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Population Distributed in Munseom(island), a Natural Monument

천연기념물 문섬의 담팔수 개체군 특성 및 관리방안

  • Choi, Byoung-Ki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Lee, Ho-Sang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Seo, Yeon-Ok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Choi, Hyung-Soon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Yang, Ju-Eun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Song, Kuk-Man (Institute of Jeju's Cultural Heritage) ;
  • Song, Gwan-Pil (Jeju biological resources)
  • 최병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이호상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서연옥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최형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양주은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송국만 (제주문화유산연구원) ;
  • 송관필 (제주생물자원(주))
  • Received : 2021.02.05
  • Accepted : 2021.03.15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Munseom (Island) is known as the largest native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in Korea. Recently, disease damage from th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community has been reported in Munse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amage situ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population in Munse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ontaneous regeneration potential of the community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of surviving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and to discuss ways to restore native habitats. A total popul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status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The field survey carefully recorded the height of tree, DBH, DRH, and growing status, along with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The growth status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distributed in Munseo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ee height, DBH, DRH of each individual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populations identified in Munseom was 293. The dens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community reported in 2005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greatly damaged or damaged. In particular, the damage was more serious in mature trees with a height of 6m or more forming the canopy layer in the for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80.6% of the mature trees died.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old-growth tree,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health of the forest based on DRH, 75.4% died or the growth condition was found to be poor. In order to restore the native habitat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 Munseom, conservation efforts such as pest control, preservation of mature trees, control of the territory of young trees, and reintroduction after ex-situ transplantation etc. are considered necessary.

문섬은 국내 최대 담팔수 자생지로 알려져 있는 섬이다. 최근 문섬에서 담팔수군락의 병해피해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담팔수 최대 자생지인 문섬지역에 대해 담팔수 개체군의 피해상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담팔수 생존개체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군락의 자생적 재생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자생지 복원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 개체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체군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개체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생육상태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 개체의 생육상태와 각 개체들의 수고, 흉고직경, 근원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섬에서 확인된 담팔수 총 개체군 수는 293본이었다. 2005년 문섬 육상생태 환경조사보고서에서 보고한 울창한 담팔수군락은 현재 크게 훼손되거나 피해를 입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특히 숲의 수관구조를 이루는 수고 6m이상의 성목에서 피해는 더욱 심각하여 성목의 80.6% 개체가 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원경을 기준으로 숲의 건강성을 지표하는 장령목 생육특성에서도 75.4%가 고사하거나 생육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섬의 담팔수 자생지 복원을 위하여 병해충 방제, 성목 보존, 유령목의 적정 간격유지 및 현지 외 이식 후 재도입 등의 보존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현장조사를 위해 출입을 협조해 준 문화재청 및 서귀포시 자연문화재관리과에 감사드리며, 현장조사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해 노력해준 김양지 연구원에게 고마움을 표합니다.

References

  1.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2021). http://nature.go.kr/
  2. 서귀포시, 한국자연유산보전협회(2005). 서귀포시 문섬과 범섬의 육상생태계 및 자연유산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3. 천연기념물센터(2021). https://www.nhc.go.kr/
  4. 이건우(2020). Phytoplasma에 의해 발생하는 담팔수 쇠락증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GBIF(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2021). Searching for Species. https://www.gbif.org/
  6. 송국만, 김양지, 서연옥, 최형순, 최병기(2019). 제주도 노거수 자연유산의 100년 전과 현재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2): 20-29.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2.020
  7. 제주특별자치도.제주문화예술재단(2009).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제주특별자치도.
  8. 임정철, 류태복, 안경환, 최병기(2016).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4): 57-65.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4.057
  9. Bugmann, H.(2001). A Review of Forest Gap Models. Climatic Change. 51(-): 259-305. https://doi.org/10.1023/A:1012525626267
  10. Edward E.C., Richard T.(1989). Secondary Succession, Gap Dynamics, and Community Structure in a Southern Appalachian Cove Forest. Ecology. 70(3): 728-735. https://doi.org/10.2307/1940223
  11. Lim, J. C., Choi, B. K., Kim, S. Y. and Kim, J. W.(2016). Korean traditional village forest (Ma-Eul-Soo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 case study on the Sachon-Ri Garo-Soop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59(-): 515-524. https://doi.org/10.1007/s12374-015-0572-0
  12. Finegan, B.(1984). Forest succession. Nature. 312(-): 109-114. https://doi.org/10.1038/312109a0
  13. 임혁성, 심우경(2005). 노거수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 -천연기념물 노거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94-101.
  14. 김효정, 박동진, 이종성(2008). 노거수의 과학적 보존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108-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