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희풀(Clematis heracleifolia) 줄기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Clematis heracleifolia Stem

  • 권용수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 전완주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
  • 김명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Kwon, Yongsoo (College of Pharmac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 Wanjoo (College of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yong J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12.03
  • 심사 : 2021.12.20
  • 발행 : 2021.12.31

초록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90%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 Clematis heracleifolia.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 structure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sitosterone (1), β-sitosterol (2), scoparone (3) and octadecanoyl caffeate (4), respectively. Sitosterone (1) and octadecanoyl caffeate (4) a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키워드

조희풀(Clematis heracleifolia)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에 속하는 낙엽성 반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과 만주 지역에 분포한다.1) 뿌리와 줄기를 채취하여 약용하며, 풍습을 몰아내고 염증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수족관절통의 치료, 설사를 멈추는 효능으로 만성설사의 치료에도 사용하고 있다.2) 본 연구자 등은 조희풀을 대상으로 성분에 연구에 착수하고 모든 부위의 성분을 분리하고 구조를 동정하여 그 성분 상을 밝혀 약용자원으로서의 가능성과 식물분류학적 marker 로서의 사용 가능성 등을 알아보려 하였으며 그 결과의 일부로서 지하부로부터 coniferyl alcohol, scoparone, (+)- lariciresinol, daucosterol 등을 분리하고 이들의 acetyl- cholinesterase억제 활성을 측정하여 보고하였고, 3) 잎으로부터는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 aesculin, (6Z)-9-hydroxylinaloyl glucoside 및 9-hydroxylinaloyl glucoside 등을 분리하여 보고하였다.4) 이 연구는 계속되는 조희풀의 성분에 관한 연구의 일부로 조희풀의 줄기를 대상으로 성분 상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조희풀 줄기의 90% ethanol 추출물 중 n-hexane 분획과 CHCl3 분획으로부터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밝혔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 본 실험에 사용한 조희풀(C. heracleifolia) 의줄기는 2013년 9월 사명산의 북서쪽에 위치하는 양구군 공수리 일대에서 채집하여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권용수 교수가 정확하게 감정한 후 음건하여 사용하였다. 확증표본 (KNUPH–2013–09–S-01)은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기기 및 시약 – 1H-NMR 및 13C-NMR spectra는 Bruker 사의 AVANCE 600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얻었다. ESI mass는 AB Sciex 사의 API 3200 LC/MS/MS system을 이용하여 negative 또는 positive mode로 측정하였고 EI mass는 Jeol 사의 JMS-700 Mas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lash column chromatograhpy는 Teledyne Isco사의 CombiFlash®RetrieveTM를 이용하였고 column은 RediSep®을이용하였다. 각 분획의 추출용매 및 column chromatography 용용 매는 특급시약을 증류하여 사용하였다. TLC 전개용매 및 기타 시약은 특급 및 분석용 시약을 사용하였다. TLC plate는 Merck사의 precoated Kieselgel 60 F254s(layer thickness 0.25mm, 20×20cm, Merck Art. No. 5715), RP-18 F 254s를 사용하였으며, column chromatography의 충진제는 Merck 사의 Kieselgel 60(63-200µm 또는 40-63µm) 및 YMC gel ODS-A(150μm)를 사용하였다. TLC spot 발색은 254nm UV 및 20% 황산용액을 사용하였다.

추출 및 분리 – 채집 후 음건하여 세절한 조희풀(C. heracleifolia)의 줄기 2.4 kg을 90% 에탄올 15 L에 넣고 실온에서 3일간씩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40oC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엑스 100g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 98 g을 증류수로 현탁 시킨 후 n-hexane, CHCl3, n-BuOH순으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제거하였다. 각 분획들을 감압농축하여 n-hexane 분획 9.6 g, CHCl3 분획 8.1 g, n-BuOH 분획 18.7 g을 각각 얻었다. 얻어진 n-hexane 분획과 CHCl3 분획을 TLC 분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매우 유사하였으므로 이 두 분획을 함께 분리하고자 하였다. n-Hexane 분획과 CHCl3 분획을 함께 silica gel column(63-200µm, 500g, 10×50 cm)에 걸어 CHCl3:MeOH (19:1)을 용매로 용출시켜 6개의 분획을 얻었다(CH-1 – CH- 6). 분획 CH-2(1.9 g)를 다시 silica gel column(63-200µm, 100 g, 3.5×50 cm)에 걸고 benzene:EtOAc(9:1)을 용매로 용출시키고 다섯 개의 소분획을 얻었다(CH-2-1 – CH-2-5). 소분획 CH-2-2(0.9 g)를 대상으로 silica gel column(40-63 µm, 100 g, 3.5×50 cm)에 걸고 n-hexane:EtOAc(9:1)을 용매로 용출시켜 네 개의 소분획으로 다시 나누었다(CH-2-2- 1–CH-2-2-4). 이들 소분획 중 소분획 CH-2-2-2(65 mg)는 silica gel column(40-63µm, 100 g, 3.5×50 cm)에 걸고 CHCl3를 용매로 정제하여 화합물 1(9 mg)을 얻었다. 소 분획 CH-1-3(0.5 g)은 MeOH로 재결정을 반복하여 흰색 분말 형태의 화합물 2(150 mg)를 얻었다. 소분획 CH-2-2-3(47 mg)을 대상으로 ODS flash column(Redisep® ODS 43 g) 에걸고 MeOH:H2O(60:40)을 용매로 정제하고 화합물 3(6 mg)을얻었다. 분획 CH-3(3.5 g)을 ODS column(YMC ODS A, 150µm, 200 g, 5×50cm)에 걸고 MeOH:H2O(80:20)을 용매로 용출시켜 여섯 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CH-3-1 – CH- 3-6). 분획 CH-3-6 (1.2 g)을 다시 silica gel column(40- 63µm, 100 g, 3.5 × 50 cm)에 걸고 benzene:EtOAc(5:1)을용매로 용출시키고 아홉 개의 소분획으로 나누었다(CH-3- 6-1 – CH-3-6-9). 이들 소분획 중 소분획 CH-3-6-3(62 mg)을 silica gel column(40-63µm, 40 g, 1.5×50 cm)에 걸고 CHCl3: MeOH(49:1)을 용매로 정제하여 화합물 4(12 mg)를 얻었다.

화합물 1 – White powder; 1H-NMR (600 MHz, CDCl3) δ: 5.72 (1H, s, H-4), 1.18 (3H, s, 19-CH3), 0.91 (3H, d, J=6.6 Hz, 21-CH3), 0.84 (3H, t, J=7.4 Hz, 29-CH3), 0.83 (3H, d, J=6.8 Hz, 27-CH3), 0.81 (3H, d, J=6.8 Hz, 26-CH3), 0.71 (3H, s, 18-CH3); 13C-NMR (150 MHz, CDCl3) δ: 199.7 (C- 3), 171.7 (C-5), 123.7 (C-4), 56.0 (C-17), 55.9 (C-14), 53.8 (C-9), 45.8 (C-24), 42.4 (C-13), 39.6 (C-12), 38.6 (C-10), 36.1 (C-20), 35.7 (C-1), 35.6 (C-8), 34.0 (C-2), 33.9 (C-22), 32.9 (C-6), 32.0 (C-7), 29.1 (C-25), 28.2 (C-16), 26.0 (C-23), 24.2 (C-15), 23.0 (C-28), 21.0 (C-26), 19.8 (C-21), 19.0 (C- 11), 18.7 (C-27), 17.4 (C-19), 12.0 (C-29), 11.9 (C-18); EI- MS (%) m/z : 412[M, 93.1]+, 397 (11.8), 370 (29.1), 355 (7.5), 327 (8.6), 289 (27.3), 271(26.8), 245 (10.7), 229 (58.6), 147 (27.5), 124 (100), 95 (33.6).

화합물 2 – White needle; 1H-NMR (600 MHz, CDCl3) δ: 5.35 (1H, d, J=5.1 Hz, H-6), 3.52 (1H, m, H-3), 1.01 (3H, s, 19-CH3), 0.92 (3H, d, J=6.5 Hz, 21-CH3), 0.85 (3H, t, J=7.6 Hz, 29-CH3), 0.83 (3H, d, J=6.8 Hz, 27-CH3), 0.81 (3H, d, J=6.8 Hz, 26-CH3), 0.68 (3H, s, 18-CH3); 13C-NMR (150 MHz, CDCl3) δ: 140.8 (C-5), 121.71 (C-6), 71.8 (C-3), 56.8 (C-14), 56.0 (C-17), 50.1 (C-9), 45.8 (C-24), 42.3 (C-4, C-13), 39.8 (C-12), 37.2 (C-1), 36.5 (C-10), 36.1 (C-20), 33.9 (C-22), 31.9 (C-7), 31.7 (C-2), 29.1 (C-25), 28.2 (C-16), 26.1 (C-23), 24.3 (C-15), 23.1 (C-28), 21.1 (C-11), 19.8 (C-26), 19.4 (C-19), 19.0 (C-27), 18.8 (C-21), 12.0 (C-18), 11.9 (C-29); ESI-MS (negative mode) m/z : 413 [M-H]-.

화합물 3 – White powder; 1H-NMR (600 MHz, CDCl3) δ: 7.62 (1H, d, J=9.4 Hz, H-4), 6.86 (1H, s, H-5), 6.85 (1H, s, H-8), 6.29 (1H, d, J=9.4 Hz, H-3), 3.95 (3H, s, OCH3), 3.94 (3H, s, OCH3); ESI-MS (negative mode) m/z : 205 [M- H]-.

화합물 4 – Brown powder; 1H-NMR (600 MHz, CD3OD) δ: 7.52 (1H, d, J=15.9 Hz, H-7), 7.03 (1H, d, J=2.0Hz, H-2), 6.93 (1H, dd, J=8.2, 2.0 Hz, H-6), 6.77 (1H, d, J=8.2 Hz, H-5), 6.28 (1H, d, J=15.9 Hz, H-8), 4.12 (2H, t, J=6.6 Hz, H-1′), 1.58 (2H, m, H-2′), 1.27 [br s, (CH2)15], 0.89 (3H, t, J=6.8 Hz, CH3); 13C-NMR (150 MHz, CDCl3) δ: 169.4 (C-9), 148.7 (C-4), 146.8 (C-7), 143.9 (C-3), 127.7 (C-1), 122.9 (C-6), 116.5 (C-5), 115.2 (C-2), 115.1 (C-8), 65.6 (C-1′), 35.1 (C-16′), 33.1 (C-2′), 30.8~30.3 (C-4′~C-15′), 26.1 (C-3′), 23.7 (C-17′), 14.4 (C-18′); EI-MS (%) m/z : 432 [M, 9.0]+, 284 (10.5), 256 (27.9), 213 (13.3), 180 (11.6), 111 (41.9), 97 (78.7), 83 (97.6), 69 (91.6), 57 (100).

결과 및 고찰

화합물 1은 백색 분말 형태로 얻었으며, 이 화합물의 1H- NMR spectrum을 보면 δ 1.18, 0.71에서 18번과 19번의 metyl기에 의한 singlet, δ 0.91에서 J=6.6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는 21번 mehtyl기의 signal, δ 0.83과 0.81에서 J=6.8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는 26번과 27번의 methyl기에 의한 signals, 0.84에서 J=7.4 Hz의 triplet으로 나타나는 29번의 methyl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13C-NMR spectrum 에서 29개의 탄소에 의한 signal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화합물은 sitgmastane계열의 sterol 화합물로 추정하였다.5) 또한 1H-NMR spectrum의 δ 5.72에서 수소 1개에 의한 singlet이 나타나고 3번 위치에 OH기가 치환되어 있는 sterol 화합물에서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δ 3.5 근처의 3번 수소에 의한 multiplet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13C-NMR spectrum에서도 3번 위치에 OH기가 치환되었을 때 나타나는 δ 70~80 부근의 탄소 signal은 확인할 수 없고 δ 199.7 에서 carbonyl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화합물의 3번은 OH기가 존재하는 것이 아닌 carbonyl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δ 171.7에서 5번 탄소의 signal 나타나는데 이는 일반적인 Δ5-sterol계 화합물의 5번 탄소가 δ 140~150 부근에서 나타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약 30 ppm 저자장 이동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중결합이 4번과 5번위치에 존재하여 3번의 carbonyl기와 conjugate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6) 전형적인 Δ4-3-ketosteroid 형태의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7) 이는 mass spectrum의 fragmentation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분자량이 m/z 412인 모핵의 A환과 B환이 깨지면서 생성된 fragmentation이 m/z 95 (C6H7O)에서 비교적 강하게(33.6%) 나타나 위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8) 위에서 확인한 사실과 문헌9)을 비교하여 화합물 1은 sitosterone으로 그 구조를 동정하였다. 화합물 2와 3은 표준품과의 TLC 비교 및 문헌3), 10)과 spectral data를 비교하여 그 구조를 β-sitosterol과 scoparone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4의 1H-NMR spectrum을 보면 δ 7.52와 6.28에서 나타나는 J=15.9 Hz의 doublet, δ 7.03에서 나타나는 J=2.0 Hz의 doublet, δ 6.93에서 나타나는 J=8.2, 2.0 Hz의 double doublet 및 δ 6.77에서 나타나는 J=8.2 Hz의 doublet으로부터 이 화합물에는 한 개의 caffeic acid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δ 4.12에서 나타나는 한 개의 methylene기에 기인하는 J=6.6 Hz의 triplet, δ 0.89에서 나타나는 methyl 기에 기인하는 J=6.8 Hz의 triplet 그리고 δ 1.27 근처에 나타나는 16개의 metylene기에 기인하는 signal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화합물 4는 caffeic acid에 octadecanoyl기가 ester 결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ass spectrum에서는 분자량이 m/z 432에서 나타나고 여기에서 octadecanoyl기가 이탈되면서 형성된 fragmentation ion이 m/z 180(caffeic acid)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C-NMR spectrum에서도 caffeic acid의 C=O가 δ 169.4에서 나타나고 octadecanoly기의 1번 탄소가 δ 65.6에서 나타나는 것으로부터도 이 화합물은 caffeic aicd에 octadecanoyl기가 ester결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문헌11)과 비교하여 화합물 4는 octadecanoyl caffeate로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화합물들의 활성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면 sitosterone(1)은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보고되어 있을 뿐 기타 활성을 찾아보지 못하였다.12) β-sitosterol(2)은 매우 다양한 활성의 연구가 진행되어 지나친 음주에 따른 간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13) 항염증 작용,14) 항암활성,15) 지질대사 조절작용16) 등이 보고되었다. Scoparone(3)은 항염증,17) 항암,18) 심근보호효과19) 등이 보고되었다. 한편, octadecanoyl caffeate(4)의 활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HKSOBF_2021_v52n4_208_f0001.png 이미지

Fig. 1. Structures of 1–4.

결론

조희풀(Clematis heracleifolia) 줄기의 성분상을 밝히고 활성 물질의 자원이나 식물분류학적 기준물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고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 화합물의 구조는 각각 sitosterone(1), β-sitosterol(2), scoparone(3) 및 octadecanoyl caffeate(4)이었다. 이들 화합물 중 sitosterone(1)과 octadecanoyl caffeate(4)는 이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활성에 관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110, 아카데미서적, 서울.
  2. 배기환 (2019) 천연약물도감 I, 319, 교학사, 서울.
  3. Kim, M. A., Kim, M. J., Chun, W. and Kwon, Y. (2015)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acethylchol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underground parts of Clematis heracleifolia. Kor. J. Pharmacogn. 46: 6-11.
  4. Kim, M. A., Yang, H., Kim, M. J. Chun, W. and Kwon, Y. (2016) A new stereoisomeric monoterpene glycoside from Clematis heracleifolia leaves. Nat. Prod. Sci. 22: 107-110. https://doi.org/10.20307/nps.2016.22.2.107
  5. 강삼식, 손건호 (2000) 천연물성분 구조결정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6. Hanson, J. R. and Siverns, M. (1975)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a of some steroidal unsaturated ketones, J. Chem. Soc. Perkin I, 1956-1958.
  7. Teng, J. I. and Smith, L. L. (1996) Sterol peroxidation by Pseudomonas fluorescens cholesterol oxidase. Steroids 61: 627-633. https://doi.org/10.1016/S0039-128X(96)00135-3
  8. Patridge, L. G. and Djerassi, C. (1977) Mass spectrometry in structural and stereochemical problems. 250. Characteristic fragmentations of cholesterol acetate. J. Org. Chem. 42: 2799-2805. https://doi.org/10.1021/jo00437a001
  9. Georges, P., Sylvestre, M., Ruegger, H. and Bourgeois, P. (2006) Ketosteroids and hydroxykeosteroids, minor metabolites of sugarcane wax. Steroids 72: 647-652.
  10. Do, J. C., Son, K. H. and Kang, S. S. (198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Rubus parvifolius (I). Isolation of (-)-epicatechin. Kor. J. Pharmacogn. 19: 170-173.
  11. Garcia-Argaz, A. D., Perez-Amador, M. C., Aguirre-Hernandez, E. and Martinez-Vaquez, M. (1999) Two new caffeate esters from roots fo Merremia tuberosa and M. dissecta. Planta Med. 65: 678-679. https://doi.org/10.1055/s-2006-960850
  12. Abdul Mazid, M., Datta, B. K., Nahar, L., Khairul Bashar, S. A. M., Bachar, S. C. and Sarker, S. D. (2011) Phytochemiaca studies on Polygonum barbarum (L.) Hara var. barbarta (Polygonaceae). Rec. Nat. Prod. 5: 143-146.
  13. Chen, Z., Wu, A., Jin, H. and Liu, F. (2020) β-sitosterol attenuates liver injury in a rat model of chronic alcohol intake. Arch. Pharm. Res. 43: 1197-1206. https://doi.org/10.1007/s12272-020-01271-w
  14. Liao, P. C., Lai, M. H., Hsu, K. P., Kuo, Y. H., Chen, J., Tsai, M. C., Li, C. X., Yin, X. J., Jeyashoke, N. and Chao, L. K. (2018) Identification of β-sitosterol as in vitro anti-inflammatory constituent in Moringa oleifera. J. Agric. Food. Chem. 66: 10748-10759. https://doi.org/10.1021/acs.jafc.8b04555
  15. Pradhan, M., Suri, C., Choudhary, S., Naik, P. K. and Lopus, M. (2018) Elucidation of the anticancer potential and tubulin isotype-specific interactions of β-sitosterol. J. Biomol. Struct. Dyn. 36: 195-208 https://doi.org/10.1080/07391102.2016.1271749
  16. Cheng, Y., Chen, Y., Li, J., Qu, H., Zhao, Y., Wen, C. and Zhou, Y. (2020) Dietary β-sitosterol regulates serum lipid level and improves immune function, antioxidant status,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Poult. Sci. 99: 1400-1408. https://doi.org/10.1016/j.psj.2019.10.025
  17. Lu, C., Li, Y., Hu, S., Cai, Y., Yang, Z. and Peng, K. (2018) Scoparone prevents IL-1β-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osteoarthritis chondrocytes through the PI3K/Akt/NF-κB pathway. Biomed. Pharmacother. 106: 1169-1174. https://doi.org/10.1016/j.biopha.2018.07.062
  18. Li, N., Yang, F., Liu, D. Y., Guo, J. T., Ge, N. and Sun, S. Y. (2021) Scoparone inhibits pancreatic cancer through PI3K/Akt signaling pathway. World J. Gastrointest. Oncol. 13: 1164-1183. https://doi.org/10.4251/wjgo.v13.i9.1164
  19. Wan, C., Wei, Y., Ma, J. and Geng, X. (2018) Protective effects of scoparone against ischemia-reperfusion-induced myocardial injury. Mol. Med. Rep. 18: 1752-1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