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농업용수의 역할

  • 김성준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 ;
  • 이지완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 김원진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 김진욱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Published : 2021.02.26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Kim, S. J.,Park, G. A., and Kwon, H. J., 2007. Evaluation of paddy water storage dynamics during flood period in South Korea.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1(5), 269-276. https://doi.org/10.1007/BF02824091
  2. 김성준 등, 2013-2015. 지면모델을 이용한 물환경 기후변화 영향평가 연구(I)-(III), 국립환경과학원
  3. 문상호 등, 2012.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지질공학, 22(4), 387-398 https://doi.org/10.9720/kseg.2012.4.387
  4. 이봉주 등, 2015.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수막 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추정,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5(1), 35-43 https://doi.org/10.9720/kseg.2015.1.35
  5. 농림축산식품부, 2018, 2017 시설채소 온실현황 및 채소류 생산실적
  6. 통계청, 2018, 2017년 경지면적조사 결과
  7. 환경부, 2015. 상수도통계연보
  8. 환경부, 2017. 하수도통계연보
  9. 환경부, 2020. 물과 미래, 한국수자원공사 세계 물의 날 자료집
  10. 김성준 등, 2014-2021, 하천건천화의 시공간적인 원인 추적 및 영향평가 기술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