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lanning Method of the Sacheonwangsa Temple Architecture in Silla

신라사천왕사건축(新羅四天王寺建築)의 설계기술(設計技術) 고찰(考察)

  • Received : 2020.05.21
  • Accepted : 2020.08.1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is an esoteric temple that was founded provisionally in 670, and was completed in 679.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planning method of the Sacheonwangsa Templ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on excavations and investigations into its construction processes and construction measures there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site construction, assuming the size of one Bang (坊) on the south of Nangsan Mountain, after dividing the north-south width into three equal par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wo of these parts were set to the flat portion. (2) In the 'Jochang (祖創, 670)', it is estimated that an area of 300 cheoks by 300 cheoks was postulated on the flat surface, and, as an initial conception, the mandala's plane design of the outer square 2 hasta (3 cheoks) and inner square 1 hasta (1.5 cheoks) was originally devised for the setting of 'Mudra (神印)', and an area 100 times greater has been set as the basis in the scale and layout planning of the central block. (3) During 'Gaechang (攺刱, ~679)', it is judged that because of the narrown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agoda and Geumdang Hall, which occurs when the center of the Geumdang Hall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stage of the foundation (先築基壇)', the scale and layout planning were adjusted from the initial conception. (4)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 fixed size of the central block (280 cheoks by 320 cheoks). Specifically, the east-west direction is set on the quartile's line of the east-west width of the central block, and in contrast, the north-south direction is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block. It is pre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transept was determined through the division and adjustment of the column spacing of the east-west corridor, then the Geumdang Hall and Altar were based on this. (5) The scale of the Geumdang Hall and Pagoda is determined by the petition of the division by the unit fraction starting from the quartile's line of the central block's east-west width. This planning is understood to be based on the self-similarity, which is rooted in the mandala's plane design as the model.

신라사천왕사는 670년 '조창(祖創)'된 이후 '개창(攺刱)'을 거쳐 679년에 낙성된 밀교사원이다. 본 연구는 근년의 발굴조사 성과와 사원건립과정 및 조영척도에 관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사천왕사건축의 설계기술 해명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지 조성에 있어서는, 낭산 남록 상에 1방(坊)의 크기를 상정, 그 남북 폭을 3등분한 후, 그 중 2구획분을 평탄부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2) '조창'에 있어서는, 평탄면 남단을 경계로 하여 300척(尺)평방의 규모를 상정, 그 중심에 '선축기단'을 축조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초기구상으로써 문두루(신인(神印))의 장치를 목적으로 한, 외원 2주(肘)(3척(尺)), 내원 1주(肘)(1.5척(尺))의 단(壇) 평면 의장을 자체 고안, 그것의 100배를 중심곽 규모 및 배치 계획에 있어서의 근거로 설정해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3) '개창'에 있어서는, '선축기단'의 중심을 금당 중심으로 고수할 경우 발생되는 목탑·금당간거리 협소 문제를 인지, 초기구상으로부터 중심곽 규모 및 배치를 조정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당탑 및 단석의 배치는, 확정된 중심곽 규모(280척(尺)×320척(尺))를 대상으로 한 분할에 기초해 결정되었는데, 동서방향에 있어서는 중심곽 동서 폭을 4등분하는 선상으로 정한 반면, 남북방향에 있어서는 중심곽 짜임새상의 특성에 입각, 동서회랑의 도리칸 분할과 조정을 통해 익랑 위치를 확정한 후, 이를 기준해 금당·단석을 배치했다고 추정된다. (5) 당탑 및 단석 등의 규모는 각 건물의 정면 기단 폭에 의해 제어되었던 것으로 인정된다. 특히 금당·목탑의 규모는 중심곽 동서 폭의 4등분으로부터 시작되는 단위분수적 분할의 반복을 통해 결정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단의 평면의장을 전형으로 한 자기유사성에 연원을 둔 것으로 이해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東國李相國全集
  2. 梅月堂集
  3. 三國史記
  4. 三國遺事
  5. 爾雅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2, 新羅王京 發掘調査報告書 I (本文)-皇龍寺址 東便 S1E1地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554.557
  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3, 慶州 仁旺洞 556.566番地遺蹟-發屈調査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132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四天王寺I-金堂址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p.63-64, p.128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3, 四天王寺II-回廊內廓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165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四天王寺III-回廊外廓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66.123
  11. 국립경주박물관, 2008, 文化遺蹟分布地圖-慶州市 1:10,000-, 국립경주박물관.경주시, p.163.186
  1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1936, 사지(寺址) 발굴경과 경주 고분 관계 도서, F107-003-001-010-011
  13. 김동하, 2016,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23, 한국고대사탐구학회, pp.214-218, p.239
  14. 김상태, 2004, 新羅時代 伽藍의 構成原理와 密敎的 相關關係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5-164, p.201
  15. 김상태, 2007, 사천왕사 초석의 장식에 관한 연구 한국내디자인학회논문집16(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pp.7-8, p.10
  16. 김숙경.이은비, 2019, 유구검토를 통한 6-8세기 신라 불교사원 회랑 건축계획연구 건축역사연구28(5), 한국건축역사학회, p.21.24
  17. 김완진, 2003, 국어학에서 살펴 본 월명 향가의 특성 새국어생활13(3), 국립국어원, pp.174-176
  18. 김재홍, 2013, 신라 왕경의 개발 과정과 발전 단계 한국사학보52, 고려사학회, pp.219-220
  19. 박만식, 1975, 韓國古代伽藍의 配置 및 平面計劃에 關한 硏究,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7-42
  20.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4, 경주 인왕동 왕경유적 II-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2차) 발굴조사-,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p.273-274
  21. 여호규, 2002, 新羅 都城의 空間構成과 王京制의 성립과정 서울학연구18,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p.40, pp.67-68
  22. 이영호, 2005, 7세기 新羅 王京의 變化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2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95-196
  23. 이임수, 2007, 향가와 서라벌 기행, 박이정, pp.50-51
  24. 이정민.溝口明則, 2019a, 新羅四天王寺 建立過程 再考 건축역사연구28(2), 한국건축역사학회, pp.77-90 https://doi.org/10.7738/JAH.2019.28.2.077
  25. 이정민.溝口明則, 2019b, 新羅四天王寺建築의 造營尺度 再論 건축역사연구28(5), 한국건축역사학회, pp.43-58 https://doi.org/10.7738/JAH.2019.28.6.043
  26. 이현태, 2012, 新羅 王京의 里坊區劃 및 範圍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신라문화40,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10-134
  27. 장충식, 1996, 新羅 狼山遺蹟의 諸問題(I)-四天王寺址를 中心으로-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1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8-29
  28. 장충식, 2002, 신라 사천왕사지 단석의 고찰 불교학보39,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pp.12-16
  29. 전덕재, 2011, 신라의 王京과 小京 역사학보209, 역사학회, pp.15-16
  30. 탁경백, 2009,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문화재42(2), 국립문화재연구소, pp.32-34
  31. 한명희, 2010, 사천왕사 금당의 복원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8-88
  32. 한욱, 2009, 遺構를 通한 6.7世紀 百濟伽藍 建物의 復原的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62
  33. 古賀登, 1980, 漢長安城と阡陌.県郷亭里制度, 雄山閣, pp.97-98
  34. 落合俊典, 2010,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写本研究の現況と研究方法 불교학리뷰7,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pp.22-23, p.29
  35. 楠山修作, 1969, 阡陌の研究 東方学38, 東方学会, pp.18-30
  36. 藤島亥治郎, 1930a, 朝鮮建築史論 其一 建築雑誌44(530), 日本建築学会, pp.300-319, p.329
  37. 藤島亥治郎, 1930b, 朝鮮建築史論 其二 建築雑誌44(531), 日本建築学会, pp.461-464, p.467
  38. 米田美代治, 1940, 慶州望德寺の研究-伽藍計畫に就いて四天王寺及び藤原京薬師寺との関係- 朝鮮と建築19(4), 朝鮮建築会, pp.31-42
  39. 朝鮮總督府, 1924, 古蹟調査報告-大正11年度(第1冊)-, 朝鮮總督府, pp.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