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shoes illustration applying characteristics of David Hockney's painting

데이비드 호크니의 회화 특성을 활용한 패션 슈즈 일러스트레이션

  • Choi, Yonsoo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Jekal, Me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Younhe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최연수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 제갈미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 Received : 2021.09.15
  • Accepted : 2021.11.29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David Hockney's paintings to fashion illustration and thereby, review how pure art can be harmoniously grafted onto fashion commodities and thereupon, suggest a far more developed and unique fashion illustration. For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David Hockney's late painting works, after the 1980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photo collages, multiple perspectives, the movement of the viewpoint, and lights and colors. In order to produce an artwork, the researcher selected 4 painting works; one work for decade for the period from the 1980s to the 2010s. This study selected 'shoes' as subjects for expression in an effort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 approach of focusing on apparel and thereby, suggest some differentiated fashion illustrations. In terms of the artwork production size, four canvases #5 were combined into a set, and thus, a total of four sets were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y interesting to develop a fashion illustration making use of David Hockney's paintings, and it was proven that the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the sensitivity of the pure art would provide a unique sense of art. Secondly, as the boundary among disciplines becomes blurred, painting provides a new source of insights and motifs to the diverse design areas to satisfy diversified human needs, and furthermore,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ed application of the fashion illustrations could be confirmed. Thirdly, David Hockney's differentiated world of art, technique of expression and sensitive colors could well be applied to fashion illustrations. This study proves that we fashion artists can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focused on the apparel to expand the fashion illustration into lady's high heels.

Keywords

References

  1. 김행지. (2012). 데이비드 호크니의 초기 구상회화에 나타나는 언어적 요소와 평면 인식에 관한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37(35), 109-143.
  2. 김현아. (2000). 데이비드 호크니 조형론.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데이비드 호크니. (n.d.). 20세기 영국이 낳은 거장! 팝 아티스트 데이비드 호크니. 자료검색일 2020. 12. 12, 자료출처 https://www.pinterest.co.kr/pin/ 656258976931081666/
  4. 마르코 리빙스턴. (2013). 데이비드 호크니(주은정 역). 시공사: 서울.
  5. 박순기 (2013). 데이비드 호크니의 포토꼴라주에 나타난 현대 기하학과 시각내러티브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양지선. (2017). '플랙' 뉴욕패션위크서 팝아트 담은 17S/S 공개. 자료검색일 2020. 11. 20, 자료출처 https://blog.naver.com/fashionbiz_/220764902460
  7. 윤대영. (1999). 데이비드 호크니의 회화 작품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선미. (1998). 데이비드 호크니의 다중원근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정은. (2007). 데이비드 호크니의 다중원근법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재은. (2013). 데이비드 호크니의 회화에 나타나는 이동시점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미술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도현. (2007). 데이비드 호크니의 포토꼴라주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미술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전영백. (2018). 데이빗 호크니의 '눈에 진실한' 회화: 1980년대 이후 반원근법, 비사진적 풍경화를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48, 153-181.
  13. 정나영, 정은영. (2016). 에드워드 호퍼와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에 나타난 시선과 응시의 교차에 관한 소고. 기초조형학연구, 17(6), 539-550.
  14. 정미정, 조기주. (2016). 불안과 연극성이 표현된 회화 연구 - 호크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8(8), 199-224.
  15. 정영한. (2015).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지, 16(5), 605-617.
  16. 정효신. (2016). '휴고보스' 17 S/S 뉴욕컬렉션서 공개. 자료검색일 2020, 11, 20,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TN/?idx=156338
  17. 하상희. (2014). 중첩 구조로 표현된 이중적 시간의 시각화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허승연. (2019). 그로테스크의 특징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1), 35-45.
  19. Arthur. (n.d.). Pablo Picasso, A Weeping Woman, 자료검색일 2020. 12. 12, 자료출처 https://arthur.io/art/pablo-picasso/a-weeping-woman
  20. Hockney, D. (n.d.). works. 자료검색일 2020, 12, 5, 자료출처 https://www.hockney.com/works
  21. Gayford, M. (2012). 다시, 그림이다 (A)bigger message : conversations with David Hockney. 디자인 하우스: 서울.
  22. Portrait painting. (2011. 11. 30). David Hockney mother 1, Yorkshire Moors 자료검색 일, 2020. 12.12, 자료출처 http://portraitpainting2011.blogspot.com
  23. The David Hockney Foundation. (n.d.). 자료 검색일 2020. 12. 12, 자료출처 https://thedavidhockneyfoundation.org
  24. Tim Blanks. (2013, 6, 17). Burberry Prorsum spring 2014 menswear. 자료검색일 202 0, 12, 2, 자료출처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4-menswear/burberry-prors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