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불타는 그라운드> 서사 특성 연구

  • 고훈 (연세대학교 BK21+ 근대한국어문학 미래인재교육연구팀)
  • Received : 2021.08.27
  • Accepted : 2021.10.13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epic characteristics of a korean sports cartoon called "Burning Ground" in the 1970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reveal that only "Burning Ground" has a unique narrative. We hope that such research will accumulate and serve as the basis for the study of Korean sports cartoon. In the 1970s and 1980s, Korean sports cartoons were narratives of the main characters. The story of the family is central to the narrative. Family revenge is mainly the central narrative. Plural narratives are serious, and sports act as auxiliary narratives. It uses 'Spocon', a characteristic of Japanese sports cartoons, to show its efforts to get revenge. Therefore, it is extremely rare to use professional knowledge in Korean sports cartoons in the 1970s. Burning Ground uses an escalating system to construct incremental narratives.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s composed by utilizing various narratives of surrounding characters. The use of expertise in football is a feature of the 1990s, and showing this in the 1970s means that the work is ahead of its time. There are limitations of Japanese cartoon theft and plagiarism. However, through this, it provides evidenc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imeless epic speciality must be recognize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roaden the perspective of Korean cartoon research in the 1970s.

본 연구는 1970년대 한국 스포츠 만화 중 <불타는 그라운드>라는 작품의 서사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불타는 그라운드>만이 지니는 독특한 서사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축적되어 한국 스포츠 만화 연구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한국의 스포츠 만화는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주인공 중심의 서사를 보여준다. 가족 중심의 이야기가 주요 서사로 자리하고 스포츠 종목은 그 이야기를 보조하는 형식에 그친다. 주로 가족의 복수를 다루는 중심 서사는 진지하게 표현되고, 스포츠 경기는 이러한 진지함을 희석하기 위해 유쾌하게 다룬다. 그래서 1970년대 한국 스포츠 만화는 경기 장면에서 유머 코드를 활용한다. 한편으로는 가족의 복수를 위해 절차탁마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근성' 있는 모습을 보여주려 한다. 그 결과 일본 스포츠 만화의 특성 중 하나인 '스포콘'의 양상을 그대로 가져온다. 그러다 보니 1970년대 한국 스포츠 만화에서 스포츠 종목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한 서사 전개는 극히 드문 일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불타는 그라운드>는 에스컬레이팅 시스템을 활용한 점층적인 서사를 구성하고, 주인공 중심의 서사만이 아닌 주변 인물의 서사를 다양하게 보여줌으로써 입체적인 서사 구조를 활용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축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방식은 1990년대에 등장하는 특징인데, 1970년대에 이러한 서사를 보여준다는 것은 시대를 앞서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일본 작품의 캐릭터 도용과 감정 표현 방식의 도용은 한계점으로 존재한다. 그렇지만 당시 만연한 일본 만화 도용과 표절의 문제를 통한 한일 만화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비판할 수 있는 근거 자료 제공 및 작품 자체가 지니는 시대를 초월한 서사적 특별함은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작업을 통해 1970년대 한국 만화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새소년」 73년 8월호~75년 4월호.
  2. 이상무, 「울지 않는 소년」, 씨앤씨레볼루션, 2017. (전3권)
  3. 고 훈, 「한국 스포츠 만화 서사 연구-80년대와 9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 고 훈, 「1970년대 스포츠 만화 <불타는 그라운드> 서사적 특성 연구」, 「만화 포럼칸」, (재)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20, 184-195쪽.
  5. 이상원.이원석, 「스포츠만화의 변화가 스포테인먼트 산업에 끼치는 영향-문화산업의 맥락에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8,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79-99쪽.
  6. 최샛별.최 흡, 「만화! 문화사회학적 읽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7. 홍윤표, 「스포츠 만화의 개척자, 박기정 화백과 황금의 팔을 찾아서」, 「근대서지」 19, 근대서지학회, 2019, 409-419쪽.
  8. <부활하는 스포츠 만화>, 「동아일보」, 2006.11.25. (www.donga.com/nesw/article/all/20061125/8377271/1)
  9. <'비주류' 김학범, 사리 첼시 감독처럼 은행원 출신>, 「중앙일보」, 2018.8.28. (https://news.joins.com/article/22919297)
  10. <원로 만화가 박기정 화백과 야구 만화의 원조 「황금의 팔」을 찾아서>, 「OSEN」, 2019.7.1. (http://osen.mt.co.kr/article/G1111176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