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Jeju by analyzing the rate of parking demand and supply; Second, to determine the parking service imbalance between regions; and third, to elucidate the causes of this spatial structural parking service imbalance and provide effective measures. Due to the rapid population and tourism growth, Jeju is suffering from traffic congestion and serious parking problems. For this, the ways to efficiently utilize the existing parking spaces were identified through spatial structure analysis based on the parking demand and supply in the Jeju area. As short-term policy, the following changes were proposed: switching to small-scale eup or myeon blocks of parking space, use of shared parking system, and repairing side streets in residential areas. As mid-to-long-term policy, it is link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s follows: parking demand management policy through modal share by reorganiz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or expanding traffic facilities; securing park-and-ride lots; and different parking pricing for different time periods. To implement these policies, each area of the public sector, private sector, and private-public partnership should develop the bond of sympathy by areas and particip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주차 수급율 분석을 통한 제주지역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둘째, 주차서비스의 지역간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셋째, 이러한 공간구조상의 주차수요서비스의 불균형 원인을 해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주지역은 급격한 인구 증가 및 관광객 증가로 인하여 교통체증 및 심각한 주차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주차환경 악화는 차량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편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도 이해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주차실태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 만성적인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의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단기 정책으로 읍·면단위 소규모 블록단위 전환, 주차공유제, 이면도로 주택가 정비 등이다. 중단기 정책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한 정책이다. 이는 대중교통 노선개편, 대중교통시설확충을 통한 대중교통 분담율 향상을 통한 주차수요관리 정책, 외곽환승주차장 확보, 시간대별 주차요금 차등화 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민간분야, 민·관 공동분야의 각각의 분야별 주체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