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o an Analysis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Elderly Single Person Households Living in Non-housing Accommodation to Move to Share House

신경망분석을 활용한 비주택 고령자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 의향에 미치는 중요 요인 분석

  • 성진욱 (서울주택도시공사 도시연구원) ;
  • 정기성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21.03.11
  • Accepted : 2021.03.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of the intention to live in shared housing while focusing on the elderly single person households who live in non-housing accommodation. As an analysis metho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ulti-layer perceptron model was compu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move to shared housings are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reat of eviction', 'Occupancy type', 'Intention to move to Public Rental Housing (PRH)' and 'Relationship with neighborhoods'. A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t might be necessary to provide an elderly-friendly shared housing model in SMA when relating to the 'aging in place'. Finally, the public sector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supply of the elderly customized shared housing in order to revitalize the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주택이외 거처에 거주하는 고령자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사에 미치는 중요 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자 맞춤형 공유주택 유형 개발 및 공급 계획의 방향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모형을 연구의 방법론으로 사용하였으며, 신경망 분석으로 산출한 노드별 가중치 값을 가중치 분할법을 사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택 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고령자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향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은 수도권 거주 여부, 퇴거위협, 점유형태,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 이웃과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고령자 맞춤 공유주택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주거 안정성 측면에서 공공 공유주택 공급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체 의식의 회복 차원에서 고령자 공유주택 공급 확대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신경망이 가지는 블랙박스(Black box) 한계를 줄이고 정확도 높은 예측을 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인권위원회(2018), 비주택 주거실태 파악 및 제도개선 방안.
  2. 국토교통부(2018), 주택이외의 거처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3. 김준희(2012), "비주택 주거안전기준 도입의 필요성: 쪽방, 고시원, 여관, 여인숙을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99: 8-26.
  4. 김진유.지규현(2007), "저소득가구 주거이동특성 분석 -수도권 국민임대주택 입주가구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2(1): 81-97.
  5. 김현진.안옥희(2008), "고령자용 소규모 그룹홈의 생활환경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3): 21-29.
  6. 남진.황인자(2006), "주택재개발구역 내의 세입자 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3): 69-82.
  7. 박금령.최병호(2019), "주거취약계층의 주관적 건강 수준과 삶의 만족도: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와 비주택 거주 가구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2): 500-518. https://doi.org/10.15709/HSWR.2019.39.2.500
  8. 서종균.김준희.조정구.요네다 사치코.강동균(2013), 비주택 거주가구 주거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특별시.
  9. 신은정(2015), "서울 청년 1인 가구의 셰어하우스 입주 의사결정 요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양영명, 정금호(2018), "전라남도 노인공동생활가정의 물리적 주거생활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0(2): 299-302.
  11. 염혜실.권오정(2014),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5(6): 123-132.
  12. 임병호.지남석.윤진성.이재우(2013), "임대주택 유형별 거주자의 주거인식 비교 연구", 국토계획, 48(2): 167-184.
  13. 임세정.권오정(2015), "대학생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도 조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2): 341-346.
  14. 임지수.권오정(2016),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생활공유형 쉐어하우스 탐색과 발전방향",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8(2): 240-245.
  15. 정기성(2018), "인공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인천시 주거취약계층의 행복주택 입주의향에 미치는 요인 분석", 주택연구, 26(3): 55-78.
  16. 정기성.기윤환(2018), "수요 특성별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분석-인천광역시 청년, 육아가족, 노인 계층 중심으로", 주택연구, 26(4): 29-52.
  17. 정원구.이상엽(2007),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가격지수 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5(3): 39-64.
  18. 조용준(2018), 빅데이터 SPSS 최신 분석기법, 한나래.
  19. 조태호(2017), 모두의 딥러닝, 길벗.
  20. 지예진.신화경(2017),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9(1): 145-150.
  21. 최준환.박서준.이도훈(2016),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외 공유 주택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7(5): 1-10. https://doi.org/10.6107/JKHA.2016.27.5.001
  22. 황명진(2020), "인구고령 사회의 노인복지와 커뮤니티케어", 공공사회연구, 10(2): 5-28.
  23. 황성민.이선영(2020), "1인 노인가구의 노인 공유주택 거주 후 평가: 서울시 공공 공유주택 거주 여성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대한주택학회지, 31(3): 11-20.
  24. Garson, G. D. (1991), "Interpreting neural-network connection weights", AI expert, 6(4): 46-51.
  25. Hagan, M.T., H.B. Demuth, M.H. Beale, and O.D. Jesus (2002), "An Introduction to the use of neural networks in control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obust and Nonlinear Control, 12(11): 959-985. https://doi.org/10.1002/rnc.727
  26. Muller, M.P., G. Tomlinson, T.J. Marrie, P. Tang, A. McGeer, D.E. Low, A.S. Detsky, and W.L. Gold (2005), "Can routine laboratory tests discriminate betwee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nd other cause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0(8): 1079-1089. https://doi.org/10.1086/428577
  27.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
  28.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https://mdis.kostat.go.k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