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2019 Safety Report, one accident involving hard landing has caused 41 deaths. The accident was analyzed to be caused by the pilots' final judgement of making a forced the landing in unstabilized conditions. The factors leading to hard landings are unstabilized approach, misjudged flare, inappropriate planning, unexpected change in weather etc. This research aimed to look into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hard landings by utilizing the quick access recorder (QAR) data of 24 recorded hard landing incidents of B777, such as descent rate, flight path angle, threshold passing altitude, initial flare altitude etc. The main causual factors were derived to be low vertical path and late flare. In order to promote proactive an precautionary measures, stabilized approach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ntinuous monitor of flight path angle below 200 ft to maintain proper vertical path.
2019년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 보고에 따르면 하드랜딩 사고 1건으로 인해 승객 4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는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 상태에서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하여 발생한 하드랜딩 사고로 파악되었다. 하드랜딩의 주요 원인으로 불안정한 접근, 조종사의 플레어(flare) 실수, 잘못된 계획,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국내 항공사의 B777 기종에서 발생한 24건의 하드랜딩 이벤트를 항공기 강하율(descent rate), 비행 강하각 (flight path angle), 활주로 시단 통과 고도 (threshold passing altitude), 초기 플래어 고도 (initial flare altitude) 등의 분석을 통해, 하드랜딩의 원인이 항공기 접지 전 낮은 비행경로 (low vertical path)와 조종사의 적절지 못한 플래어 시기(late flare)로 식별하였다. 이에 하드랜딩 이벤트 경감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으로 항공기의 안정된 접근(stabilized approach) 과 특히 200ft 이하의 고도에서 착륙 시까지 항공기의 낮은 비행경로가 되지않도록, 일정한 강하 각 유지를 위한 조종사의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