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 석혜정 (오산대학교 패션스타일리스트과) ;
  • 조신현 (장안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21.09.15
  • Accepted : 2021.12.02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153 women aged 40-5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OVA, Duncan's test,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SPSS Process MACRO #4 was borrow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1)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mo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me differences were found. 3)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middle-aged women experience an increase in self-efficacy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mprovements in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such self-efficacy, not just enhancing life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other words, appearance management increases life satisfaction through an ego-discovery process.

Keywords

References

  1. 강평미. (2017).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와 외모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성희. (2017).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욱. (2010). 중년여성의 자기애성향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현정. (2009). 남녀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역할정체감과 외모관련태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연. (2020). X, Y, Z세대의 메트로섹슈얼 선호와 성격이 심리적 특징 및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문혜경, 유태순. (2001).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우울성향 및 스트레스정도에 따라 의복태도와 화장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1(5), 77-94.
  7. 박광희, 김인숙. (2013).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4), 554-564. https://doi.org/10.5805/SFTI.2013.15.4.554
  8. 박세진, 김경희. (2019).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행복감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패션과 니트, 17(1), 35-46.
  9. 박영례, 손연정. (2009).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6(3), 353-361.
  10. 배정순. (2020). 노인의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효능감과 신체이미지의 이중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대식, 이명선. (2018). 메이크업테라피가 우울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24(4), 671-679.
  12. 이선옥. (2014). 중년여성의 외모관리, 나이듦의 태도, 정서, 신체 증상 및 자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숙영. (2004). 중년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외모에 대한 태도가 피부관리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희, 박길순. (2011).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복식문화연구, 19(5), 1075-1087.
  15. 이영분, 오선영. (2011). 중년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복지융합연구, 3(1), 77-91.
  16. 이현주. (2008).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지현, 김선우. (2012).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14(2), 127-156.
  18. 장우귀, 박영신, 김의철. (2007). 대학생의 인간관계,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토착문화심리적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25(1), 1-21.
  19. 장혜선. (2014).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문경, 오은주.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4(2), 83-93.
  21. 정여주, 홍성례. (2012).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 관계 연구 -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3), 239-257.
  22. 전진수. (2003). 실버여성의 화장(化粧)태도 및 화장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기여, 유태순. (1997) 자기효능감 , 화장근접도 , 의복근접도의 상관관계. 복식, 32, 183-200.
  24. 조기여. (1997). 자기효능감, 퍼스널 스페이스, 의복 근접도, 화장 근접도와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조선영. (2014). 성인여성의 생활연령과 지각연령의 차이가 외모관리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차경선. (2017). 성인여성대학생의 고등교육 평생교육만족도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자아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보, 31(4), 247-262. https://doi.org/10.18398/KJLGAS.2017.31.4.247
  27.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홍성례. (2011).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71-87.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071
  29. Bandura, A. (1990). Perceived self-efficacy in the exercise of personal agency.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2), 128-163. https://doi.org/10.1080/10413209008406426
  30. Lennon, S. J., & Rudd, N. A. (1994). Linkages between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3(2), 94-117. https://doi.org/10.1177/1077727X9423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