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구황실재산 관리 제도에 대한 연구 -구황실재산의 문화재관리체계 편입 관련-

Establishment of Old Imperial Estate and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Inclusion of Imperial Estate as Cultural Property-

  • 김종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기획과)
  • Kim, Jongsoo (Dept. of Education Planning,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stitute of Traditional)
  • 투고 : 2019.11.25
  • 심사 : 2020.02.10
  • 발행 : 2020.03.30

초록

한국의 문화재 관리 제도는 일제강점기에 제정 시행된 근대 문화재 법제와 구황실재산 관리 제도를 기반으로 성립되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근대 문화재 법제를 중심으로 한 문화재 관리 제도에 대한 연구 성과는 축적해 왔으나 문화재 관리 제도의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는 구황실재산 관리 제도에 대해서는 이를 문화재 제도사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가 거의 없다. 구황실재산은 갑오개혁에 의해 봉건적 가산에서 분리 독립하였으나 일제의 식민지 침탈과정에서 정리 해체되어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왕가의 세습 재산으로 관리되었다. 그 후 정부 수립 후인 1954년 「구황실재산법」이 제정 시행됨으로써 구황실재산은 국유화와 함께 역사적 고전적 문화재로 규정되었고 구황실재산사무총국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때 구황실재산 중 영구 보존 재산으로 지정된 재산은 1963년 「문화재보호법」 1차 개정 시 부칙 제2조에 의거 국유 문화재로 정식 편입됨으로써 민족의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한국의 문화재 형성과 문화재 관리 제도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연원인 근대 문화재 법제와 구황실 재산 관리 제도가 하나로 통합되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근대 문화재 법제의 변천이 일본의 그것을 식민지 조선에 이식·적용하여 문화재를 규율하고 관리하는 과정이었다면 구황실재산 관리는 일제가 대한제국을 식민지화 하면서 구황실재산을 침탈하고 정리하여 운용한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이 각기 다른 두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쳐지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마침내 1961년 문화재관리국 설치와 1962년 주체적인 「문화재보호법」 체제가 성립됨으로써 제도적 통합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of Kore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dern cultural assets acts and the old imperial estate management system ena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cademics have researched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oriented on the modern cultural assets acts,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to the old imperial estate management system, which is another axis of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The old imperial estate was separated from the feudal capital by the Kabo Reform, but was dismantled during the colonial invasion of Japan and managed as a hereditary property of the colonial royal fami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Imperial Estate Act was enacted in 1954 and defined the estate as a historical cultural property managed by the Imperial Estate Administration Office. At this time, imperial estate property that was designated as permanent preservation property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constituting state-owned cultural assets and public goods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of the Act's supplementary provisions during 1963, when the first amendment to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was implemented. In conclusion, Korea's cultural property formation and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were integrated into one unit from two different sources: modern cultural assets acts and the old imperial estate property management system. If the change of modern cultural assets acts was the process of regulating and managing cultural property by transplanting and applying regulations from Japan to colonial Joseon, the management of the imperial estate was a process by which the Japanese colonized the Korean Empire and disposed of the imperial estate. Independ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ombine these two different streams into one. Finally, this integration was comple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in 1962.

키워드

참고문헌

  1. 곤도 시로스케, 이언숙 옮김, 2007, 대한제국 황실비사, 이마고, pp.161-166
  2. 공보처, 1953. 구왕궁 칭호는 이조왕궁실로(1950.4.13.),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
  3. 국가기록원, 제107회 국무회의록(1949년 12월 7일), <대통령 유시사항 8>, p.691
  4. 국가기록원, 구왕궁재산처분법시행령안(1951년 6월 12일), 국무회의보고철(제68회), p.260
  5. 국회사무처, 제6회 국회 정기회의 속기록 제57호(1950년 3월 20일), 의안정보시스템.
  6. 국회사무처, 제15회 국회 정기회의 속기록 제62호(1953년 4월 28), 의안정보시스템.
  7. 김명길, 1977, 낙선재 周邊, 중앙일보, pp.81-82
  8. 김종수, 2019, 한국문화재 제도 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pp.234-240
  9. 경성일보사.매일신보사編, 1933, 昭和九年版 朝鮮年鑑, pp.8-9
  10.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1971, 궁내부 관제 개정, 한말근대법령자료집 I-VI
  11. 순종실록 부록 제2권(1911년 2월 1일), 李王職事務分掌規程
  12. 순종실록 부록 제6권(1915년 3월 31일), 基本財産管理規則
  13. 순종실록 부록 제7권(1916년 6월 3일), 李王職官制中改正案
  14. 순종실록 부록 제7권(1916년 6월 10일), 李王職事務分掌規程 改正
  15. 순종실록 부록 제11권(1920년 10월 30일), 李王職事務分掌規程
  16. 李王職事務分掌規程中改正, 1914, 李王職庶務係人事室(大正三年七月一日), pp.14-39
  17. 조선총독부, 1940, 朝鮮法令輯覽 제1집, 昭和 15年, 학연문화사(1990), pp.23-24
  18. 조선총독부 관보 제106호(1911년 1월 9일), 황실령 제34호, 李王職 官制
  19. 조선총독부 관보 제1156호(1916년 6월 12일), 李王職事務分掌規程中改正
  20. 조선총독부 관보 제1763호(1918년 6월 22일), 李王職事務分掌規程中改正
  21. 문화재관리국, 1992, 단기 4293년 9월 30일 현재, 영구보존재산표), 구황실관계법령 및 재산목록집, pp.127-130
  22. 문화재청, 2011, 문화재청 50년사-본사편(1961-2011), p.34
  23. 서영희, 1990, 1894-1904년의 정치체제 변동과 궁내부, <<한국사론>> 23, p.361
  24. 이상찬, 1992, 일제침략과 황실재정정리(1), <<규장각>> 15,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pp.137-139
  25. 이윤상, 1996, 통감부시기 황실재정의 운영, <<한국문화>> 18,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pp.380-381
  26. 장신, 2016, 일제하 이왕직이 직제와 인사, <<장서각>> 35, 한국학중앙연구원, p.77
  27. 조송래, 2007, 대한제국 황실재산, 남은 것과 남긴 것, 문화재청 사람들의 문화유산 이야기, 눌와, p.249
  28. 최영희, 1996, 격동의 해방 3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p.30
  29. 한국법제연구회, 1971, 미군정법령총람(국문판), p.144
  30. <<매일신보>> (1919년 9월 15일), 李王職의 洋樂隊가 지난 십삼일부터 없어져
  31. <<매일신보>> (1920년 10월 17일), 李王職 內部革新-관제 분장규정 개정, 課廢合 직원의 淘汰
  32. 국가법령정보센터, 구왕궁재산처분법(법률 제119호, 1950년 4월 8일)
  33. 국가법령정보센터, 국유재산법(법률 제122호, 1950년 4월 8일)
  34.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관리특별회계법(법률 제284호, 1953년 4월 18일)
  35.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법(법률 제339호, 1954년 9월 23일)
  36.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관리위원회직제(대통령령 제1036호, 1955년 6월 8일)
  37.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사무총국 직제(대통령령 제1035호, 1955년 6월 8일)
  38.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사무총국 직제(대통령령 제1582호, 1960년 5월 27일)
  39. 국가법령정보센터, 구황실재산사무총국 직제(각령 제50호, 1961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