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PET/CT Volume Rendering Technique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PET/CT Volume Rendering Technique 적용

  • Jang, Dong-G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ongnam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Cancer Center) ;
  • Lee, Sang-h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ongnam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Cancer Center)
  • 장동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
  • 이상호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21.11.01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Customer satisfac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Korean medical system. However, the field of medical imaging is very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way to 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 between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 the PET/CT image was reconstructed using the Volume Rendering technique to increase patient satisfaction. VRT was performed on 360 cancer patients who had undergone PET/CT examination. As a result of a satisfaction survey on 100 patients, all 100 patients showed that the VRT image was superior to the existing image. PET/CT is not a device that observes detailed anatomical shapes, such as CT or MRI, but an image that shows a strong signal of cancer and can easily produce a VRT image. These VRT images can be expressed three-dimensionally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them, so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can be improved more efficientl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atient's "right to know" will be satisfied.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에서 고객만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의료영상 분야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PET/CT 단면 의료영상을 Volume Rendering Technique으로 재구성 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PET/CT 검사를 진행한 암 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VRT을 진행하였으며, 이 중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0명 모두 VRT 영상이 기존의 영상보다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ET/CT는 CT 나 MRI와 같은 세부적인 해부학적 모양을 관찰하는 장비가 아닌 암의 신호를 강하게 나타내는 영상으로 손쉽게 VRT 영상이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VRT 영상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어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환자의 "알 권리" 충족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환자의 교육 수준 증가와 대중매체를 통해 각종 의학 정보가 넘쳐나고 있다[1]. 또한 의료 소비자의의학적 지식의 향상으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사고방식이 점차 변화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2]. 우리나라의 경우 과도한 의료공급으로 인해 고객 유치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의료기관의 경쟁력 재고를 위한 고객 중심의 경영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고객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PET/CT는 암 영상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장비로써, 생명을 다루는 의료행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3]. 하지만, 이러한 의료영상은 인체의 단면 영상으로 의료인들에게는 매우 익숙하지만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PET/CT 단면 의료영상을 Volume Rendering Technique (VRT)[4]로 재구성하여 환자의 접근을 쉽게 하여 만족도를 증가하고자 한다.

Ⅱ. MATERIAL AND METHODS

PET/CT 검사를 진행한 암 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VRT 기법을 적용한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세부 환자 내역은 Table 1 과 같다.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True D (Siemens) 프로그램이며, Fig. 1과 같이 특정 부위에 따른 Galley를 내장하고 있으며, 필요 시 CT number를 조절하여 VRT 영상을 손쉽게 제작 가능하다. 제작되어진 영상은 기존의 의료영상인 단면 영상과 함께 PACS에 전송하여 검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내원하는 환자가 볼 수 있도록 하였다. VRT 영상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는 내원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진료 끝난 환자에세 간호사 및 방사선사의 설명과 함께 Fig. 2와 같은 오지 선다형 (five-option multiplechoice) 의 설문지를 제공하였으며, 이해가 쉬운 영상을 다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Table 1. Patients list

BSSHB5_2021_v15n6_877_t0001.png 이미지

*Ca. : Cancer

BSSHB5_2021_v15n6_877_f0001.png 이미지

Fig. 1. Gallery (a) and CT number definition (b) of VRT software.

BSSHB5_2021_v15n6_877_f0002.png 이미지

Fig. 2. Medical imaging for surveys.

Ⅲ. RESULT

1. Illustrative Examples

BSSHB5_2021_v15n6_877_f0003.png 이미지

Fig. 3. Small cell lung cancer.

BSSHB5_2021_v15n6_877_f0004.png 이미지

Fig. 4. Recurred PTC.

BSSHB5_2021_v15n6_877_f0005.png 이미지

Fig. 5. Invasive ductal carcinima (IDC).

BSSHB5_2021_v15n6_877_f0006.png 이미지

Fig. 6.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BSSHB5_2021_v15n6_877_f0007.png 이미지

Fig. 7. Malignant melanomatous lesion in Rt. axillary LN.

BSSHB5_2021_v15n6_877_f0008.png 이미지

Fig. 8. Left colon cancer with bone metastasis in T-spine.

2. 환자 만족도

100명의 환자에게 5개의 재구성된 영상을 제공한 후, 이해가 쉬운 영상을 선택한 결과 100명 전원이 VRT 영상을 선택하였으며, 병변 부위에 따라 12명이 VRT 영상과 MIP 영상을 다중선택 하였으며, 단면영상을 이해가 쉬운 영상으로 선택한 환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Satisfaction survey results

BSSHB5_2021_v15n6_877_t0002.png 이미지

Ⅳ. DISCUSSION

국민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5] 국민 1인당 의료기관방문 횟수는 2019년 기준 17.2일이며, OECD 국가 중 1위로 알려져 있다[6]. 이처럼 과도한 의료공급으로 의료기관간 경쟁이 심화되며, 고객중심의 경영이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 의료소비자들은 의료기관을 직접 선택하는 추세이며[7], 의료기관을 대하는 태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의료기관들 역시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의료서비스는 전문성이 있는 특수 분야로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학적 정보를 의료소비자가 전부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제는 의료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의 수준에 맞게 의료기관에서도 의학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진료를 받으면서 인격 주체에 합당한 배려를 받을 권리가 있다[2].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알 권리”[8]를 충족 시켜 만족도를 높이고자 기존에 제공하던 단면 의료영상을 VRT기법을 이용하여 3D로 시각화 하여 환자에게 제공하였다. 의료영상에서 VRT 기법은 관심 영역별 각각 다른 CT number의 문턱값 범위를 여러 개 동시에 지정하여 영역별로 각기 다른 휘도 레벨과 불투과도, 다른 색깔을 적용하여 여러 개의 해부학적 구조를 동시에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시하는 기법이다[4].

외국의 한 사례를 보면 CT나 MRI 영상 판독지에 해부학적 사진을 연동시켜 환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도 한다[9]. PET/CT 영상은 자세한 해부학적 묘사가 아닌 암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으로 단순한 작업을 통하여 손쉽게 VR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병원의 특성상 환자의 나이가 대부분 고령으로 설문지를 단순화시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0명 모두 VRT 영상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단면영상은 전문적인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들지만 VRT 영상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단면영상과 함께 제공된 VRT 영상은 의료진 및 환자에게 제공한 결과 기존의 단면 영상에 비해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매우 우수하였으면, 만족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Ⅴ. CONCLUSION

요즘 환자들은 자신의 증상을 인터넷, 지인, 신문 등 매체를 이용하여 미리 정보를 습득하여 오지만 기존의 단면영상은 전문적인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들다. 그러나 VRT 영상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어 담당의사와 진료 시 VRT 기법을 이용한 3차원영상은 의료진과 환자의 소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환자의 “알 권리” 충족시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1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50605-2021)

References

  1. D. Greaves, M. Evans, "Medical humanities",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26, pp. 1-2, 2000.
  2. H. S. Choi, G.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us of Medical Knowledge of Medical Consumers and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2, No. 3, pp. 367-372, 2018. http://dx.doi.org/http://dx.doi.org/10.7742/jksr.2018.12.3.367
  3. H. J. Kim, C. L. Lee, "PACS and medical imaging display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5, No. 1, pp. 22-34, 2008.
  4. M. C. Kim, Latest CT Imaging Technology, Chung-ku Publisher, pp. 199-213, 2007.
  5. Y. H. Oh, "The status of supply of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beds",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Vol. 129 pp. 1-8, 2012.
  6. https://www.index.go.kr/
  7. H. J. Min,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by Outpatient",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2005.
  8. J. K. Pae, "Limits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Know through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 Analysis of the Ruling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Non-disclosure Claus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3, No. 1 pp. 368-454, 2009.
  9. S. C. Oh, T. S. Cook, C. E. Kahn, "PORTER: a prototype system for patient-oriented radiology reporting", Journal of Digital Imaging, Vol. 29, No. 4, pp. 450-454, 2016. http://dx.doi.org/10.1007/s10278-016-98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