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ffusion of Chinese Creator's Contents among Korean YouTube Use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of Creator Fengtimo's YouTube Video Network

중국 크리에이터 영상콘텐츠의 국내 소비에 대한 네트워크 구조와 확산 영향요인 연구 - '펑티모' 동영상의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 손재영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Received : 2021.01.10
  • Accepted : 2021.02.07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YouTube video network and the factors for the diffusion of Chinese creator's videos through the case of famous Chinese creator Fengtimo. There is few interest to the diffusion of Chinese contents among Korean researchers, while they have been studied the consumption of Hallyu(Korean wave) contents overseas. Using the data that YouTube Data API offers, this study analysed the video network that the comments of which are same users with NodeXL tools and the regression model with JASP tools.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three groups of the YouTube channels of that network. They are domestic official accounts of Fengtimo, foreign officail accounts of Fengtimo and individual creators' accounts. The official accounts share the videos of Fengtimo's songs and entertainment contents for the fans, where the individual creators share their own meme videos(UGC).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diffusion in the YouTube video network are comments, likes, out-degree, dislikes, in-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fficial channel and indivisual groups on the views. And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have mediating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 on that subject with many other cases if we want to get to know the generalized explanation.

본 연구는 중국의 커버가수이자 유명 크리에이터인 '펑티모(Fengtimo)'의 동영상이 국내에서 어떠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소비되는지, 확산의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것이다. 국내 문화산업계와 학계에서 중국 시장을 한국 콘텐츠의 대상 시장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어, 중국 콘텐츠의 국내 소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가지고 있는 유명 크리에이터 영상콘텐츠의 사례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게시자들의 그룹은 국내 공식채널, 국내 개인 유튜버, 해외 공식 채널로 크게 구분되며, 연결정도와 매개중심성 모두 국내 공식채널 그룹에서 게시한 동영상들의 값이 높았다. 공식채널 그룹의 연결정도 상위 영상들은 주인공인 펑티모의 핵심 콘텐츠인 커버송 및 팬 소통 영상이었다. 이에 반해 국내 개인 유튜버들의 연결정도 상위 영상들은 밈(meme) 현상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콘텐츠의 확산을 나타내는 조회수에 대한 영향요인은 댓글수, 좋아요수, 외향연결정도, 싫어요수, 내향연결정도, 매개 중심성의 순서로 유의했다. 게시자 특성에 따른 확산 영향은 국내 공식채널 그룹과 개인 유튜버 그룹 간의 차이가 유의했다. 연결정도와 매개중심성은 일반요인과 콘텐츠 확산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선행연구들 사이에 시점이나 콘텐츠 종류 등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다르게 보고되고 있어,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검증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민(2016), 「한류와 경영」, 서울: 푸른길.
  2. 권성호.김성미(2011),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 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교육」, 1(1): 65-82.
  3. 김수도.조환규(2012), 온라인 게시글의 조회수 분석을 통한 인기도 예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40-5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040
  4. 김수철.강정수(2013),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강남스타일>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0(1): 84-120.
  5. 김영길(2017), 왕홍 경제 모델에 대한 탐색적 분석, 「성균차이나브리프」, 5(1): 55-60.
  6. 김영찬(2007), '미드'(미국드라마)의 대중적 확산과 방송사 편성담당자의 '문화생산자' 그리고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19(2): 35-61. https://doi.org/10.22854/SBC.2007.19.2.35
  7. 김자민(2020), 유튜브 점유율 90% 동영상 앱 압도적 1위, 「TV조선」, 7월 28일.
  8. 김현진.안민호(2019),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유튜브 콘텐츠 관계망분석(SNA)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28-37. https://doi.org/10.5392/JKCA.2019.19.12.028
  9. 노정연(2020), 한국 83%가 유튜브 사용 카톡보다 사용시간 2.5배 높아, 「경향신문」, 10월 8일.
  10. 디지털뉴스부(2019), 팬만 1840만명 '고양이송' 펑티모에 관심 집중, 「국제신문」, 1월 29일.
  11. 문화연대(2007), 「13회 문화콘텐츠 포럼」.
  12. 박병언.임규건(2015),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Youtube)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19-36. https://doi.org/10.13088/JIIS.2015.21.3.19
  13. 송정은.장원호(2013),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 홍콩의 10-20대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155-16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155
  14. 심두보.민인철(2011), 아시아 대중문화 지형과 한국의 대만드라마 수용의 맥락, 「아세아연구」, 54(2): 155-184.
  15. 안서원.박병화(2019), 창의적 소비에 대한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의 특성과 댓글을 통한 소비자 반응분석: IKEA Hack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2(1): 95-118.
  16. 왕안열.권병웅(2019), 중국 한팬의 K-POP 팬덤 형성요인 IPA 분석, 「예술경영연구」, 49: 87-115.
  17. 윤태일.이수안(2018), 「파이썬으로 텍스트 분석하기」, 서울: 늘봄.
  18. 이선정.이수범(2018), 유튜브 상에서의 K-뷰티 한류 콘텐츠 확산 전략 연구, 「GRI 연구논총」, 20(3): 231-259.
  19. 이종수(2008), 미국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과 온라인 팬덤 한국의 프리즌브레이크 팬카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3): 213-254.
  20. 이학식.임지훈(2013), 「SPSS 20.0 매뉴얼」, 서울: 집현재.
  21. 이혜준.이동일(2013), 온라인 상품평의 정보적 특성이 소비자 정보 조회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28(3): 209-238.
  22. 이효석(2019), 초등생 장래희망 3위 '유튜버', 「연합뉴스」12월 10일.
  23. 장리리.김성자.이중희(2019), 중국 웹3.0시대 왕홍(网红)의 형성과정과 인기요인 연구, 「아시아연구」, 22(4): 301-321.
  24. 최순욱.최성인.이재현(2020), 유튜브에서의 뮤직비디오 팬덤 분석: BTS M/V의 시청, 댓글 상호작용, 밈 영상 제작, 「한국언론학보」, 64(1): 7-45.
  25.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2017), 「사드, 그 이후의 한류」.
  26. 홍주현.류춘렬(2013), 유튜브를 통한 국가 간 민족주의 이슈의 확산과정 연구, 「한국언론학보」, 58(6): 181-214.
  27. 황서이.박양우(2019),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한 한국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 변화: 198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학술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50: 5-31.
  28. Chatzopoulou, G., Sheng, C., & Faloutsos, M.(2010).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popularity in YouTube, Proceedings of INFOCOM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Workshops.
  29. Xu, W. W., Park, J. Y., Kim, J. Y., & Park, H. W.(2016). "Networked cultural diffusion and creation on YouTube: An analysis of YouTube mem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60(1): 104-122. https://doi.org/10.1080/08838151.2015.1127241
  30. Yoganarasimhan, H.(2012). "Impact of social network structure on content propagation: A study using YouTube data", Quantitative Marketing and Economics, 10(1): 111-150. https://doi.org/10.1007/s11129-011-9105-4
  31.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10081026011
  32.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90129.99099011855
  33. 녹스인플루언서 https://kr.noxinfluencer.com/youtube/channel/UCZIiy1V0xkG5t2ZeV_xuhiw
  34.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1210057800004
  35. TV조선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8/202007289005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