
  11. 「金陵集」
  12. 「晩村漫稿」
  13. 「三溟詩集」
  14. 「拭疣集」
  15. 「雅亭遺穚」
  16. 「正菴集」
  17. 「경향신문」
  18. 「동아일보」
  19. 「매일신보」
  20. 「조선일보」
  21. 「朝鮮總督府官報」
  22. 「朝鮮古蹟圖譜」 제6책(朝鮮總督府, 1918) 및 제13책(朝鮮總督府, 1919)
  23. 「朝鮮金石總覽」 下(朝鮮總督府, 1919)
  24. 「朝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要覽」(朝鮮總督府, 1937)
  25.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朝鮮總督府, 1923)
  26. 高裕燮, 「松都古蹟」, 京城: 博文出版社, 1946.
  27. 高裕燮, 「高裕燮全集」 4, 서울: 通文館, 1993.
  28. 金映遂, 「朝鮮佛敎史藁」, 京城: 中央佛敎專門學校, 1939(謄寫本).
  29. 金瑢俊, 「朝鮮美術大要」, 서울: 乙酉文化社, 1949.
  3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천사 십층석탑」 II 연구 논문, 대전: 2006.
  31. 궁중유물전시관, 「원각사 10층대리석탑 특별전」 (개관두돌기념전 도록), 1994.
  32. 權相老, 「朝鮮佛敎略史」, 京城: 新文館, 1917.
  33. 李能和, 「朝鮮佛敎通史」 下, 京城: 新文館, 1918.
  34. 서울역사박물관, 「탑골에서 부는 바람: 백탑파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15.
  35. 유본예 저.장지연 역해, 「한경지략」, 파주: 아카넷, 2020.
  36.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성남: 신구문화사. 2015.
  37.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서울: 청년사, 1999.
  38. 關野 貞 지음; 沈雨晟 옮김, 「조선미술사」, 서울: 東文選, 2003.
  39. E. Burton Holmes 지음; 이진석 옮김, 「1901년 서울을 걷다」, 서울: 푸른길, 2021.
  40. Isabella B. Bishop 지음; 이인화 옮김,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서울, 살림, 1994.
  41. Percival Lowell 지음; 조경철 옮김,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 사람들」, 서울, 예담, 2001.
  42. 關野 貞, 「韓國建築調査報告」(東京帝國大學工科大學學術報告 6), 東京帝國大學工科大學, 1904.
  43. 關野 貞, 「朝鮮美術史」, 京城: 朝鮮史學會, 1932.
  44. 關野 貞, 「朝鮮の建築と藝術」(關野博士記念事業會 編), 東京: 岩波書店, 1941.
  45. 關野 貞, 「朝鮮藝術の硏究」, 1910; 「韓国倂合史硏究資料」 92, 東京: 龍溪書舍, 2011 復刻.
  46. 杉山信三, 「朝鮮の石塔」, 東京: 彰國社, 1944.
  47. 幣原坦, 「朝鮮史話」, 東京: 富山房, 1924.
  48. A. Henry Savage-Landor, COREA OR CHO-SEN :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London: William Heinemann. 1895.
  49. E. Burton Holmes, Seoul, The Capital of Korea(Travelogues-with Illustrations from Photographs by the Author. Vol. 10), New York: The McClure Company, 1908.
  50. Isabella B. Bishop, Korea & Her Neighbours. Vol. 1, London: John Murray, Albemarle Street, 1898.
  51. James S. Gale, Korean Skteches,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898.
  52. Percival Lowell,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Boston: Ticknor and Company, 1886. 2nd edition.
  53. 高裕燮, 「朝鮮塔婆槪說」, 「新興」 6, 1932
  54. 高裕燮, 「高裕燮全集」 3, 서울: 通文館, 1993.
  55. 高裕燮, 「우리의 美術과 工藝」, 「동아일보」 1934. 10. 20. 3면.
  56. 高裕燮, 「扶蘇山 敬天寺塔」, 「高麗時報」 1940. 9. 16; 「高裕燮全集」 4, 서울: 通文館, 1993.
  57. 高裕燮, 「朝鮮 塔婆의 硏究(其二)」, 「朝鮮塔婆의 硏究」. 서울: 乙酉文化社, 1948.
  58. 高裕燮, 「扶蘇山敬天寺塔」, 「高麗時報」 1940. 9. 16.
  59. 權悳奎, 「塔公園(一)」, 「동아일보」 1921. 10. 6. 1면.
  60. 金敬注, 「朝鮮文化와 佛敎(3)」, 「동아일보」 1934. 7. 10. 3면.
  61. 文明大, 「圓覺寺10層石塔 16불회도의 도상특징-한성의 조선초기 조각-」, 「講座 美術史」 19, 2002.
  62. 尙玄居士, 「大圓覺寺碑陰記」, 「朝鮮佛敎界」 2, 1916.
  63. 蘇在龜, 「圓覺寺址十層石塔의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6.
  64. 申紹然, 「圓覺寺址 十層石塔의 西遊記 浮彫 硏究」,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5. 愼銀貞, 「敬天寺十層石塔의 綜合的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6. 禹貞相, 「圓覺寺塔婆의 思想的 硏究-特히 十三會에 對하여-」, 「東國思想」 1, 1958.
  67. 李能和 尙玄, 「大圓覺寺經像鍾塔事蹟一括」, 「佛敎振興會月報」 1-1, 1915. 3.
  68. 李炳熙, 「朝鮮前期 圓覺寺의 造營과 運營」, 「文化史學」 34, 2010.
  69. 李相佰, 「圓覺寺始末考」, 「鄕土서울」 2, 1958.
  70. 崔南善, 「朝鮮歷史講話(18)」. 「동아일보」 1930. 2. 1. 4면.
  71. 葛城末治, 「朝鮮金石文」, 「朝鮮史講座」 제14호, 1924.
  72. 關野 貞, 「韓國京城廢大圓覺寺石塔婆」, 「考古界」 제3편 제4호, 1903.
  73. 關野 貞,「談山神社十三重塔」, 「建築雜誌」 231, 1906.
  74. 關野 貞, 「朝鮮の石塔婆(五)」, 「國華」 第24編 第280號, 1913.
  75. 關野 貞, 「朝鮮美術史」, 「朝鮮史講座」 제11호, 1924.
  76. 關野 貞, 「韓國藝術の變遷に就て」, 「韓紅葉」, 1909, 度支部建築所 「韓国倂合史硏究資料」 92, 東京: 龍溪書舍, 2011 復刻.
  77. 金澤庄三郞, 「韓國の首都京城」, 「朝鮮月報」 4, 1900.
  78. 藤島亥治郞, 「朝鮮塔婆の樣式と變遷」, 「塔婆之硏究」, 1933.
  79. 小田幹治郞, 「京城塔洞公園の塔碑」, 「朝鮮總督府月報」 第5卷 第1號, 1915.
  80. 朝鮮總督府, 「朝鮮金石文の陳列」, 「朝鮮總督府月報」 제4권 제9호, 1914.
  81. 杉山信三, 「朝鮮圓覺寺多層石塔造立年次への疑ひ」, 「日本建築學會研究報告」 4, 1949.
  82. 幣原坦, 「京城塔洞の古塔に關する諸記錄に就て」, 「韓国研究会談話録」 第3号, 1903.
  83. 幣原坦, 「パコダ公園の古塔考」, 「朝鮮硏究」 第1卷 第9號, 1928.
  84. Horace N. Allen, "The Marble Pagoda: or Stone Pagoda", The Korean Repository, April, 1895.
  85. James S. Gale, "The Pagoda of Seoul",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VI, part II, 1915.
  86.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viewMain.do)
  87.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88.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8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kyu.snu.ac.kr/)
  90. 한국고전번역원 (https://www.itkc.or.kr/main.do)
  91.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main)
  92. NAVER 뉴스라이버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