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o Heon-yeong's Singyeongsoeyagjeungchiryobeob (神經衰弱症治療法)

조헌영의 『신경쇠약증치료법(神經衰弱症治療法)』 연구

  • Kim, Dowon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d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Ahn, Sang-Woo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Cha, Wung-Seok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도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1.10.16
  • Accepted : 2021.11.0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 Cho Heon-yeong's medical theory about neurasthenia by looking at the contents and prescriptions of 『Neurasthenia Treatment (神經衰弱症治療法)』. Discourse about neurasthenia caused many problems in Joseon society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book consists of fist volume about general summary, second volume about treatment and prescription list. Cho Heon-yeong's theory in this book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eclecticism of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ppears in the reinterpretation of Western medicine diseases and the acceptance of some Western medical theories and treatments. Second, the Korean medical disease name of neurasthenia is 'Simgizeung (心氣證)' for relevance with seven emotions (七情) and mind (神). Third, he evaluates neurasthenia as not a dangerous and incurable disease, but rather a positive phenomena of the mind and body. Fourth, he treated neurastenia by compromising dispersion (解鬱) and invigoration (補虛).

Keywords

References

  1. <동아일보> 1938.5.14. 「神經衰弱症治療法(心氣證治); 東洋醫藥社發行」.
  2.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서울:들녘. 2011.
  3.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韓醫學通史』. 고양:대성의학사. 2006.
  4. 박윤재. 「1930~1940년대 조헌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한국근현대사연구. 2007;40:118-139.
  5. 신창건. 「趙憲泳의 정치적 의학사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42.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1. 과천:국사편찬위원회. 2005:117-154.
  6. 전혜리. 「1934년 한의학 부흥 논쟁」. 한국과학사회지. 2011;33(1):41-89.
  7. 정근식. 「일제하 서양 의료 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 의학 논쟁」. 사회와역사. 1996;50:270-327.
  8. 백유상. 「조헌영(趙憲泳)의 생애와 의학사상(醫學思想)」.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32(3):103-130. https://doi.org/10.14369/JKMC.2019.32.3.103
  9. 김훈, 이해웅. 「通俗漢醫學原論 陰陽篇에 관한 考察」. 한국의사학회지. 2011;24(2):17-24. https://doi.org/10.15521/JKMH.2011.24.2.017
  10. 황지혜. 「일제강점기 신경쇠약 담론의 형성과 신경쇠약 매약의 확산」. 의료사회사연구. 2020;6(1):27-57.
  11. 오흥근. 「神經衰弱의 韓方療法」. 대한한의학회지. 1965;20(6):21-24.
  12. 안점우. 「香氣療法의 臨床應用과 韓醫學的 接近」.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1):557-580.
  13. 홍승헌, 김윤경, 권동렬. 「地黃飮子의 起源, 方解 및 活用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11(1)37-44.
  14. 김진우, 안대종, 이순이, 왕덕중, 이지형, 강형원. 「火病을紫河車 藥鍼을 使用하여 治療한 1例」.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211-220.
  15. 장현호, 두인선, 이대용, 이승훈, 민상준, 김태헌, 유영수, 강형원. 「불면에 紫河車 藥針을 응용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6(1):155-160.
  16. Chris Hanscom, 손광수. 「근대성의 매개적 담론으로서 신경쇠약에 대한 예비적 고찰-박태원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2005;29:151-184.
  17. 양희선. 「소세키(漱石)의 신경쇠약 : 그 굴레와 반전」. 2004;60:399-410.
  18. 권혁건.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생애를 통해 느꼈던 불안 고찰」. 일본학보. 2006;69:167-178.
  19. 김숙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학과 병-신경쇠약과 히스테리의 양상」. 일어일문학연구. 2009;69(2):99-116. https://doi.org/10.17003/JLLAK.2009.69.2.99
  20. 김숙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작품에 나타난 신경쇠약 : 후기작품과 신경의 안정을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2011;18:373-390.
  21. 김숙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학과 힐링-작품에 그려진 신경쇠약의 분석을 통해서」. 일본언어문화. 2013;25:535-552.
  22. 권유성. 「1920년대 동인지문단 붕괴의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일 고찰 : 감정통제 동학으로서의 신경쇠약 담론을 중심으로」. 배달말. 2017;60:131-155.
  23. 김미영. 「일제하 한국근대소설 속의 질병과 병원」. 우리말글. 2006;37:309-336.
  24. 박성호. 「≪매일신보≫ 소재 번안소설 속 여성인물의 신경쇠약과 화병의 재배치-「쌍옥루」와 「장한몽」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2020;89:265-296.
  25. 최은경, 이영아. 「신문 상담란 "지상 병원"을 중심으로 본 1930년대 식민지 조선 대중들의 신체 인식과 의학지식 수용」. 한국과학사학회지. 2015;37(1):235-264.
  26. 민성길, 이창호.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원과 경성제대 정신의학자들의 정신과 치료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016;55(3):143-157.
  27. George Beard. 「Neurasthenia, or Nervous Exhaus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869;80(13):217-221. https://doi.org/10.1056/NEJM186904290801301
  28. 이방현. 「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신병자에 대한 근대적 접근」. 의사학. 2013;22(2):529-577.
  29. 조헌영. 「神經衰弱症治療法」: 『東洋醫學叢書:五種』. 서울:杏林書院. 1963.
  30. <동아일보> 1932.03.01. 「조혼으로 만히 생기는 생식긔성신경쇠약증 (3)」.
  31. <부산일보> 1918.9.20. 「독일 황제의 신경쇠약」.
  32. <매일신보> 1919.9.16. 「呻吟中의 前獨帝, 신경쇠약으로 인하여」.
  33. <매일신보> 1920.7.30. 「前獨逸皇帝 第六皇子死因, 신경쇠약의 병과 기타 여러가지로 비관하던 끝에 자살」.
  34. <매일신보> 1925.2.18. 「大審院判事 또 自殺未遂, 원인은 신경쇠약」.
  35. <중외일보> 1927.7.26. 「일본문단의 중심인물, 개천용지개씨 자살, 극도신경쇠약으로」.
  36. <중앙일보> 1928.11.24. 「신경쇠약의 증후와 섭생법-술과 담배는엄금하고 과격한운동도폐하라」.
  37. 조헌영. 「한방의학의 위기를 앞두고」. 조헌영, 장기무, 정근양, 정근식, 박석준, 최종덕 외. 『한의학의 비판과 해설』. 서울:조합공동체 소나무.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