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ities - Future of the Earth and the Humanities Envisioned by the Ecofeminism of Carolyn Merchant's

인류세와 인문학 -캐롤린 머천트의 생태 페미니즘이 조망하는 지구와 인문학의 미래

  • 이윤종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Received : 2021.05.10
  • Accepted : 2021.06.1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academic topography of the discourses on the anthropocene to delve into how the humanities can insightfully respond to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Earth through the len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proposed in a 2020 book, 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ities: From Climate Changes to a New Age of Sustainability by a scientific philosopher, Carolyn Merchant. By publishing her latest book, 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ities, Merchant, a pioneering scholar of ecofeminism, has recently started into inquiring into the discourses on the anthropocene, meaning a geological age led by anthropos/humans. In one of her most distinguished works of 1980, The Death of Nature: Women, Ecology,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Merchant has revealed that the modern Western perception of nature, often identified with women, have been figuratively killing nature as well as women. Arguing in 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ities that the anthropocene has been enacting a "second death of nature," which has been practically and technially killing nature, Merchant calls for the insight of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that help us to build a "sustainable livelihood" based on the "partner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This paper contemplates on what humanities can do in the era of anthropocenic planetarian crisis with the environmental humanistic alternatives in ecofeminist perspective to overcome the anthropocenic crisis aggravated by the covid-19 occurred at the point when the climate change was viscerally felt by the humans in the twenty first century.

본 논문은 과학철학자 캐롤린 머천트의 2020년 신간 『인류세와 인문학: 기후변화부터 지속가능성의 새로운 시대까지』(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aties: From Climate Changes to a New Age of Sustainability)를 중심으로 2020년까지의 인류세 담론 지형을 살펴보고 머천트가 주창하는 환경 인문학적 렌즈를 통해 지구의 생태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인문학적 성찰을 고구해 보고자 한다. 생태주의와 페미니즘이 결합된 '생태 페미니즘'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캐롤린 머천트는 『인류세와 인문학』을 출간함으로써 가장 최근에 인류(anthropos)가 주도하는 지질시대를 뜻하는 '인류세(anthropocene)' 담론에 뛰어들었다. 머천트는 자신의 대표작인 1980년 저서, 『자연의 죽음』(The Death of Nature: Women, Ecology,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을 통해 근대 서구의 자연관이 자연을, 그리고 자연과 동일시되는 여성을 비유적으로 함께 살해해 왔음을 고발한 바 있다. 『인류세와 인문학』에서 머천트는 인류세 시대가 '제2의 자연의 죽음'을 행하고 있다며, 환경 인문학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인간과 비인간 자연의 '지속가능성'과 '동반자 관계'를 만들어갈 것을 주문한다. 본고는 21세기에 들어선 인류가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의 생태위기를 체감하는 시점에 발생한 코로나 19 감염병으로 가중된 지구의 인류세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문학이 할 수 있는 역할, 즉 환경 인문학적 대안을 생태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고찰해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Merchant, Carolyn, The Anthropocene and the Humanities: From Climate Change to a New Age of Sustainabil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20.
  2. 문화과학 편집위원회, 「인류세 Anthropocene」 특집, 「문화/과학」 97호, 문화과학사, 2019.
  3. 실비아 페데리치, 「캘리번과 마녀: 마녀사냥을 보는 새로운 시각, 수십만 "마녀들"의 처형을 통해 성립된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황성원.김민철 역, 갈무리, 2013.
  4. 이블린 폭스 켈러, 「과학과 젠더」, 민경숙.이현주 역, 동문선, 1996.
  5. 캐롤린 머천트, 「래디컬 에콜로지: 잿빛 지구에 푸른 빛을 찾아 주는 방법」, 허남혁 역, 이후, 2001.
  6. 캐롤린 머천트, 「자연의 죽음: 여성과 생태학, 그리고 과학혁명」, 전규찬 역, 미토, 2005.
  7. Crutzen, Paul J. & Eugene F. Stoermer, "The Anthropocene", IGPB(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Newsletter, No.41, 2000.5, pp.17-18.
  8. Haraway, Donna,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lucene,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16.
  9. Merchant, Carolyn (ed.), Major Problems in American Environmental History, Boston: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2.
  10. Merchant, Carolyn (ed.), The Death of Nature: Women, Ecology,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New York: Harper One, 2020.
  11. Mies, Maria & Vandana Shiva, Ecofeminism, London: Zed Books,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