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50~60년대 한국 아파트의 난방 방식 근대화에 관한 연구 - 행촌, 종암, 마포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the Heating Method of Apartment Houses in the 1950s and 1960s Korea - Focusing on Haengchon, Jongam, Mapo Apartments -

  • 투고 : 2021.10.19
  • 심사 : 2021.12.06
  • 발행 : 2021.12.31

초록

The traditional Korean heating system ondol,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architecture, still remains as hydronic floor heating.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odernization of ondol, but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hydronic floor heating has not been seriously studied so far.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how the hydronic floor heating had been introduced to Korea, taking the 1950s and 1960s Haengchon, Jongam, and Mapo Apartments for example - these three are regarded as the first Korean apartment houses after the Korean War. While Western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was imported for these apartments, various methods of modernizing ondol were also considered. What was remarkable in these attempts is that hydronic floor heating first appeared in Mapo 1st Apartment in 1962, because this is the universal heating method in the present Korea. This fact signifies that the traditional principle of floor heating has been maintained, and it would also be meaningful in terms of architec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if considered along with Wright's application of the Korean heating principle to his houses since 1930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19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과제번호: No.2019R1F1A1063407

참고문헌

  1. 강부성 외,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세진사, 1999
  2. 강상훈,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권, 11호, 2006
  3. 권석영, 「온돌의 근대사」, 일조각, 2010
  4. 김광우.여명석, 「온돌난방의 변천과 현황」, 설비, 19집, 2호, 2002
  5. 김남응, 「구들이야기 온돌이야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6. 김남응 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온돌체험과 그의 건축작품에의 적용과정 및 의미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권, 9호, 2005
  7. 김영미, 「우리집은 이렇게 꾸몄다 아파트」, 주택, 11호, 1963
  8. 김은신, 「한국 최초 101장면」, 가람기획, 1998
  9. 김준봉,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 청홍, 2008
  10. 김현섭, 「한국의 온돌 원리가 최초로 적용된 유소니아 주택: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제이콥스 주택」, SPACE, 632호, 2020
  11. 박길룡, 「건축가입장에서 온돌만은 절대유지합시다」, 동아일보, 1939.1.6
  12. 박길룡, 「재래식 주가개선에 대하야 제1편」, 자비출판, 1933
  13. 박길룡, 「재래식 주가개선에 대하야 제2편」, 이문당, 1937
  14. 박용환, 「한국근대주거론」, 기문당, 2010
  15. 박윤성, 「연탄사용이 주거건축에 미치는 영향」, 건축, 22권, 83호, 1978
  16. 박인석, 「아파트 한국사회」, 현암사, 2013
  17. 박철수, 「한국주택 유전자 2」, 마티, 2021
  18. 반병희, 「도시 뒤덮은 삭막한 아파트 숲」, 동아일보, 1994.8.16.
  19. 배극인, 「한국식 온돌, 바닥난방 국제표준 채택」, 동아일보, 2008.3.14.
  20. 배형민.최원준, 「원정수.지순 구술집」, 마티, 2015
  21. 송기호, 「한국 온돌의 역사: 최초의 온돌 통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22. 유영진, 「한국 공동주거형의 발전」, 건축, 13권, 32호, 1969
  23. 이광노, 「서울 옛 도시형 주택」, 곰시, 2012
  24. 임승업, 「아파트멘트소고」, SPACE, 42호, 1970
  25. 장림종.박진희, 「대한민국 아파트 발굴사」, 효형출판, 2009
  26. 장성수 외, 「공동주택 생산기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5
  27. 전몽각, 「윤미네 집」, 포토넷, 2010
  28. 「서울 근교에 최신 아파트」, 대한뉴스 제141호, 1957.11.25., 한국정책방송원
  29. 「엉망으로 짓고 돈은 더 내라고」, 동아일보, 1959.2.28.
  30. 「주택소개」, 주택, 20.21병합호, 1967
  31. 「대한주택공사 20년사」, 대한주택공사, 1979
  32. 「대한주택공사 30년사」, 대한주택공사, 1992
  33. 「한국주택현황 1966년판」, 대한주택공사, 1967
  34. 「반포본동: 남서울에서 구반포로」, 서울역사박물관, 2019
  35. 「소주택: 그 설계와 시공」, 여원, 1967
  36. 「보일러산업 50년사」, 한국보일러공업협동조합, 1998
  37. 堀越哲美 外, 「戦前の日本における先端設備としての床暖房.パネルヒ-ティングの住宅への導入」,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534号, 2000
  38. 朝鮮と建築, 19輯, 3號, 1940
  39. T. Napier Adlam, Radiant Heating, Industrial Press, New York, 1947
  40. Anon, Native Materials, Modern Methods Builds Homes for Korea, Architectural Record, Vol.121, Iss.7, 1957
  41. Harold F. Blanchard, First United States Installation of Panel Heating, The American Architect, Vol.138, No.2589, 1930
  42. Hyon-Sob Kim, The Appearance of Korean Architecture in the Modern West, Architectural Research Quarterly, Vol.14, No.4, 2010
  43. Carl G. Lans, Housing as an Industry , 건축, 2호, 1954
  44. Dongmin Park, Free World, Cheap Buildings: U.S. Hegemony and the Origins of Modern Architecture in South Korea, 1953-1960,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6
  45. Richard W. Schoemaker, Radiant Heating, New York: McGraw-Hill,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