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ed for Separation of Software Completeness Appraisal and Software Ready-made Appraisal

소프트웨어 완성도 감정과 기성고 감정 분리 필요성에 대한 고찰

  • 김도완 (배재대학교 인터넷소프트웨어공학과)
  • Received : 2021.11.30
  • Accepted : 2021.12.2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n this study, problems of software completeness appraisal are pointed out and their solutions are presented by analyzing appraisal cases and judicial precedents. Completeness appraisal, ready-made appraisal, defect appraisal, and cost appraisal have been classified as and have been evaluated with extant software completeness appraisals. From a legal point of view, and in judicial precedent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of completeness and the completion rate.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completeness is evalua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software's development is complete, whereas the ready-made appraisal inspects the development progress of unfinished software. Often, in cases involving software completion rate, the total completion level is calculated by weighting each step of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However, completeness evaluations use the software's realization-operation as its sole criterion. In addition, another issue not addressed in existing software completeness appraisal cases is that there is no mention of who is responsible for software defects, whereas in case law, the responsible party is determined by finding who caused the dispute. In this paper, we systematically classify these problems, and present a novel evaluation method that separates software completeness evaluations from software completion evaluations.

본 연구에서는 감정사례 및 판례를 분석하여, 기존 소프트웨어 완성도 감정으로 분류되어 수행된 완성도감정, 기성고감정, 하자감정 및 비용감정의 문제점을 적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판례와 법률적 관점에서 완성도와 기성고율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완성도는 개발프로세스가 종료된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전제하는 반면, 기성고율 감정은 미완성된 소프트웨어의 개발진척도를 평가하기 때문이다. 종종 소프트웨어 기성고와 관련된 판례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 개발 절차에 따른 단계별 가중치를 인정하여 전체 기성고 또는 완성도를 산정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감정에서는 대부분 기능의 구현-작동여부 만을 완성도 비율 산정의 척도로 삼고 있는 문제도 존재한다. 또한 기존 소프트웨어 완성도 감정사례에서 다루지 않았던 문제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 하자에 대한 책임 소재 분석 및 감정이 언급되지 않고 있는데 반하여, 판례에서는 분쟁이 발생한 원인을 찾아 책임소재를 다투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제기된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소프트웨어 완성도감정과 소프트웨어 기성고감정을 분리할 것을 제안하고 감정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시열, 저작물 감정제도의 효과 및 개선제도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2. I. Sommerville, Software Engineering, 9th Edition, 2011
  3. 김태경, 컴퓨터프로그램 개발공급계약에 있어서 하자를 둘러싼 법률적 문제, 인권과정의, vol. 425, 2012
  4.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관련 감정사건 판례집(1), 한국저작권위원회, 2010
  5.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관련 감정사건 판례집(2),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6.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관련 감정사건 판례집(3),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7. https://www.bcs.org/articles-opinionand-research/a-study-in-project-failure/
  8. https://web.stanford.edu/class/archive/cs/cs295/cs295.1086/
  9. 민법주해XV, 박영사, 2000
  10.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647
  11. J. Nielsen,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1994
  12. 감정사건 판례집,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13. 대법원 2006. 10.13 선고 2004다21862판결
  14. Andrew Troelsen, C# and the .NET Platform, a! apress, 2001
  15. https://ko.wikipedia.org/wiki/
  16. https://www.lawinsider.com/dictionary/software-de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