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lf-awareness of smartphone dependenc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response to the same. The data was drawn from a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17. The responses of 1,73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maximum value, 2-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22.3% of participants were at risk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63.6% of them were unaware of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perception of smartphone depend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smartphone dependence (=.35, p=.000) and the increasing use of applications such as games (=.19, p=.000), television/video (=.11, p=.000), and learning (=.11, p=.000). Of the participants with dependence awareness, only a few knew about the existence of centers to prevent smartphone and internet dependence. Moreover, they rarely utilized these centers. However, the participants felt the need for more counseling agencies (26.8%), programs for dealing with oneself (23.2%), information about smartphone dependence (14.9%), and help to overcome dependence (10.9%). These findings show the need to establish public service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access correct information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address this 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자각과 관련 요인, 자각 후 대처 행동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참여자 중 대학에 재학 중인 1,735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22.3%가 스마트폰 의존 위험에 있었고, 의존 위험자의 63.6%는 의존을 자각하지 못하였다. 의존 자각과 관련된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 위험의 증가(=.35, p=.000), 게임(=.19, p=.000), 영상(=.11, p=.000), 학업(=.11,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증가였다. 의존을 자각한 대상자가 문제해결에 필요한 관련 공공기관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22.8%가 스마트쉼센터를 알고 있었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36.6%, 아이윌센터는 14.1%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응답자 중 이용경험자는 스마트 쉼센터 5명, 아이윌센터 1명,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없었다. 응답자들은 의존을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상담센터(26.8%),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23.2%),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정보(14.9%),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10.9%)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5명 중 1명이 의존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의존 위험 대상자 3명 중 2명은 자신의 의존을 자각하지 못하며, 의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의존을 자각하더라도 실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공공기관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향후 이들이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올바른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