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芥子園畫譜
- 經國大典
- 高麗史
- 金華耕讀記
- 大典通編
- 大典會通
- 墨娥小录
- 本草綱目
- 新修本草
- 神仙養生秘術
- 醫林撮要
- 林園經濟志
- 儲承殿儀軌
- 永寧殿修改都監儀軌
- 典錄通考
-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 朝鮮王朝實錄 燕山君日記
- 朝鮮王朝實錄 太宗實錄
- 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 昌慶宮修理所儀軌
- 昌德宮修理都監儀軌
- 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 天工開物
- 강규성, 2011, 녹색 무기안료의 재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강지은, 2011, 김제 금산사 미륵전 벽화 채색안료의 성분 분석 및 특성 해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경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08, 궁궐채색기술 특성규명 연구, 전통과학기술실용화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a, 안료 분석,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67-90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b, 안료 분석,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3-7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c, 안료 분석, 통도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3, pp.51-69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d, 안료 분석,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과 정밀조사 보고서 4,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2-70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a, 안료 분석,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5,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9-70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b, 안료 분석,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6,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6-6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c, 안료 분석, 만연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7,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4-65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d, 안료 분석, 법주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8,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4-63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e, 안료분석, 대련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9,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2-63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f, 안료 분석, 개암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0,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66-86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g, 안료 분석, 도림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1,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4-6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h, 안료 분석,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2,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9-7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a, 안료 분석, 미황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3,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2-8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b, 안료 분석, 죽림사 세존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4,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0-64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c, 안료 분석, 다보사 괘불탱, 대형불화 장황조사 보고서 15,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61-88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d, 안료 분석, 흥국나 노사나불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6,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65-93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e, 안료 분석, 남장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7,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3-73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f, 안료 분석,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8,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5-7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g, 안료 분석, 용봉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19,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2-76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a, 안료 분석, 보살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3,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7-7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b, 안료 분석, 안심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4,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4-8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c, 안료 분석, 선석사 영산회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2,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4-8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d, 안료 분석,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6,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3-75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e, 안료 분석,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0,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5-8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f, 안료 분석, 금탑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1,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48-7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g, 안료 분석, 김천 직지사 괘불탱,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25,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pp.51-80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h,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전라남도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i,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 전라북도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 김규호, 송유나, 2016, 대웅보전 불화 안료의 비파괴 성분 분석, 조선의 원당1-화성 용주사, 불교미술연구 조사보고 제6집, 국립중앙박물관, pp.203-230
- 김규호, 송유나, 임덕수, 송정주, 2007,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보존과학연구, 28, pp.121-147
- 김범준, 박민수, 김민재, 정광용, 2014,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과학적 조사 및 분석,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모사,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pp100-120
- 김소진, 한민수, 이한형, 2012,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 안료의 과학적 분석, 문화재, 45(3), pp.212-223 https://doi.org/10.22755/KJCHS.2012.45.3.212
- 김수경, 허준수, 이한형, 서민석, 한민수, 2013,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보존과학회지, 29(4), pp.379-388 https://doi.org/10.12654/JCS.2013.29.4.08
- 김순관, 정희원, 조안나, 홍순천, 2010, 조선후기기록화 왕세자입학도(王世子入學圖)의 제작기법 연구, 문화재 보존연구, 7, pp.86-115
- 김용선, 이상진, 최인숙, 진병혁, 이화수, 2014,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백의관음벽화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0(1) pp.55-65 https://doi.org/10.12654/JCS.2014.30.1.06
- 김정현, 2009, 19C 아미타불 탱화의 복원모사를 위한 과학적 분석 연구 - 충청북도 청원군 월리사 소장 아미타불 탱화 -,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옥경, 2010, 靈光佛甲寺所藏<靈山會上圖>의材料와 彩色技法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남도현, 2019,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고분벽화의 잔존안료 입자분석을 통한 안료 분포양상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노지현, 2017, 청룡사 소장 불교회화의 채색 안료 분석과 시기적 특성, 안성 청룡사, 조선의 원당 2 국립중앙박물관, pp.147-168
- 도진영, 정종미, 2018, 전통 안료로 사용된 구리함유 녹색광물의 광물학적 특성과 산지추정, 한국광물학회지, 31(2), pp.123-135 https://doi.org/10.9727/jmsk.2018.31.2.123
- 문선영, 2005, 석파산장 편액 안료 및 섬유 분석, 문화재보존연구, 2, pp.127-132
- 문선영, 2007, 우학재단 소장 감로왕도 안료 분석, 丹豪文化硏究, 11, pp.206-215
- 문선영, 2009, 기록화 분석, 조선시대 기록화 채색안료, 서울역사박물관, pp.52-129
- 문선영, 2010, 조선중기 이후 회화의 채색안료 연구 - 17-20C 초상화, 기록화, 장식화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문선영, 2015, 1910년대 채용신필 초상화 채색 분석 - <박만화 초상>을 중심으로 -, 문화재보존연구, 12, pp.75-91
- 문선영, 2016, 채색분석으로 알아본 <이재면 초상> 제작 상황, 문화재보존연구, 13, pp.57-78
- 문선영, 2017, 1910년대 채용신필 초상화 채색 분석 추가 고찰, 문화재보존연구, 14, pp.81-101
- 문환석, 조남철, 홍종욱, 황진주, 2002, 단청,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 보고서, pp.365-402
- 문환석, 홍종욱, 조남철, 이명희, 2002, 朝鮮時代 佛腹藏 織物의 銘文顔料 材質分析,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3), pp.68-80
- 문환석, 홍종욱, 한민수, 황진주, 2004, 괘불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괘불조사보고서 제III집 경상남.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pp.187-210
- 문환석, 홍종욱, 황진주, 김순관, 조남철, 2002, 고대 벽화안료 재질분석 연구 - 봉정사 후불벽화 및 고아동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 문화재, 35, pp.160-184 https://doi.org/10.22755/kjchs.2002.35.160
- 박지선, 1996, 李鶴 소장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保存修復에 관하여, 단호문화연구, 1, pp.45-75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a,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예산 수덕사 대웅전, 문화재청, pp.157-189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b,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약사전, 문화재청, pp.157-189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c,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국사전, 문화재청, pp.203-229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d,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영산전, 문화재청, pp.190-243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e,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하사당, 문화재청, pp.77-87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4f,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암 도갑사 해탈문, 문화재청, pp.84-90
-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5, 안료 조사 및 분석,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창덕궁, 문화재청, pp.270-426
- 송유나, 김규호, 2014,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화기에 기록된 안료명에 대한 고찰, 보존과학회지, 30(1), pp.13-25 https://doi.org/10.12654/JCS.2014.30.1.02
- 송유나, 이한형, 정용재, 이혜윤, 2016,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보존과학회지, 32(1), pp.89-100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9
- 신현옥, 2007, 조선시대 彩色材料에 관한 연구 : 의궤에 기록된 회화의 채색재료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안병찬, 홍종욱, 2006, 고구려 고분벽화의 안료 분석,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실태 조사 보고서 제1권 조사보고, pp.180-218
- 안지윤, 기수연, 천주현, 2014,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보존과학회지, 30(1), pp.39-53 https://doi.org/10.12654/JCS.2014.30.1.05
- 안지윤, 천주현, 김수연, 2013, 16세기 감로도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 박물관 보존과학, 14, pp.13-22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3.14.0013
- 안지윤, 천주현, 김효지, 지주연, 2013,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보존과 채색 분석, 보존과학회지, 29(2), pp.149-159 https://doi.org/10.12654/JCS.2013.29.2.06
- 오수원, 2018, 조선시대 공신초상화의 회화사적 특성과 모사복원 연구 - 申叔舟肖像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오준석, 2009,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 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생활문물연구, 25, pp.129-157
- 오준석, 2010, 복개당 자료 안료 성분 분석, 생활문물연구, 26, pp.103-112
- 오준석, 최정은, 최윤희, 2015,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1(3), pp.193-214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2
- 오준석, 최정은, 이새롬, 2016, 삼국지연의도 채색 재료 분석,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pp.132-173
- 유혜선, 2005, 태조어진 안료 분석, 왕의 초상, 국립전주박물관, pp.242-260
- 유혜선, 200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록산수화의 안료 분석, 靑綠山水畵 16帖,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4집, 국립중앙박물관, pp.205-215
- 유혜선, 2010, 화엄사 소장 불교문화재의 성분 분석, 화엄사의 불교미술, 불교미술연구 조사보고 제2집, 국립중앙박물관, pp.138-152
- 유혜선, 윤은영, 2015,장렬왕후국장도감의궤,효순현빈예장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반차도의 채색 안료 분석, 외규장각 의궤 연구 흉례 I, 외규장각 의궤 학술총서 3, 국립중앙박물관, pp.242-285
- 유혜선, 장연희, 2007, 초상화의 채색 분석, 조선시대 초상화 I,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5집, 국립중앙박물관, pp.241-267
- 유혜선, 천주현, 박승원, 2008, 보존과학이 새롭게 찾아낸 정보들, 화엄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pp.41-47
- 유혜선, 장연희, 2008, 초상화의 채색 분석,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pp.262-299
- 유혜선, 장연희, 윤은영, 2009, 초상화의 채색 분석, 조선시대 초상화 III, 국립중앙박물관, pp.226-275
- 유혜선, 장연희, 윤은영, 2010, <기축진찬도> 채색 안료 분석,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I, 한국서화도록 18집, 국립중앙박물관, pp.187-225
- 유혜선, 천주현, 2009, 천은사 삼일암 아미타불회도의 안료 분석, 천은사의 불교미술, 불교미술연구 조사보고 제1집, 국립중앙박물관, pp.63-70
- 유혜영, 김경수, 이용희, 1999, 훈증소독에 따른 서화류의 안료변색 및 pH변화 유무 조사, 박물관보존과학, 1, pp.43-5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1999.1.0043
- 윤은영, 강형태, 201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 채색 안료 및 염료 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13, pp.13-22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2.13.0013
- 윤은영, 강형태, 2014, 은조사 구장복의 채색안료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15, pp.66-76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4.15.0066
- 윤은영, 노지현, 2016, 불교회화 채색 안료의 분석과 시기적 특성, 조선의 원당1-화성 용주사, 불교미술연구 조사보고 제6집, 국립중앙박물관, pp.231-263
- 이경민, 이화수, 김미정, 2012, 사찰벽화 재질 및 상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조사 연구 - 직지사 명부전 벽화를 중심으로 -, 불교미술사학, 14, pp.191-205
- 이장존, 한민수, 유영미, 권혁남, 2018, 대련사 괘불탱에 사용한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보존과학연구, 39, pp.103-114
- 이찬희, 이정은, 한나라, 2012,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보존과학회지, 28(2), pp.101-112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01
- 이한형, 박지희, 홍종욱, 한민수, 서민석, 허준수, 2012,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문화재, 45(1), pp.122-147 https://doi.org/10.22755/KJCHS.2012.45.1.122
- 장연희, 유혜선, 황유정, 2008, 조선중기 조경영정 보존 및 제작기법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9, pp.85-93
- 장연희, 윤은영, 김수연, 2014, 심희수 초상의 재료와 제작기법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박물관보존과학, 15, pp.96-12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4.15.0096
-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2009,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4), pp.383-398
- 정기영, 조현구, 도진영, 2018, 국내 녹색-청색계열 무기안료의 산출과 광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31(1), pp.33-46 https://doi.org/10.9727/jmsk.2018.31.1.33
- 정두희, 2012, 조선 후기 어진의 제작기법 연구 - 의궤 및 현존 유물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조남철, 문환석, 홍종욱, 황진주, 2001, 경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보존과학연구, 22, pp.93-114
- 조남철, 홍종욱, 문환석, 황진주 2000, 봉정사 극락전 벽화 안료의 재질 분석 연구 (II), 보존과학연구, 21, pp.119-143
- 조창록, 2010, 풍석(楓石), 서유구(徐有구),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한국실학연구, 19, pp.287-307
- 차병갑, 2008, 조선후기 김인신 초상화의 보존과학적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천주현, 유해선, 2010, 보존과학으로 본 금당사 괘불, 금당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pp.31-38
- 하누리, 2015, 김제 금산사 미륵전 단청 안료에 대한 특성 분석, 공주대학교석사학위 논문
-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2013a, 조사당 단청에 대한 과학적 조사 카드,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문화재청, pp.92-100
-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2013b, 무량수전 단청에 대한 과학적 조사 카드,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문화재청, pp.92-100
-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2013c, 팔상전 단청에 대한 과학적 조사 카드,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보은 법주사 팔상전, 문화재청, pp.324-413
-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2013d, 미륵전 단청에 대한 과학적 조사 카드,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김제 금산사 미륵전, 문화재청, pp.270-319
- 한민수, 김지형, 이장존, 2014, 창녕 관룡사 약사전 단청안료의 과학적 분석, 문화재, 47(1), pp.18-31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1.18
- 한민수, 이한형, 김재환, 2011,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산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문화재, 44(3), pp.132-149 https://doi.org/10.22755/kjchs.2011.44.3.132
- 한민수, 홍종욱, 2003,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 - 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 보존과학연구, 24, pp.131-152
- 한민수, 홍종욱, 2005,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존과학연구, 26, p165-188
- 홍종욱, 이장존, 2013, 완주 송광사 나한전 단청안료 분석, 보존과학연구, 34, pp.102-108
- Winter, J., 1989,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미술자료, 43, pp.1-36
- 王进玉, 2003, 敦煌石窟艺术应用颜料的产地之谜, 文物保护与考古科学, 15(3), pp.47-56 https://doi.org/10.3969/j.issn.1005-1538.2003.03.009
- 王军虎, 杉下龙一郎, 1996, 甘肃东千佛洞二窟和七窟壁画使用颜料的研究, 文物保护与考古科学, 8(1), pp.9-16
- 王进玉, 王进聪, 2002, 敦煌石窟铜绿颜料的应用与来源, 敦煌研究, 74(4), pp.23-28
- 李蔓, 2013, 铜绿颜料的分析探究, 西北大学硕士论文
- 徐位业, 周国信, 李云鹤, 1983, 莫高窟壁画, 彩塑无机颜料的X射线剖析报告, 敦煌研究, pp.187-197
- 于非闇, 1955, 中國畫顔色的硏究, 新華書店
- 小口八郎, 1969, 日本画の着色材料に関する科学的研究, 東京芸術大学美術学部紀要, 5, pp.27-82
-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1941, 朝鮮鑛物誌, 三省堂
- 成瀬正和, 2004, 正倉院宝物に用いられた無機顔料, 正倉院紀要, 26, pp.13-60
- 早川泰弘, 2009, 銅系緑色顔料の多様性とその使用例, 保存科学, 48, pp.109-117
- 廣川守, 2016, 高麗仏画の絵具-蛍光X線分析から, 高麗仏画-香りたつ装飾美, 泉屋博古館, 根津美術館, pp.122-128
- 山崎一雄, 1992, 鳳凰堂絵画の色料, 平等院大観 第3巻 絵画, 岩波書店, pp.171-175
- Gettens, R.J., and Fitzhugh, E.W., 1966, 'Azurite and blue verditer', Studies in Conservation, 11, pp.54-61 https://doi.org/10.1179/sic.1966.008
- He, L., Shahid, S., Khalida, K., and Simon, S., 2017, 'Authenticity identification of pigments in ancient polychromed artworks of China', Analytical Methods, 9(5), pp.814-825 https://doi.org/10.1039/C6AY03157A
- IRUG: http://www.irug.org/
- Kerber, G., Koller, M., and Mairiner, F., 1972, 'Studies of blue-green alterations in Austrian medieval wallpainting', Preprints: ICOM Committee for Conservation 3rd triennial meeting, ICOM-CC, Madrid
- Lei, Y., 2012, 'Copper trihydroxychloride as pigments in China', Studies in Conservation, 57, pp.106-111 https://doi.org/10.1179/2047058411Y.0000000008
- Merrifield, M.P., 1967, Original treatises on the arts of painting, Vol. II, Dover Publications, p.236
- Martens, W., Frost, R.L., and Williams, P.A., 2003, 'Raman and infrared spectroscopic study of the basic copper chloride minerals -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copper and brass corrosion and "bronze disease"', Neues Jahrbuch fur Mineralogie - Abhandlungen, 178(2), pp.197-215 https://doi.org/10.1127/0077-7757/2003/0178-0197
- Naumova, M.N., Pisareva, S.A., and Nechiporenko, G.O., 1990, 'Green copper pigments of old Russian frescoes', Studies in Conservation. 35, pp.81-88
- Needham, J., 1976,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3: Spagy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Historical Survey, from Cinnabar Elixirs to Synthetic Insul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245
- Sancho, N., San Andres, M., Santos, S., and de la Roja, J.M., 2017, 'Colorimetric measurements of different variants of verdigris: powder and bound pigments, e-conservation Journal, 5
- Scott, D.A., 2000, 'A Review of Copper Chlorides and Related Salts in Bronze Corrosion and as Painting Pigments', Studies in Conservation, 45, pp.39-53
- Scott, D.A., 2002, Copper and Bronze in Art: Corrosion, Colorants, Conservation, Getty Trust Publications, p.415
- Takami, M., and Eastop, D., 2002, 'The Conservation of a Korean painted silk banner, c. 1800 : Paint analysis and support via solvent-reactivated acrylic adhesive', Preprint of ICOM-CC 13th Triennial Meeting, Vol II, ICOM-CC, pp.747-754
- Van't Hul-Ehrnreich, E.H., and Halle-Beek, P.B., 1972, 'A new kind of old green pigment found', Preprints: ICOM Committee for Conservation 3rd triennial meeting, ICOM-CC, Madrid
- Winter, J., Leona, M., and FitzHugh, E.W., 2003, Pigments in later Japanese Paintings (Studies Using Scientific Methods), Freer Gallery of Art Occasional Papers, New Series Vol. 1, Freer Gallery of Art, Smithsonian Institution
- Winter, J., 2008, East Asian Paintings, Materials, Structures and Deterioration Mechanisms, Archetype Publications, pp.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