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Traditional Folktales in Fantasy Drama

판타지 드라마에 나타난 전승 설화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박찬익 (청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Received : 2020.12.01
  • Accepted : 2021.02.0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ntasy drama series Tale of the Nine Tailed, which uses the world view of a folktale and adopts the motif of reincarnation. Tale of the Nine Tailed adopted a cyclical structure where the fate of the past repeats itself in modern life.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s that are used in the drama series all share the same topic, but they also vary slightly by region or era. Tale of the Nine Tailed changes people's common negative perception of the nine-tailed fox. First of all, the series portrays the nine-tailed fox as an attractive male, rather than a seductive female. It also incorporated various episodes to tell the story of a heroic nine-tailed fox that uses supernatural powers to save not only those whom he love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Furthermore, it was a new attempt to bring the nine-tailed fox together with other characters from different folktales into a story to make different world views merge into on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raditional folktales are adapted and changed in fantasy drama series, and it explains how various types of result can be created from the storylines of traditional folktales and the imaginations of the authors.

본 논문은 설화적 세계관을 가지고 환생의 모티브를 차용한 판타지 드라마인 <구미호 뎐>을 고찰해 보았다. <구미호 뎐>은 과거의 운명이 현생에 반복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이 드라마의 주요 요소인 한국의 전승 설화는 같은 소재라 하더라도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주들을 보여준다. <구미호 뎐>은 그동안 일반에게 부정적 이미지였던 구미호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놓았다. 더구나 남자들을 홀리던 여자의 모습에서 매력적인 남성의 모습으로 바꾸고 구미호의 초능력을 사용하여 사랑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일반 사람들을 구하려고 애쓰는 히어로의 성격을 더하여 에피소드들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거기에 더하여 설화 속 인물인 구미호를 중심으로 여러 전승 설화의 주인공들을 등장시켜 하나의 세계관으로 통합시키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전승되는 내용에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설화 속 인물들은 입체적이고 현대적으로 각색되어 사건을 일으키고 갈등을 만들어내는 주체가 되었다. 드라마 <구미호 뎐>을 보면 전승 설화의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기본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전승 설화의 서사구조가 판타지 드라마에 어떻게 차용되고 변형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승 설화의 서사와 작가의 상상력이 만나 다양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 S. Kang, Myth, The mythical imagination shown in webtoon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 Cultural Policy, Vol.5, pp.89-115, Feb. 2011.
  2. J. A. Park, Y. J. Won, How Fantasy Becomes a Television Genr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enre Formation Process of Fantasy Drama, Journal of Journalistic Culture Research, Vol.27, pp.1-63. Dec. 2019.
  3. K. D. Baek, A Study on the Type and Meaning of Fantasy in Korea Television Drama, Journal of Korea Literature Criticism Research, Vol.58, pp.215-257, June. 2018.
  4. Y. W. Park. Utirization of Creative Material into Culture Contents, Seogang Humanities, Vol.30, 121-146, April. 2011.
  5. tvN, Story of Kumiho http://program.tving.com/tvn/tvnninetailed/7/Contents/Html (accessed Dec. 11. 2020)
  6. M. H. Lee, Multi-Layered Imagination and Cultural Hybrid about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Journal of International Language, Vol.82, pp.35-58. Sep. 2019. DOI: http://doi.org/10.31147/IALL.82.2
  7. Y. M. Kim, A study on the 'Fantasticity' and 'Rumor' Motif in the Tale of Ureonggaksy, Kotean language literature, Vol.88, pp.147-176, June. 2020. DOI: http://doi.org/10.31821/HEM.88.6
  8.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AC%B4%EA%B8%B0 (accessed Dec. 12, 2020)
  9. namu.wiki https://namu.wiki/w/%EC%96%B4%EB%91%91%EC%8.B%9C%EB%8B%88 (accessed Dec. 1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