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Jazz Musicians and Audiences in Jazz Club

재즈클럽의 재즈 뮤지션과 관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정우식 (호서대학교 문화영상학부)
  • Received : 2021.01.09
  • Accepted : 2021.02.08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jazz musicians playing in domestic jazz clubs and audiences visiting jazz clubs in depth.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find out the subjective views of jazz club musicians and audiences about jazz club performances,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present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azz musicians perceived jazz clubs as the center point of their musician career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jazz clubs were a place where jazz lovers gathered voluntarily, and where they could enjoy musical communication in a comfortable atmosphere. Second, jazz club performances gave jazz musicians the autonomy to play and considered them suitable for creating optimized sounds, and the audience recognized that jazz musicians could experience performances vividly on stage close to the audience. Third, the way jazz musicians interacted with the audience was active for musical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the audience preferred the way that interaction could contribute to their performance, and the audience recognized the interaction through musical communication with the musician and the musician's consideration for the audience. Fourth, jazz musicians played a major role in realizing a performance in which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was complete, and audiences perceived interaction as a joy of improvisation, a bond with jazz musicians, and a special experience. This study confirmed the jazz club's status as a cultural space for the public's jazz enjoyment as well as a performance base that ultimately promotes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jazz gods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jazz performance planning and jazz club operation from an art management perspective.

본 연구는 국내 재즈클럽에서 연주하는 재즈 뮤지션과 재즈클럽을 방문하는 관객간의 상호작용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재즈클럽의 뮤지션과 관객이 재즈클럽이라는 연주공간과 재즈클럽 공연에 관해 갖는 주관적 견해를 질적 연구 방법론인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알아보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 뮤지션은 재즈클럽을 뮤지션 경력의 구심점으로 인식했고, 관객의 관점에서 재즈클럽은 재즈 애호가들이 자청해서 모이는 공간이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음악적 소통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었다. 둘째, 재즈 클럽공연은 재즈 뮤지션에게 연주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최적화된 사운드를 만들어 내기에 적합하다고 여겼고, 관객은 객석에 근접한 무대에서 재즈 뮤지션의 연주를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다고 인식했다. 셋째, 재즈 뮤지션과 관객과의 상호작용방식은 관객과의 음악적 소통을 위해 적극적이면서, 상호작용이 본인 연주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식을 선호했고, 관객은 뮤지션과의 음악적 교감과 관객을 향한 뮤지션의 배려를 통해 상호작용을 인식했다. 넷째, 재즈 뮤지션은 관객과의 상호작용이 완성도 있는 공연을 실현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데에 의미를 두었고, 관객은 상호작용을 즉흥 연주가 주는 희열, 재즈 뮤지션과의 유대감, 특별한 경험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는 재즈클럽의 뮤지션과 관객의 상호작용을 고찰함으로써 재즈클럽이 궁극적으로 국내 재즈 신의 발전과 확산을 도모하는 연주 저변이자 대중의 재즈향유를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위상을 확인했으며, 예술 경영학적 관점에서도 재즈 공연기획과 재즈클럽 운영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호서대학교의 재원으로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번호: 20200427.

References

  1. 권향원(2016), 현상학과 사회과학연구: 정책연구에의 질적 방법론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1): 355-394.
  2. 김의근(2013), 한국재즈클럽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책(2013a), 이 땅의 재즈 팬들의 단상(2), 「엠엠재즈」, 184: 52-55.
  4. 김책(2013b), 한국 재즈클럽의 역사, 「엠엠재즈」, 186: 52-55.
  5. 박재홍(2014), 국내 재즈클럽 관람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로이 셔커(1999), 대중음악사전, Key Concepts in Popular Music(이정엽.장호연 역), 서울: 한나래.
  7. 송남은.류유희.장웅조(2020), 취미에서 직업으로, 「예술경영연구」, 55: 5-38.
  8. 신혜선.윤현경(2020),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예술경영연구」, 55: 75-113.
  9. 양영자(2020),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31-60.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31
  10. 요하임 E. 베렌트(2004), 재즈북-래그타임부터 퓨전 이후까지, Das Jazzbuch(한종현 역).서울: 이룸.
  11. 유옥란(2019), 재즈클럽공연에서 관람욕구.공연만족.행동의도 간의 관계, 「인문콘텐츠」, 54: 213-229.
  12. 이남인(2014),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 현상학의 지평」, 서울: 한길사.
  13. 장문권(2019), 한국 재즈클럽의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8): 107-115.
  14. 정우식.정의숙(2015), 재즈 확산을 위한 라디오재즈프로그램의 발전 방안, 「예술경영연구」, 34: 141-179.
  15. 정우식(2017), 재즈클럽 야누스를 통한 한국 모던 재즈 씬의 전개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20: 51-92.
  16. 정우식(2020a), Q 방법론을 적용한 재즈 공연 관객의 유형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53: 5-45.
  17. 정우식(2020b), 재즈 뮤지션의 재즈클럽과 잼 세션에 관한 인식 연구, 「대중음악」, 26: 197-238.
  18. 황덕호(2017a), 한국재즈의 잠복기, 「샘터」, 564: 100-101.
  19. 황덕호(2017b), 위대하여라! 1978년, 「샘터」, 565: 100-101.
  20. 황지훈(2017), 연주자들의 경험에서 살펴본 한국 재즈클럽 그 공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Andreasen, A. R. & Belk, R. W.(1980), Predictors of attendance at the performing ar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112-120. https://doi.org/10.1086/208800
  22. Brand, G. , Sloboda, J. , Saul, B. ,& Hathaway, M.(2012),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jazz musicians and audiences in live performances: A pilot qualitative study, Psychology of Music, 40(5): 634-651. https://doi.org/10.1177/0305735612448509
  23. Burland, K. & Pitts, S. E.(2012), Rules and expectations of jazz gigs, Social semiotics, 22(5): 523-543. https://doi.org/10.1080/10350330.2012.731895
  24. Creswell, J. W. & Poth, C. N.(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
  25. Davis, M. & Troupe, Q.(1989), Miles:The Autobiography, New York: Touchstone Book.
  26. DeVeaux, S.(1997), The Birth of Bebop: A Social and Musical Histo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Earl, P. E.(2001), Simon's travel theorem and the demand for live music,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2: 335-358. https://doi.org/10.1016/S0167-4870(01)00037-X
  28. Ford, B. & Sloboda, J. A.(2012), Learning from artistic and pedagogical differences between musicians and actors' traditions through collaborative process. In H. Gaunt & H. Westerlund(Eds.),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music education: Why, what, and how? Aldershot, UK: Ashgate.
  29. Gioia, T.(2016), How to Listen to Jazz, New York, Basic Books.
  30. Glesne, C.(2011),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4th ed.), Pearson.
  31. Hasse, J. E. & Lathrop, T.(2012), Discover Jazz. New Jersey: Pearson.
  32. Kubacki, K.(2008), Jazz musicians: creating service experience in live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20(4): 401-411. https://doi.org/10.1108/09596110810873516
  33. Lund, N. L. & Kranz, P. L.(1994), Notes on emotional components of musical creativity and performance, Journal of Psychology, Vol.128: 635-640. https://doi.org/10.1080/00223980.1994.9921291
  34. MacDonald, R. & Wilson, G.(2005), Musical identities of professional jazz musicians:a focus group investigation, Psychology of Music, 33(4): 395-417. https://doi.org/10.1177/0305735605056151
  35. Marying, P.(200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um: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1-10. https://doi.org/10.1075/forum.1.2.01del
  36. Packer, J. & Ballantyne, J.(2011), The impact of music festival attendance on young people's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Psychology of Music, 39(2): 164-183. https://doi.org/10.1177/0305735610372611
  37. Peterson, J. M.(2000), Jam session: An Explor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n Uptown Jam Session, Master Thesis, Rutgers University.
  38. Pinheiro, R. F.(2014), The jam session & jazz studies, International Review of the Aesthetic & Sociology of Music, 45(2): 335-344.
  39. Sullivan, L. T.(2018), Birdland, the Jazz Corner of the World: An Illustrated Tribute, 1949-1965, Pennsylvania:Schiffer Book.
  40. Sloboda, J. A., Lamont, A., & Greasley, A. E.(2009), Choosing to hear music: Motivation, process, and effec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 Sloboda, J. A.(2010), Music in everyday life:The role of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2. Strang, R. A. & Gutman, J. & Greasley, A. E.(1980), Promotion policy in the Arts, Marketing the Arts, New York: Praeger.
  43. Throsby, C. D.(1990), Perception of quality in demand for theatr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14(1): 65-82. https://doi.org/10.1007/BF02268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