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end of Digital Content Industry

디지털 콘텐츠 산업동향에 관한 연구

  • 배성필 (순천향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Received : 2021.03.10
  • Accepted : 2021.03.31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age does not simply convey content but includes all the transactions that arise from its interaction. The types and forms of information being traded through this interaction are recognized differently from the contents that have been passed on to mankind so far by creating new meaningful content. Because the distribution of interactive content transcending the concept of time-to-time in the network environmen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ccess to added value in the new world, unlike the content of simple concepts seen in the products of communication so far.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Korean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Korean digital content industry to lead the global market in the future. Specifically, first, we want to learn about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Second,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industrial trends of digital content at home and abroad. Third, we present a plan to streamline digital content. Fourth, deriv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In this work,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irst, in order for Korea to enter a digital content powerhouse, each government department must first break away from the selfishness of the ministry and actively cooperate to efficiently establish and implement various policies. Second, e-books should be introduced just as current paper and CD-ROM titles are exempt from VAT, and security solutions,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pyright issues should be urgently addressed to revitalize the market. Third, the demand for high-quality content should increase as information infrastructure such as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and satellite broadcasting is established.

4차산업혁명 정보화 시대의 콘텐츠는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들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거래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상호작용하면서 거래되고 있는 정보의 종류와 형태는 새로운 의미(종류)의 콘텐츠를 만들어 지금까지 유통됐던 콘텐츠와는 다르게 인식되고 있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시공간을 초월해 상호작용하는 콘텐츠의 유통은 지금까지의 의사소통 측면의 단순한 내용과 달리 새로운(변화된) 세계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한국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문제를 인식하고, 앞으로 한국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세계 시장을 리드하기 위한 학술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디지털 콘텐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국내외 디지털 콘텐츠의 산업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이 디지털 콘텐츠 강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정부 각 부처가 이기주의를 탈피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해 제반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 시행해야 한다. 둘째, 현재의 종이책과 CD롬에 부가세 면제 혜택을 주듯이 전자책에도 이를 도입해야 하고, 특히 관련 기술 개발, 보안 솔루션, 저작권 문제는 전자책 업체에 대한 투자 확대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셋째, 고속 정보통신망, 위성방송 등의 정보 인프라가 구축함으로써 질 높은 콘텐츠의 수요를 증가시켜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정부의 다양한 지원방향과 한국의 디지털 컨텐츠 문제점에 대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준호.김병준.조지원.박지희(2006), 인터넷 상에서의 컨텐츠 비즈니스 유형변화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양희웅(2008), 디지털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유통 효율화 방안,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동희(2002), 우리나라호텔 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웹사이트 콘텐츠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한봉기(2004) Digital 환경에서의 digital contents design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5.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2), 디지털콘텐츠산업 현황 및 전망.
  6. 홍성욱(2001), 전자상거래에 있어 인터넷 컨텐츠 유료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Joline Morrison, Doug Vogel(1998),'The impacts of presentation visuals on persuasion', Information & Management, Vol. 33(3), pp.125-135. https://doi.org/10.1016/S0378-7206(97)0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