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Maternal Inner Strength on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내면의 힘이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전공)
  • Received : 2021.02.15
  • Accepted : 2021.04.12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by exploring pathways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maternal inner strength, and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Methods: A total of 329 mothers with 3-year-old children responded to online survey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maternal inner strength, and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maternal inner strength perfec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More concretely, a direct effect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was not found. It was also found that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effects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indirectly.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maternal inner strength was the greatest among all associations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maternal inner strength, and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have insights for research and practice, which emphasize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hat enhancing maternal inner strength and the power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maternal inner strength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maternal parenting competence.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 정미라, 이방실, 김민정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프랑스 어머니의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및 양육불안에 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34(6), 539-555. doi:10.18023/kjece.2014.34.6.023
  2. 강창동 (2008). 한국의 편집증적 교육열과 신분욕망에 대한 사회사적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14(2), 5-32.
  3. 고혜진 (2005).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중재 효과 및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 이방실 (2013). 만 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79-201.
  5. 김가윤, 신혜영 (2013). 아버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191-213.
  6. 김복선 (2011).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산하 (2015).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행복감의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상림, 박창현 (2016).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3), 451-464. doi:10.7856/kjcls.2016.27.3.451
  9. 김현수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내면의 힘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노현호 (2016). 어머니의 성인애착, 회복탄력성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뉴스핌 (2021. 01). 초저출산의 비극: 항상 엄마 몫?...아직도 용기 필요한 아빠 육아 휴직. https://m.newspim.com/news/view/20210105001050에서 2021년 2월2일 인출
  12.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 김상원 (2011). 인간발달과 가족. 경기도: 교문사.
  13. 문무경 (2017). 한국인의 자녀양육관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포럼. 51, 6-16.
  14. 박수연 (2019).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우울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윤정, 최미경 (2019).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47-68. doi:10.14698/jkcce.2019.15.05.047
  16. 박은하 (2014). 어머니가 인식한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우울지수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진영, 부성숙 (2014).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995-1007. doi:10.5392/jkca.2014.14.11.995
  18. 박희진, 문혁준 (2013). 영아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 우울, 사회적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3), 81-98.
  19. 서미정 (2017).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 및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 종단적 관련성. 육아정책연구, 11(3), 47-64. https://doi.org/10.5718/KCEP.2017.11.3.47
  20. 서성종 (2018).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서울일보 (2019. 08). 평생 아이 1명도 안낳는다...OECD내 유일한 초저출산국. http://www.seoul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83300에서 2021년 1월29일 인출
  22. 안라리, 김정아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6(1), 329-350.
  23.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용홍출, 황경열, 고일영, 김철 (2009).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16(2),115-134.
  25.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6. 윤서희 (20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금진 (2008).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망과 지원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43-61.
  28. 이영은(2017). 내면의 힘이 여성 폐암 환자의 삶에 질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은영, 이영애 (201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배우자 양육지원의 조절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 연구), 21(1), 125-151. doi:10.17641/kapt.21.1.7
  30. 이정신, 최영희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3(1), 19-32.
  31. 이지현 (2012). 만 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다빛나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미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부관계 인식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비교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 (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34.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55-373. doi:10.14698/jkcce.2015.11.2.355
  35. 정은희, 권연희 (2015).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육플로우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5(1), 105-120. doi:10.30528/jolss.2015.5.1.007
  36. 정추영 (2004). 사회적 지지가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선화 (2015). 유아 부모의 자녀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성호 (2015). 부부의 가사 및 육아분담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여성경제연구, 12(1), 163-187.
  39. 최경순 (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최미경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9(5), 31-44. doi:10.5723/kjcs.2018.39.5.31
  41. 최수현 (2016). 유방암 생존자의 내면의 힘과 삶의 질: 내면의 힘 이론을 기반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윤희, 문혁준 (2016).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6), 407-424.
  43. 최항준, 조수경, 김미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83-402.
  44. 표윤경 (2012).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하미정, 장영애 (2010).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 효능감과 일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1), 33-51.
  46. 홍세희 (2005).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47. Anicama, C. (2018). I think I can: the relations among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context, parenting practices, and preschooler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low income immigrant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48. Alpers, L., Helseth, S., & Bergbom, I. (2012). Experiences of inner strength in critically ill patients-A hermeneutical approach.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8(3), 150-158. doi:10.1016/j.iccn.2011.10.004
  4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50. Baruch, G. K., & Barnett, R. (1986).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and children's sex role attitudes. Child Development, 57, 1211-1223.
  51. Belsky, J., Crnic, K., & Wookworth, S. (1995). Personality and parenting: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transient mood and daily hassles. Journal of Personality, 63(4), 905-929. doi:10.1111/j.1467-6494.1995.tb00320.x
  52. Bigner, J. J. (1979). Parent-child relation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53.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11-135). Beverly Hills, CA: Sage. doi:10.1177/0049124192021002005
  54. Cohen, S., Underwood, L. G., & Gottlieb, B. H. (Eds.). (2000).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med:psych/9780195126709.003.0010
  55.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doi:10.1006/drev.1997.0448
  56.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doi:10.1002/imhj.10048
  57. Dingley, C., & Roux, G. (2014) The role of inner strength in quality of life and self-management in women survivors of cance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7(1), 32-41. doi:10.1002/nur.21579
  58.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doi.org/10.1111/j.1467-8624.1998.tb06224.x
  59. Hu, L. T., & Bentler, P. M. (1995). Evaluating model fit.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76-99). Thousand Oaks, CA: Sage. doi:10.4135/ 9781452226576.n6
  60. Jackson, A. P., Huang, C. C. (2000).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among single mothers ofpreschooler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26(4),29-42. doi:10.1080/01488370009511335
  61. Jackson, A. P., & Scheines, R. (2005). Single mothers' self efficacy, parenting in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in a two-wave study. Social Work Research, 29(1), 7-20. doi:10.1093/swr/29.1.7
  62.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doi:10.1080/10705511.2012.687667
  63. Lakey, B. (2010). Social support: Basic research and new strategies for intervention. New York: Guilford.
  64. Lamb, M. E. (1975). Fathers: Forgotten contributors on child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18(4), 245-257. doi:10.1159/000271493
  65. Levy-Shiff, R., Dimitrovsky, L., Shulman, S., & Har-Even, D. (1998). Cognitive appraisals,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4(6), 1417-1427. doi:10.1037/0012-1649.34.6.1417
  66. Lundman, B., Alex, L., Jonsen, E., Norberg, A., Nygren, B., Fischer, R. S. et al. (2010). Inner strength A theoretical analysis of salutogenic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2), 251-260. doi:10.1016/j.ijnurstu.2009.05.020
  67. Martinez-Torteya, C., Katsonga-Phiri, T., Rosenblum, K. L., Hamilton, L., & Muzik, M. (2018). Postpartum depression and resilience predict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in women with childhood maltreatment histor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1(6), 777-784. doi:10.1007/s00737-018-0865-7
  68. Mayer, J. D., Caruso, D. R., & Salovey, P. (2000). Selecting a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case for ability scales. In R. Bar-On, & J. D. A. Parker (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development, assessment, and application at home, school, and in the workplace (pp. 320-34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doi:10.1016/s0160-2896(01)00084-8
  69. Mead, G. H. (2010). Mind, self, and society, 정신.자아.사회(나은영 옮김). 파주: 한길사(원판 2010).
  70. Nichols, L. (2009). No matter what!: 9 steps to living the life you love. New York: Wellness Central.
  71. Ponnet, K., Mortelmans, D., Wouters, E., Leeuwen, K. V., Bastaits, K., & Pasteels, I. (2013).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relationship as determinant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Personal Relationships, 20(2), 259-276. doi:10.1111/j.1475-6811.2012.01404.x
  72. Rose, J. F. (1990). Psychological health of women: A phenomenologic study of women's inner strengt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2(2), 56-70. doi:10.1097/00012272-199001000-00009
  73. Roux, G., Dingley, C. (2011) Promoting inner strength. In J. Lester, & P. Schmitt (Eds.), Cancer rehabilitation and survivorship.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to personalized care (pp. 295-304). Pittsburgh, PA: Oncology Nursing Society. doi:10.1097/00012272-199001000-00009
  74.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doi:10.2307/113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