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opriation of objects in critical fashion

크리티컬 패션의 오브제 전유 전략

  • Jung, Junghee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 Yim, Eunhyuk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0.11.09
  • Accepted : 2021.02.1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approach of critical fashion by comprehending the appropriation of art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influences contemporary fashion.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relevant literature to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critical fashion, and conducted a case study using exhibition catalogues, exhibition works, articles,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related websites in order to examine cases of appropriation strategies. As a subversion of meaning by using an existing transposable object image to deliver an experience unlike the actual image, subversive appropriation in critical fashion takes existing things as they are and rearranges them with the purpose of subverting social values while having its subversive style of appropriation. Referring to a style that focuses on labe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that refers and that which is referred to, referential appropriation has been reprogramming existing things with an internal and introspective attitudes. In other words, from an exploitative style of appropriation aimed at expanding the meaning with found in objects by avant-garde fashion designers, to a subversive style of appropriation aimed at subverting meanings with transposable objects by conceptual fashion designers, there has been a change toward the referential style of appropriation aimed at expanding artistic forms with created objects critical fashion design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자. (1986). 1960년대 팝 아트(Pop Art) 사조와 패션. 한국의류학회, 10(1), 69-84.
  2. 김유경. (2012).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투르베(Object Trouve)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3(2), 125-135.
  3. 김보영. (2010). 재현된 패션 오브제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빛나. (2014). 모스키노(Moschino)패션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지희. 유태순. (2003). 20세기 패션 디자인의 조형성 표현방법 연구: 오브제 사용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5(1), 17-24.
  6. 김의자. (2009). 은유의 표현방식과 의미 분석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승권. (2003). 셰리 레빈(Sherrie Levine)의 전유해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원희. (200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차용과 반복에 관한 연구: 일레인 스투르트번트. 마이크 비들로.세리 레빈.필립 타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정혜. (2005). 패션이 사랑한 미술. 파주: 아트북스.
  10. 김선영. (2011).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작품에 수용된 예술과의 교류. 복식문화연구, 9(2), 283-295.
  11. 김현정, 임은혁. (2018). 바흐친의 그로테스크 몸 담론을 통한 리 보워리의 작품 분석. 복식문화연구, 26(6), 823-835. https://doi.org/10.29049/rjcc.2018.26.6.823
  12. 나지언. (2018. 6. 2). 버질 아블로가 말하는 이케아와의 협업. GQKorea. 자료검색일 2018. 11. 5, 자료출처 http://www.gqkorea.co.kr/
  13. 류경미. (2004). 두안 핸슨의 하이퍼 리얼리즘 조각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류민정. (2011). 1980년대 미술에 나타난 차용(appropriation)방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문이자. (2015). 이브 생로랑과 68혁명 세대의 만남: 성차별 폐지에서 포스트모던 다문화패션까지. 서양사론, 126, 144-169.
  16. 문호경. (2002). 세리 르빈의 리포토그래피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14(1), 85-112.
  17. 박영태. (2013). 성찰적 근대화 이후 건축의 전복적 미메시스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18. 박혜경. (2011). 현대 패션에 표현된 광기 이미지 연구: 알렉산더 맥퀸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수진. (2020). 개념미술 관점의 패션 타이포그래피. 한국융합학회, 11(1), 109-117.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109
  20.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안영희. (1999). 현대미술사전. 서울: 미진사.
  22. 안세희. (2020). 부클렉 패션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수영. (2009). 하이퍼 리얼리즘 조각에 관한 연구: Duanson Hanson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문정. (2013). 타셈 싱(Tarsem Singh)의 영화에 차용된 애브젝트 아트(abject art)적속성: 영화<더 셀 The Cell>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3), 539-554.
  25. 이예은. (2010). 이브 생 로랑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상정. (2010). 차용미술(appropriation art)과 저작권. 서울법학, 18(1), 319-352.
  27. 이주연. (1998). 변모된 재현 개념이 미술사 서술에 끼친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은경. (2015). 포스트모던 시대의 패러디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은경. (2011). 오브제를 이용한 표현 기법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태경, 최정화. (2018). 현대 패션에 영향을 끼친 퍼포먼스 아티스트 작품의 페르소나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5), 585-599.
  31. 임근준. (2012. 8. 5).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걸작선: 스터트번트 VS 셰리 레빈-셰리 레빈의 <워크 에반스를 따라서>. Chungwoo. 자료검색일 2020. 1. 2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3868975
  32. 임근준. (2018a. 6. 15). "쇼의 미래를 예상하라"는 요청에 답한다: 패션쑈는 현대미술 프로젝트처럼 재창안: 변주될 운명이다.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7. 1,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5789
  33. 임근준. (2018b. 7. 15). 경제적/정치적/문화적/예술적(미학적) 전유의 동역학.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7236
  34. 장민한. (2014). 앤디 워홀에 있어서 차용의 의미: 아서 단토의 이론을 중심으로. 미학, 41 (0), 3-29.
  35. 정연심. (2012).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 프로덕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 한국미술이론학회 미술이론과 현장, 14, 187-215.
  36. 진경옥. (1997). 현대 패션디자인과 오브제 양식. 한국디자인학회, 22, 521-526.
  37. 최정화. (2016). 비합리적 초현실주의 신체 관점에서 바라 본 숍 윈도우 패션마네킹의 표현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7(5), 555-568.
  38. 최수미. (1998).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레디메이드(Read-Made)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한순자. (2014). 복식 디자인 이미지 차용에 대한 연구. 패션과 니트, 12(2), 1-10.
  40. 한국문화평론가협회 편. (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41. 황미희. (2017). 현대 여성의 사회적 욕망 표출에 관한 도자조형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Annamari, V., & Clark, H. (2018). Fashion curating: Critical practice in the museum and beyond.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43. Berge, P., (1996). Yves Saint Laurent. Paris: Assouline.
  44. Bourriaud, N. (2016). 포스트프로덕션.(정연심 역). 서울: 그레파이트온핑크.
  45. Bonnie, E. (2011). Japanese fashion designers: The work and influence of Issey Miyake, Yohji Yamamoto and Rei Kawakubo. London, New York: Berg.
  46. Bruderlin, M., & Lutgens, A. (2011). (Kunstmuseum Wolfsburg) Art & fashion: between skin and clothing. Bielefed: Kerber Verlag.
  47. Casdio, M. (2012. 6. 2). Leigh bowery. Vouge. 자료검색일 2018. 10. 1, 자료출처 https://www.vogue.it/people-are-talking-about/vogue-arts/2012/02/leigh-bowery
  48. Evans, C.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49. Granata, Francesca. (2016). Experimental fashion-performance art, carnival and the grotesque body(Dress cultures). London. New York: I. B. Tauri Academic Studies.
  50. Geczy, A., & Karaminas, V. (2017). Critical fashion practice: From Westwood to Van Beirendonck.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51. Geczy, A., & Millner, J. (2015). Fashionable art. New York, London: Bloomsbury.
  52. Harilel, D. (2015. 2. 27). Interview: fashion is art, says creative director Virgil Abloh. South China Morning Post. 자료검색일 2018. 11. 5, 자료출처 https://www.scmp.com/lifestyle/fashion-watches/article/1723989/interview-fashion-art-says-creative-director-virgil-abloh
  53. Krauss, R. (2003). 사진, 인덱스, 현대미술(LePhotographique)(최봉림 역). 파주: 궁리.
  54. Mitchell, Oakely Smith., & Alison, Kubler. (2013). Art/fashion in the 21st century. Thames & Hudson London.
  55. Teunissen, J., Nefkens, H., Arts, J., & van der Voet, H. (2014). The future of fashion is now: Dutch exhibition catalogue. Rotterdam: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56. MacDermott, Catherine. (1999). Vivienne Westwood. Carlton.
  57. Natalie, R. (n.d.). Her dark materials. Features. 자료검색일 2020. 6. 1, 자료출처 http://www.natalie-rigg.com/sylvie-fleury
  58.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 (2009). Masion Martin Margiela. NY: Rizzoli.
  59. Verner, A. (2017. 3. 3). Fall 2017 ready-to-wear Off-White. Vogue. 자료검색일 2018. 11. 13, 자료출처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off-white
  60. Webb, P. (1975). The erotic arts. London: Thames and Hudson.
  61. Wood, G., (2007). The surreal body: Fetish and fashion. Victoria & Albert Museum.
  62. Wollen, P. (1998). Addressing the century: 100 years of art & fashion. London: Hayward Gallery.
  63. Yaffe, A. (1979). 미술과 상징(이희숙 역). 파주: 열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