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ical Symbolism of the Shamanic Song of Princess Bari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무가 바리공주의 심리학적 상징성 :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 Received : 2021.04.03
  • Accepted : 2021.06.17
  • Published : 2021.06.25

Abstract

Princess Bari, the seventh daughter of the King and Queen, is abandoned at birth. She one day embarks on a solitary journey into the underworld to seek the antidote she needs to save her ailing father. The shamanic myth then depicts terrible ordeals, after which the Princess manages to obtain the elixir of life to bring her parents back to life, leading to her deification as the Queen of all shamans. The life of Princess Bari as the ancestor of shamans incorporates the necessary rite of passage to become a shaman, persevering through all manner of trials and tribulations until death and then being reborn. Princess Bari's story of deification as the goddess of shamans constitutes the archetype or the primitive image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my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Princess Bari, who became the Queen of shamans after undergoing a process of pain, death, and then rebirth demonstrates a facet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evident in heroic mythology. Princess Bari not only cured her parents of disease but also brought them back to life. What enabled her to obtain the elixir to resurrect her parents was her love and compassion for them based on self-sacrifice, enduring all the trivial and repetitive undertakings of everyday life. She viewed the world and behaved from the perspective of a broader Self. Making herself a powerful healer through the ordeals in the underworld, Princess Bari is the psychopomp as well as the healer archetype. The sacred power of healing that goes beyond the Princess' sufferings represents the Self Archetype inherent in the mentality of the Koreans, in other words, a symbolic power that indicates the divine representation of a healer.

바리공주는 부모인 왕과 왕비의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나자마자 버림을 받지만, 병든 아버지를 살리기 위한 약을 얻기 위해 홀로 저승에 간다. 그리고 험난한 시련을 통하여 재생의 불사약을 가져와 죽은 부모를 살리고 신격을 획득함으로써 만신의 왕이 되는 무속신화이다. 무당의 조상인 바리공주의 삶에는 시련과 고통을 견디며 죽고, 새롭게 탄생해야 하는 무당의 필수적인 입무과정이 내포되어 있다. 바리공주가 신성을 획득하여 무조의 신이 되는 그 이야기속에서,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 원초적 상인 신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고통, 죽음, 재생의 과정을 거치고 만신의 왕이 된 바리공주는 영웅신화에서 볼 수 있는 개성화 과정의 일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리공주는 부모의 병을 그냥 고치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서 살아나게 하였다. 죽은 부모를 살아나게 하는 생명의 약을 구할 수 있었던 것은 바리공주가 일상의 하찮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며 견딘 자기희생적인 부모에 대한 사랑과 자비이다. 바리공주는 자아의 입장보다 넓은 자기(Self)에 입각해서 세상을 바라보고 행동하였다. 저승에서의 고행 속에서 치료자의 조건을 갖춘 바리공주는 영혼의 인도자이며, 치유자원형인 것이다. 이렇게 바리공주의 고통을 넘어선 신성한 치유의 힘은 한국인의 심성 속에 내재한 자기원형, 즉 치유자의 어떤 신적인 상을 깨우쳐 주는 상징적 힘인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옥(2010) : 「바리공주」의 불교제재 수용양상, 비교한국학, Vol.18, No.2.
  2. 김열규 역(2003a) : ≪그림형제 동화전집 I≫, 현대지성사. 고양.
  3. 김열규 역(2003b) : ≪그림형제 동화전집 II≫, 현대지성사. 고양.
  4. 김열규 역(2003c) :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아카넷, 서울.
  5. 김영민(2002) : 바리공주 무가에 나타난 영육관과 저승관, 문화연구, 7.
  6. 김영희(2015) : "무속신화 칠성풀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심성연구≫, (30)1,2, (1).
  7. 김진영, 홍태한(1997) :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 민속원, 서울.
  8. 김헌선(2015) : ≪한국 무조 신화 연구-비교 신화학의 자료적 가치와 의의≫, 민속원, 서울.
  9. 김환희(2005) : "<바리공주>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외국의 생명수 탐색담 및 니샨샤만과의 비교연구", ≪동화와 변역≫, 제10집.
  10. 국립국어연구원(2000) :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서울.
  11. 나카무라 하지메, 원영 역(2004) :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문예출판사, 서울.
  12.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이부영 역(2016) : ≪C. G. 융 우리시대 그의 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13.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이부영, 이광자 옮김(2018) :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
  14.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윤기 역(2003) : ≪샤마니즘≫, 까치, 서울.
  15. 박상란(1994) : 여성영웅의 일대기, 그 두 가지 양상-바리공주와 정수정전을 중심으로-, 동원논집, Vol.7.
  16. 서대석(2002) :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서울.
  17. 신연우(2013) : 바리공주와 중국<妙善> 및 유사설화 비교의 관점, ≪한국민속학≫, 제27집.
  18. 아니엘라 야훼, 이부영 역(2012) : ≪C. 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19. 아키바 다카시와 아카마츠 지죠, 최석영 해제(2008) : 한국 근대 민속.인류학 자료 대계 ≪조선 무속의 연구 상권≫, 민속원, 서울.
  20. 아서 코트렐(도서출판 까지 편집부 역)(2002) : ≪그림으로 보는 세계 신화 사전≫, 까치, 서울.
  21. 안상훈 엮음(2003) : ≪세계민담전집2 러시아편≫, 황금가지, 서울.
  22. 이나미(2010) : 융, 호랑이 탄 한국인과 놀다. 민음인, 서울.
  23. 이부영(1970) : "사령의 무속적 치유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특히 분석적 정신요법과 관련하여-", ≪최신의학≫, Vol. 13, No. 1.
  24. 이부영(1986) : "皇帝內徑에서 본 醫師-患者關係", ≪서울의대정신의학≫, 제11권, 제1호.
  25. 이부영(2001) : ≪남성속의 여성, 여성속의 남성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파주.
  26. 이부영(2002) : ≪자기와 자기실현-하나의 경지, 하나가 되는 길≫, 한길사, 파주.
  27. 이부영(2011a) : ≪분석심리학 C. G. 융의 인간 심성론≫, 일조각.
  28. 이부영(2011b)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서울.
  29. 이부영(2012a) : ≪노자와 융 「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길사, 파주.
  30. 이부영(2012b) :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 한길사, 파주.
  31. 이부영(2018) : "자비는 정의를 이긴다", ≪길≫, 19(2), 한국융연구원, 서울.
  32. 이유경(2010) : ≪한국 민담의 여성상≫,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33. 이정재(2006) : 실크로드 신화 <애견이여 춤춰라>와 한국 무가 <바리공주>의 비교연구, ≪한국무속학≫, 43.
  34. 임석재(1993) : 한국구전설화 제7권, 전라북도1, 평민사, 서울.
  35. 정재서(2005) : ≪불사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서울.
  36. 주종연(1999) : ≪한독민담연구≫, 집문당, 서울.
  37. 최인학, 엄용희 편저(2003) : ≪옛날이야기꾸러미3-한국민담유형집성 : 보통옛날이야기(하)≫, 집문당, 서울.
  38. 칼 구스타프 융, 이부영 외 역(2013) : ≪인간과 상징≫, 집문당, 서울.
  39. Jung CG(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1) : 융기본저작집 1권,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출판사, 서울.
  40. Jung CG(2003) : 융기본저작집 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41. Jung CG(2004a) : 융기본저작집 3권 ≪인격과 전이≫, 솔출판사, 서울.
  42. Jung CG(2007) : 융기본저작집 4권,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43. Jung CG(2002) : 융기본저작집 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솔출판사, 서울.
  44. Jung CG(2004b) : 융기본저작집 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출판사, 서울.
  45. Jung CG(2005) : 융기본저작집 7권,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서울.
  46. Jung CG(2006) : 융기본저작집 8권,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서울.
  47.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1992) : ≪한국문화상징사전1≫, 동아출판사, 서울.
  48. Ashliman DL(1987) : A Guide to Folktales In the English Language-Based on the Aarme -Thompson Classification System- Greenwood press, Westport, Connecticut.
  49. von Franz ML(1974) : Number and Tim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