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Ganghwa Bomunsa Temple

일제강점기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 연구

  • Received : 2020.03.31
  • Accepted : 2020.08.1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Ganghwa Bomunsa Temple is a giant rock-carved Buddhist statue that was built in 192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it is a year-recorded Buddhist statue that occupies a prominent place in modern Korean Buddhist sculpture history, it has not been the subject of in-depth discussion due to weak research on modern Buddhist sculptures.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various significant aspects of the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Bomunsa Temple as a modern Buddhist sculpture, I have managed to determine its construction year, artificers, and patrons by deciphering the inscription around the rock-carved statue; in addition I have researched the effects of the rock shapes and landforms on the formation of the Buddhist statu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ints of view of both artificers and worshipers. I have also identified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time of construction from interviews with the descendants of artificers. A monk from Geumgangsan Mountain, Lee Hwaeung, took the role of sponsor and chief painter to construct the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Bomunsa temple. In the beginning of its construction in 1928, more than 100 donators jointly sponsored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 Gansong Jeon Hyoungphil sponsored alone at the time of the place of worship's expansion in 1938. Bomunsa Templ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top-three sacred places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ogether with Naksansa Temple in Yang Yang and Boriam in Nam Ha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ock-carved statue. It took about three months to construct the statue. Lee Hwaeung drew a rough sketch and then Un Songhag and five masons from Ganghwa Island took part in the carving process. We can observe the line drawing technique around the rock-carved statue because the statue was carved based on the rough sketch of the monk painter. The aspect of Lee Hwaeung as a painter is revealed; therefore, we can identify the clue of painting pattern leading to Seogongchulyou- Hwaunghyoungjin- Ilonghyegag. The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Bomunsa Temple is a typical Avalokiteśvara that wears a jeweled crown and holds Kundica. It makes a strong impression as it has a big square-shaped face and a short neck and is unsophisticated in general. The artificers solved the issue of visual distortion of the rock-carved statue caused by carving on a 10-meter high and 40-degree sloping rock by controlling motion to its maximum, omitting detailed expression by emphasizing symmetry, and adjusting the head-to-body proportion to be almost one-to-one. In this study, especially, I presume the unified form of sacred sculptures and Buddhist altars, without making a Buddhist altar like the rock-carved seated Avalokiteśvara statue at Bomunsa Temple, to be a key characteristic of modern Buddhist sculptures. Furthermore, I make newly clear that the six letters of Sanskrit carved on nimbus, which had been interpreted as a Six-Syllable Mantra, are a combination with Jeongbeopgye and Sabang Mantras. In addition, three iron rings driven on eaves rock were used as a reference point, and after construction they were used as a decoration for the Bodhisattva with hanging wind chimes.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은 일제강점기였던 1928년에 조성된 거대한 규모의 마애불상으로 한국 근대 불교 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기년명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근대 불교 조각에 대한 연구 부진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이 근대기 불상으로서 갖는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마애불 주변에 있는 명문을 판독하여 조성 연대와 제작자 및 후원자를 확인하였으며, 바위의 형태와 지형이 불상의 조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제작자와 참배객의 시점(視點)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작자 후손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불상 조성 당시의 구체적 정황을 파악해 보았다.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의 제작에는 금강산 승려 이화응(李華應)이 화주(化主)겸 화사(畫師)를 맡았고, 불상 조성이 시작되는 1928년에는 100여 명이 넘는 시주자가 공동으로 후원하였으며, 1937년 참배공간을 확장할 때는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이 단독 후원하였다. 이 마애불 조성을 계기로 강화 보문사는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과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관음 도량으로 손꼽히게 되었다. 불상의 제작 기간은 약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초(草)는 화주를 맡았던 이화응이 그리고 조각은 운송학(雲松學) 등 다섯 명의 강화 지역 석수가 참여하였는데, 화승이 그린 초를 바탕으로 조각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애불 곳곳에서 선묘적 기법이 발견된다. 화사로서 이화응의 면모가 밝혀짐에 따라 석옹철유(石翁喆有)-화응형진(華應亨眞)-일옹혜각(一翁慧覺)으로 이어지는 화맥의 단초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은 보관을 쓰고 정병을 든 전형적인 관음보살로 방형의 큰 얼굴에 목이 짧고 전체적으로 투박하여 경직된 인상을 준다. 제작자는 높이 10m에 40°가량 기울어져 있는 바위에 마애불을 왜곡 없이 보이기 위해 최대한 동작을 절제하고 대칭성을 강조하여 세부 표현을 생략하였고, 머리와 신체 비례는 1:1에 가깝게 조정하여 시각적 왜곡 문제를 해결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처럼 별도의 불단을 만들지 않는 '불상과 불단의 일체화'된 형식을 근대기 불교 조각의 특징으로 상정하였다. 그 외에 광배에 새겨진 6글자의 범자(梵字)를 그동안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으로 해석했으나,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과 사방진언(四方眞言)이 조합된 것임을 새롭게 밝혔다. 아울러 처마 바위에 박혀 있는 3개의 쇠고리는 제작 과정에서 다림추를 달아 초를 그릴 때 기준점으로 활용하였고, 이후에는 고리에 풍탁을 달아 보살상을 장엄하는 용도로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문화재단, 2001, 화성성역의궤 권4, p.234, p.331, pp.513-514, p.536
  2. 映月 編, 1801년, 眞言集 楊州道峯山 望月寺藏版, p.55
  3. 著者未詳, 刊寫年未詳, 江華都志, pp.141-142
  4. 朝鮮總督府, 刊寫年未詳, 寺刹令改正ニ依ル傳燈寺財産目錄, pp.27-29
  5. 朝鮮總督府內務部地方局, 1911, 朝鮮寺刹史料 (下), p.96
  6. 朝鮮總督府, 1932, 朝鮮總督府官報, 第1604號, pp.134-135
  7. 朝鮮總督府, 1939, 朝鮮總督府官報 第321號, 第745號, 第825號, 第828, 第983號, 第1278號, 第1414號, 第2257號, 第2386號
  8. 韓國學文獻硏究所編, 1977, 乾鳳寺本末事蹟 楡岾寺本末寺誌, 亞細亞文化史, pp.494-495, p.604
  9. 韓國學文獻硏究所編, 1978, 傳燈本末寺誌, 亞細亞文化史, pp.91-94, pp.96-97
  10. 韓國學文獻硏究所編, 1982, 大乘寺誌, 亞細亞文化社, pp.419-420
  11. 국립무형유산원, 1977, 임석정 불화는 신심으로부터지, pp.93-97
  12. 국립중앙박물관.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1999, 유리원판사진 아름다운 金剛山, p.155, p.175
  13. 權相老, 1979, 韓國寺刹全書, 東國大學校出版部, pp.276-277
  14. 金相永 외5, 1996, 普門寺 寺誌, 사찰문화연구원, pp.37-41
  15. 金永基, 1949, 摩尼山 普門寺 紀行 民聲, 高麗文化社, p.55
  16. 김형우, 안귀숙, 이숙희, 2014, 인천의 전통사찰과 불교미술(2),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p.112
  17.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01, 일제시대 불교정책과 현황上.下, p.546(上), p.587(上), p.621(上), p.795(上), p.127(下)
  18.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韓國의 佛畫 Vol2, p.106/Vol4, p.77/Vol7, p.188/Vol11, p.133/Vol13, pp.57-59,p.60/Vol15, p.79/Vol17, p.133
  19. 성나연, 서효원, 전봉희, 2019, 1930년대 금강산 국립공원 계획에 의한 금강산 영역의 재편과 변천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11, pp.43-46
  20. 엄기표, 2015, 남원 勝蓮寺 마애 범자진언의 조성 시기와 의의 선문화연구제18집, pp.391-440
  21. 이선용, 2013, 불화에 기록된 범자와 진언에 관한 고찰 美術史學硏究 第278號, pp.125-162
  22. 최명주, 이찬희, 조영훈, 2015, 경복궁 근정전 박석의 산지와 운송과정 해석 한국암석회지, pp.181-191
  23. 최선아, 2019, 성지(聖地)의 형성과 존상(尊像)의 출현-중국 보타산(普陀山)의 관음상(觀音像)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시각문화, pp.122-163
  24. 최선일.김형우 편저, 2011, 江華 寺刹 文獻資料의 調査硏究, 인천학연구원, pp.233-234
  25. 최엽, 2001, 서울 창신동 <安養庵 磨崖觀音菩薩坐像> 硏究 佛敎美術 第20號, p.82
  26. 東亞日報 1929.6.23/1939.6.4/1948.10.15
  27. 每日申報 1921.10.22./1923.06.15/1933.02.26
  28. 〈일제경성지방법원편철자료-思想問題에 關한 調査書類 5〉 1928.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