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릉(貞陵) 이장과 광통교(廣通橋) 개수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립

Collision of New and Old Control Ideologies, Witnessed through the Moving of Jeong-regun (Tomb of Queen Sindeok) and Repair of Gwangtong-gyo

  • 남호현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 Nam, Hohyun (Gangwh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0.09.15
  • 심사 : 2020.11.05
  • 발행 : 2020.12.30

초록

정릉(신덕왕후릉)의 축조와 이장에 얽힌 논란은 조선 초기, 신구(新舊) 지배 이데올로기 사이의 충돌이 잘 드러난 사례이다. 태조의 경처였던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은 도성 안에 조성되지만 태조 사후, 태종에 의해 도성 밖으로 이장되고 그곳에 남아 있던 석물들은 청계천의 광통교를 보수하는데 쓰인다. 야사에서는 태종이 강씨를 저주하기 위해 도성 밖으로 능을 옮기고 남은 석물들로 광통교를 만들어 사람들이 밟고 다니게 했다고 전한다. 태조 말년, 강씨와 태종은 대립하던 관계였으나 태조가 왕으로 옹립되기 전까지는 오히려 정치적 동반자에 가까웠다. 정릉이나 광통교와 관련된 실록의 기록은 더 담백하다. 정릉의 천장은 능묘가 도성 안에 있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는 의정부의 상언을 따른 것이다. 광통교 개수를 위해 정릉을 격하하고 이장시켰다는 주장에는 사실 관계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논자는 광통교 개수에 정릉의 석물이 재사용된 것에 대해 당시 도성 안팎에서 건축자재소요량이 급증하여 효율적인 조달 필요성이 대두되었을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정릉이 도성 안에 조성되었다가 다시 도성 바깥으로 이장된 원인은 태조와 태종이 가졌던 사상적 배경의 이질성에서 찾았다. 태조는 유교국가의 통치자였으나 죽은 왕비를 위해 도성 내에 원찰과 무덤을 조성한다. 여기에는 불교의 힘을 빌려 죽은 신덕왕후의 권위를 위의하고 지지세력을 규합하고자 한 노림수가 있었다. 원의 다루가치 집안에서 태어나 지방군벌로 성장한 이성계는 높은 유학적 소양을 가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오히려 호불적 성향을 띄는 구체제의 인물이었다. 반면 태종 이방원은 고려 말 과거시험에 급제했던 엘리트 유생이었으며 주자학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유교국가에서 도성이 가지는 상징성에 대한 이해가 더 깊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삼국시대 이후, 율령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 시스템이 정립된 이래로 도성 바깥에 무덤을 만드는 경외매장의 원칙은 거의 예외 없이 지켜져 왔다. 정릉은 태조 개인의 강한 의지로 도성 내부에 조성되지만 왕 이전에 유학자였던 태종에게 이러한 모습은 바람직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태종은 즉위 후, 주도적으로 도성 재정비를 추진하는데 이는 '예치'를 강조하는 유교 이데올로기를 한양도성의 경관에 명확하게 구현하고자 한 의지의 발현으로 보여진다. 정릉의 이장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 아래 진행되었던 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dispute involving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Queen Sindeok (hereinafter "Jeongreung"), King Taejo's wife in Seoul, and the moving of that tomb, represents the most clearly demonstrated case for the collision of new and old ideologies between political powers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Jeongreung, the tomb of Queen Sindeok from the Kang Clan, was built inside the capital fortress, but in 1409, King Taejong forced the tomb to be moved outside the capital, and the stone relics remaining at the original location were used to build the stone bridge, Gwangtong-gyo. In an unofficial story, King Taejong moved the tomb outside the capital and used the stone items there to make the Cheonggyecheon Gwang-gyo so that the people would step upon the area in order to curse Lady Kang. In the final year of King Taejo, Lady Kang and King Taejong were in a politically conflictual relationship, but they were close to being political partners until King Taejo became the king. Sillok records pertaining to the establishment of Jeongreung or Gwangtong-gyo in fact state things more plainly, indicating that the moving of Jeongreung was a result of following the sangeon (a written statement to the king) of Uijeongbu (the highest administrative agency in Joseon), which stated that having the tomb of a king or queen in the capital was inappropriate, and since it was close to the official quarter of envoys, it had to be moved. The assertion that it was aimed at degrading Jeongreung in order to repair Gwangtong-gyo thus does not reflect the factual relationship. This article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use of stone items from Jeongreung to repair Gwangtong-gyo reflected an emerging need for efficient material procurement that accompanied a drastic increase in demand for materials required in civil works both in- and outside the capital. The cause for constructing Jeongreung within the capital and the cause of moving the tomb outside the capital would therefore be attributabl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King Taejo and King Taejong. King Taejo was the ruler of the Confucius state, as he reigned through the Yeokseong Revolution, but he constructed the tomb and Hongcheon-sa, the temple in the capital for his wife Queen Sindeok.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with the power of Buddhism, there was an attempt to rally supporters and gather the force needed to establish the authority of Queen Sindeok. Yi Seong-gye, who was raised in the Dorugachi clan of Yuan, lived as a military man in the border area, and so he would not have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in Confucian scholarship. Rather, he was a man of the old system with its 'Buddhist" tendency. On the other hand, King Taejong Yi Bang-won was an elite Confucian student who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at the end of the Goryeo era, and he is also known to have hel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To state it differently, it would be reasonable to say that the understanding of symbolic implications for the capital would be more profound in a Confucian state. Since the national system that was ruled by laws had been established following the Three-Kingdom era, the principle of burial outside of the capital that would have seen a grave constructed on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was not upheld, without exception. Jeongreung was built inside the capital due to the strong individual desire of King Taejo, but since he was a Confucian scholar prior to becoming king, it would not have been accepted as desirable. After taking the throne, King Taejong took the initiative to begin overhauling the capital in order to reflect his intent to clearly realize Confucian ideology emphasizing 'Yechi' ("ruling with good manners") with the scenic view of the Capital's Hanyang river.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clude accordingly that the moving of Jeongreung was undertaken in the context of such a historic backgroun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사 국역(http://db.history.go.kr/KOREA.)
  2. 조선왕조실록 국역(http://sillok.history.go.kr/)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I
  4. 서울특별시, 2005, 청계천 발굴유적 실측 및 설계보고서 : 광통교 실측조사보고서 I
  5. 김당택, 2010, 이성계의 즉위와 공양왕, 역사학연구 38권
  6. 김동실, 2008, 서울의 지형적 배경과 도시화 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동수, 2010, 조선초기 한성부의 성립과 도시기능의 발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동욱, 2017, 서울의 다섯 궁궐과 그 앞길, 집
  9. 김동현, 2002, 서울의 궁궐건축, 시공사
  10. 김민규, 2012, 朝鮮 王陵 長明燈 硏究, 미술사학연구 274권
  11. 김버들.조정식, 2018, 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朴子靑)의 김사행(金師幸)건축 계승, 건축역사연구 27권 2호
  12. 김웅호, 2008, 조선 태조대 단묘의 건립과 운용, 인천학연구 8권
  13. 김윤주, 2017,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 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 태조 이성계의 사찰 건립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66호
  14. 나각순, 2002, 高麗末 南京復置와 漢陽遷都, 강원사학 18권
  15. 이상해, 2004, 궁궐.유교건축, 솔
  16. 윤 정, 2009, 太祖代 貞陵건설의 정치사적 의미, 서울학연구 37권
  17. 전나나, 2014,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조선시대사학보 69권
  18. 조남욱, 2010, 조선 태종의 탈불교의식과 그 한계, 동양철학연구 63권
  19. 주경미, 2008,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호
  20. 최종현, 2008, 朝鮮朝 漢陽遷都時 儒.佛 合意 背景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권4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1. 홍지윤, 2010, 淸溪川遺蹟으로 본 朝鮮時代 都城變遷, 숭실사학 24권
  22. 황인규, 2001, 고려말 李成桂의 불교계 세력기반, 한국불교학 28권
  23. 山本孝文, 2008, 葬墓制度의 定着過程, 전국역사학대회 51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