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Cancelled Districts of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 Focusing on Decision Tree Analysis -

재정비사업 해제구역 의사결정 특성 연구 - 의사결정나무기법 중심으로 -

  • 이도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1.09.29
  • Accepted : 2021.12.03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celled districts of housing redevelopment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89 project districts(121 promoted districts, 68 cancelled districts). Both 121 promoted districts and 68 cancelled districts were analyzed by Decision Tree Analysis. The first separation of the release zone influencing factors was made by the Development Actors.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for determining the release zone influence factor was shown to b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pulsion actors. Of the 89 districts without propellers, 41 were lifted and 48 were promoted, and 9 out of 100 districts with propellers were lifted and 91 were promoted. The second separation of the impact factors on the zone was then made by Land Owners, and the probability of cancellation increased if the number of landowners was less than 468 and 37 out of 62 were removed. On the other hand, four out of 27 districts with more than 468 landowners were lifted and 23 districts were promoted. The third separation was made by the Average Land Assessment, and 35 zones were lifted below the standard of KRW 269.64 million/m2 approximately KRW 8.91 million per pyeong, and two zones were lifted at higher official prices. In the second division, the number of landowners was 468 or more, and in node4, four areas were removed from areas with a public land area ratio of 29.43% or more, and no areas less were released. This study used SPSS Statistics 26 S/W for analysis.

이 연구의 목표는 정비사업(재개발, 재건축사업)이 해제된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범위는 189개의 사업구역(추진구역 121개, 해제구역 68개)이다. 121개의 추진구역과 68개의 해제구역은 모두 의사결정나무기법으로 분석하였다. 해제구역 영향요인에 대한 첫 번째 분리는 추진주체 유무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해제구역 영향요인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독립변수는 추진주체 유무로 나타났다. 추진주체가 없는 89개 구역 중 41개 구역이 해제되고 48개 구역이 추진되었으며, 추진주체가 있는 100개 구역 중에 9개 구역이 해제되고 91개 구역이 추진되었다. 그 다음 해제구역 영향요인에 대한 두 번째 분리는 토지등소유자 수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토지등소유자 수가 468명 이하인 경우 해제확률이 늘어났으며, 62개 구역 중 37개 구역이 해제되었다. 반면 토지등소유자 수가 468명 이상인 27개 구역은 4개 구역이 해제되고 23개 구역이 추진되었다. 세 번째 분리는 평균공시지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269.64 만원/m2(대략 평당 891만원)을 기준으로 이하에서는 35개 구역이 해제되었고, 더 높은 공시가격에서는 2개 구역이 해제되었다. 한편, 두 번째 분리에서 토지등소유자 수가 468명 이상으로 사업추진 방향으로 분리된 node4에서는 토지등소유자 당 국공유지 면적 비율이 29.43% 이상인 구역에서 4개 구역이 해제되었고, 그 이하인 구역에서 해제가 없었다. 이 연구를 위한 통계, 의사결정나무분석에는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10256).

References

  1. 강세진.김창석.남진, 2007, "개별행태적.시계열적 모형에 의한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의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42(3), pp.107-129.
  2. 김영관.김진하.남진, 2007,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 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2(7), pp.95-108.
  3. 김태선.남진.이도길, 2015, "서울시 주택재개발, 주택재건축사업 추진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국토계획」, 50(5), pp.169-185. https://doi.org/10.17208/jkpa.2015.08.50.5.169
  4. 김성희, 2008, "공공규제 및 인센티브 정책이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성상준.조주현, 2008, "재개발 사업구역의 특성이 조합원과 일반분양자의 아파트분양가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6(1), pp.27-55.
  6. 양성돈.김창석.강명구, 2010, "정비사업구역 내 세입영업자의 재개발사업 추진 찬반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45(1), pp.79-89.
  7. 이도길.김창석.남진, 2010, "개발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3(3), pp.237-252.
  8. 이창효.이승일, 2012,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국토계획」, 47(4), pp.205-217.
  9. 현수현.이승주, 2014,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 및 해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에 대한 전문가와 주민의 차이 분석", 「도시행정학보」, 27(3), pp.143-165.
  10. 서울특별시, 2014, 「뉴타운.재개발 실태조사 백서」, 서울특별시.
  11. 이지연.이영주, 2021,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 「공학교육연구」,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