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life satisfac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96 art psychological counselors in Sokcho city. As an analysis metho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Fir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and their overall life satisfaction, both the surface behavior and inner behavior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and their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e inner behavioral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labor,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workplace spirituality. This means that workplace spiritua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life satisfaction of art psychology counselors. This study is consider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pla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artistic psychological counselo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속초시 예술심리상담사 1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변수 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검증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전반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 내면행동 요인 모두 삶의 전반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모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주관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행동 요인만 삶의 주관적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예술심리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술심리상담사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