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by men's fashion type using flower images

꽃 이미지 남성복 패션 유형별 디자인 구성요소 분석

  • Kim, Jihy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
  • Yoo, Youngsu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20.11.11
  • Accepted : 2021.01.22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piration and methods for menswear design by analyzing elements for men's fashion using flower im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n's fashion types with flower images were categorized as classic tailored, casual tailored, casual wear, sports-outdoor. The order of frquency was casual tailored, casual, classic tailored, and sports outdoor. For the classic tailored type, the flower images are related with an X-line silhouette, and the arrangement methods, such as a scattered patterns, one-point patterns, and surface techniques, such as printing and embroidery were used, and similar color or monochromatic schemes appeared sequentially. For the casual tailored type, the flower images are related to an H-line silhouette, arrangement methods such as a scattered pattern, panel pattern, and surface techniques, such as print, embroidery, and jacquard were used, similar color and accent color schemes appeared sequentially. For the casual type, the flower images are related to H-line and Y-line silhouettes, and arrangement methods, such as a scattered pattern, all-round continuous pattern, and panel pattern, and surface techniques, such as print, jacquard, embroidery, and patchwork were used, similar color and contrast color schemes appeared sequentially. For the sports outdoor type, the flower image were related to A-line and H-line silhouettes, arrangement methods, such as a scattered pattern and all-round continuous pattern, and surface techniques, such as print and jacquard were used, monochromatic scheme and contrast color schemes appeared sequentially. Therefore, the flower images in men's fashion were applied to various design elements, and displayed an interesting result, different from conventional design approach.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숙. (2013).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자연문양디자인의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91-109.
  2. 김곡미. (2018). 꽃을 소재로 한 상품이미지분석과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4(1), 231-236. https://doi.org/10.17703/JCCT.2018.4.1.231
  3. 김소현. (2002).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공예적 소재표현기법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5(2), 43-58.
  4. 김해진. (2011). 현대 남성복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진, 이은숙. (2018). 남성복 컬렉션에 표현된 이미지 스타일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1), 167-181.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1.167
  6. 박상아, 양수현, 방민서. (2013). 국내 남성복에 나타난 색채 및 배색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7(1), 23-35.
  7. 박원경, 장남경. (2010). 꽃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3), 35-53.
  8. 박정은, 김태균. (2013). 자연물을 이용한 조형 속성과 형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4), 129-138.
  9. 변윤성. (2015). Duke of windsor 패션스타일을 활용한 남성복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채경. (2011). 모더니즘 양식에 의한 플로랄패턴의 미적 특성.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1), 231-239.
  11. 송채경. (2013).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어패럴 프린트디자인 플로랄패턴 구현.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1(3), 261-270.
  12. 안명숙. (1999). 현대인의 패션. 서울: 예학사.
  13. 안현주, 박민여. (2007). 메트로섹슈얼과 위버섹슈얼 이미지에 따른 남성패션 디자인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3), 99-113.
  14. 윤선애, 서예지, 김영인. (2017). 2010년 이후 여성패션에 적용된 꽃문양의 표현 방식과 색채 특성. 복식, 67(6), 1-12. https://doi.org/10.7233/jksc.2017.67.6.001
  15. 이명숙, 박순임. (2017).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플로럴 패턴 분석 및 패션트렌드 반영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2), 129.
  16. 이선화. (2009). Rococo 직물에 나타난 플로럴 패턴의 조형성. 복식, 59(10), 10-21.
  17. 이수철, 김소현. (2013). 플로럴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여성 어패럴 사례 연구 -세계 4대 컬렉션의 2009-2013 S/S 시즌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2), 376-388.
  18. 이영진. (2008). 꽃을 모티브로 활용한 컨템퍼러리패션 디자인 경향. 한국꽃예술학회지, 13(1), 81-94.
  19. 이지현. (2010). 20세기 한국 남성 성역할에 따른 남성복 디자인 변화 특성 연구. 복식, 60(8), 51-66.
  20. 이현지, 박옥련. (2004). 1990년대 이후 국내 남성복의 여성화경향. 한국의류학회지, 28(2), 364-375.
  21. 임시은, 김영인. (2016). 꽃문양이 표현된 패션스타일에 대한한국 여성의 선호도와 감성이미지. 복식, 66(2), 15-31. https://doi.org/10.7233/jksc.2016.66.2.015
  22. 임지영. (2006). 셔츠와 넥타이의 배색방법에 따른 조화감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장지혜. (2015).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룩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1), 505-519.
  24. 정미진. (2006). 꽃문양을 활용한 레트로 테크널러지 패션 디자인 연구. 복식, 56(7), 105-120.
  25. 정헤레나. (2016). 우아미를 주제로 한 플라워 모티브 드레스 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홍윤정, 김리라, 김영인. (2015). X세대 남성의 패션스타일 유형과 특성. 복식, 65(1), 150-163. https://doi.org/10.7233/jksc.2015.65.1.150
  27. 황정임. (2017). 플로럴 패션디자인의 조형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