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식 환경에 따른 출토 청동 유물의 부식 특성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Bronze Artifacts According to Corrosion Environment

  • 장준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배고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Jang, Junhyuk (Dept. of Preservation Technology Of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Bae, Gowoon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Kwangyong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9.09.30
  • 심사 : 2020.02.10
  • 발행 : 2020.03.30

초록

출토 청동 유물에서는 매장 환경 내 공존하는 복합적인 부식 인자로 인해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부식 생성물이 관찰되며, 이러한 부식 생성물은 장기 부식의 정보뿐만 아니라 보존처리 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청동 유물의 부식층 및 부식 생성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부식층 형성 과정 및 부식 생성물의 특성을 규명하고, 노출된 매장 환경의 특성 및 내부 부식 인자와의 연관성을 해석하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을 합금비와 제작기법에 따라 분류 후, 표면·부식층·부식 생성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청동 유물의 부식 메커니즘과 부식층 형성 과정, 부식 생성물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총 5점의 시료는 합금비 및 제작기법 분석 결과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데, Cu-Sn-Pb합금으로 열처리가 진행되지 않은 Group 1은 내·외측 중 일부 또는 양측에 외부 부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은 녹색 또는 청색으로 확인되었다. 소지 금속에서는 α상, α+δ상 선택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α+δ상 선택 부식 후 빈 공간에 순도가 98% 이상인 Cu가 농축되어 있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Cu-Sn합금으로 열처리가 진행된 Group 2는 외부 부식층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표면이 어두운 황색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Group 1과는 다르게 소지 금속 내부에서 α상 선택 부식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일한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에서도 합금비 및 제작기법에 따라 부식층 형성과정 및 부식 생성물의 형태와 색상, 금속이온 이동경로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유물에서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부식 특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매장 환경 내 노출 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동일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이라 하더라도 합금비, 제작기법, 노출 환경에 따라 부식 특성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 및 유물을 대상으로 한 부식 특성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향후 여러 지역에서 출토되는 청동 유물의 부식층 및 부식 생성물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매장 환경에 따른 부식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excavated bronze artifacts, corrosion products of various shapes and colors are observed due to multiple corrosion factors coexisting in the burial environment, and these corrosion products can constitute important data not only in terms of long-term corrosion-related information, but also in connection with preservation of artifacts. As such, scientific analysis is being carried out on the corrosion layer and corrosion products of bronze artifacts, and the corrosion mecha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products elucidated, which is essential for interpreting the exposed burial environ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corrosion factors inside the burial environment. In this study, after classifying excavated bronze artifacts according to alloy ratio and fabrication techniqu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rface of corrosion artifacts, corrosion layer, and corrosion product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mechanism, formation process of the corrosion layer, and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products. The study designated two groups according to alloy ratio and fabrication technique. In Group 1, which involved a Cu-Sn-Pb alloy and had no heat treatment, the surface was rough and external corrosion layers were formed on a part, or both side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surface was observed as being green or blue. α+δ phase selection corrosion was found in the metal and some were found to be concentrated in an empty space with a purity of 95 percent or more after α+δ phase corrosion. The Cu-Sn alloy and heat-treated Group 2 formed a smooth surface with no external corrosion layer, and a dark yellow surface was observed. In addition, no external corrosion layer was observed, unlike Group 1, and α corrosion was found inside the meta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ame site differ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formation of the corrosion layer, the shape and color of the corrosion products, and the metal ion migration path, depending on the alloy ratio and fabrication technique. They also exhibited different corrosion characteristics in the same material, which means that different forms of corrosion can occur depending on the exposure environment in the burial setting. Therefore, even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ame site will have different corros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lloy ratio, fabrication technique, and exposure environment. The study shows one aspect of corrosion characteristics in specific areas and objects; further study of corrosion mechanisms in accordance with burial conditions will be required through analysis of the corrosive layer and corrosive product characteristics of bronze artifacts from various regi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부식 환경에 따른 청동 유물의 부식 메커니즘 및 부식 생성물 특성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본 연구는 2019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연구지원 '부식 환경에 따른 청동 유물의 부식 메커니즘 및 부식 생성물 특성'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행정 및 재정적 지원에 감사를 표한다.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보존과학기초연수교육-금속문화재의 보존과 관리
  2. 이오희, 2009, 문화재보존과학, 주류성
  3. 이학렬, 2011, 금속부식공학, 연경문화사
  4. 김중희, 1998, 비철금속재료, 희중당
  5. (재)동방문화재연구원, 2016, 세종 봉안리 산12-3번지 일원 제1종근린생활시설 부지 내 문화재 국비지원 지표조사 보고서
  6. (재)동방문화재연구원, 2016, 세종 봉안리 산12-3번지 일원 제1종근린생활시설 부지 내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7. 박장식 외 ,2004, 고려 청동기 유물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열처리공학회지, Vol17, No.1
  8. 박장식 외, 2005, 경주 분황사지 출토 청동기에 나타난 기술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3, No.1
  9. 이재성 외, 2008, 한국의 전통 방짜유기와 이에 사용된 리벳에 관한 연구,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6, No.1
  10. 이은우.김소진.한우림.황진주.한민수, 2013, 출토청동유물 부식의 형태학적 고찰 및 부식생성물의 특성연구, 문화재지, Vol46, No.3
  11. 전익환.이재성.박장식, 2013,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문화재지, Vol46, No.1
  12. 도미솔.정광용, 2013, 과학적 분석을 통한 전세품 청동기의 진위판별 적용가능성, 보존과학회지, Vol29, No.4
  13. 김범준.정광용, 2015,라만분광분석을 통한 출토 청동유물의 부식층 연구,문화재지, Vol48, No.4
  14. 김규빈.정광용, 2017, 서산 비경도 출수 상평통보의 혐기성 부식 특성, 보존과학회지, Vol33, No.3
  15. 최광진, 2003, 鐵器 및 靑銅器 遺物 製作에 관한 考古金屬學的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광선, 2011,출토된 청동유물의 부식산화물에 관한 색상 변화 연구,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배고운, 2013, 청동유물의 부식거동과 B.T.A를 사용한 안정화처리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Omid Oudbashi, Seyed Mohammadamin Emami, Hossein Ahmadi and Parviz Davami, 2013, Micro-stratigraphical investigation on corrosion layers in ancient Bronze artefac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and optical microscopy, Oudbashi et al. Heritage Science 2013, 1:21 https://doi.org/10.1186/2050-7445-1-21
  19. Omid Oudbashi, 2015, Multianalytical study of corrosion layers in some archaeological copper alloy artefacts, Volume 47Issue 13Surface and Interfac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