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ydrogen Energy Safety accor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Hydrogen Economy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른 수소에너지 안전성 고찰

  • Received : 2021.12.10
  • Accepted : 2021.12.26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global hydrogen economy and the safety of energy sources currently in use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hydrogen economy. Understanding the hydrogen economy, identifying government policy trends, compar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with existing energy sources such as gasoline, propane, and methane, and evaluating damage impact for each energy source using PHAST, a quantitative damage impact assessment program. Using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safety of hydrogen energy to revitalize the hydrogen econom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safety.

본 연구는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른 글로벌 수소경제 현황과 현재 사용 중인 에너지원들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수소경제의 이해와 정부 정책 동향 파악, 기존 사용 에너지인 가솔린, 프로판, 메탄과의 특성 비교 분석 및 정량적 피해영향평가 프로그램인 PHAST를 활용하여 각 에너지원별 피해영향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활용해 본 연구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에너지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안전성 제고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2019)
  2. John O'M. Bockris., 수소 에너지의 경제와 기술, (2005)
  3.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19)
  4.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자동차 충전소 기준해설서, (2018)
  5. Shin, S. C., "The study on Ignition Risk of Automotive Gasoline by Electrostatic Discharg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18)
  6. Park, W. I., Kang, S. K., and Kim, D. H., "Safety Analysis Of Potential Hazards at Hydrogen Refueling Station", Korea Institute of Gas, 2021(4), 43-48, (2021)
  7. HSE, "Guidance on ALARP decisions in COMAH, United Kingdom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19)
  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GUIDE P - 107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2016)
  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GUIDE P - 102 사고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