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Name "Cheomseongdae"

첨성대 이름의 의미 해석

  • 장활식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Received : 2020.04.28
  • Accepted : 2020.11.08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CheomSeongDae (瞻星臺) is a stone structure built in Gyeongju, the former Silla Dynasty capital,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632~647AD). There exist dozens of hypotheses regarding its original purpose. Depending on to whom you ask, the answer could be a celestial observatory, a religious altar, a Buddhist stupa, a monumental tower symboliz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o on. The most common perception of the structure among lay people is a stargazing tower. Historians, however, have suggested that it was intended as "a gateway to the heavens", specifically the Trāyastriṃśa or the second of the six heavens of Kāmadhātu located on the top of Mountain Sumeru. The name "Cheom-seong-dae" could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Cheom (瞻)' could refer to looking up, staring, or admiring, etc.; 'Seong (星)' could mean a star, heaven, night, etc.; and 'heaven' in that context can be a physical or religious reference. 'Dae (臺)' usually refers to a high platform on which people stand or things are placed. Researchers from the science fields often read 'cheom-seong' as 'looking at stars'; while historians read it as 'admiring the Trāyastriṃśa' or 'adoring Śakra'. Śakra is said to be the ruler of Trāyastriṃśa' who governs the Four Heavenly Kings in the Cāturmahārājika heaven, the first of the six heavens of Kāmadhātu. Śakra is the highest authority of the heavenly kings in direct contact with humankind. This paper examined the usages of 'cheom-seong' in Chinese literature dated prior to the publication of 『Samguk Yusa』, a late 13th century Korean Buddhist historical book that contains the oldest record of the structure among all extant historical texts. I found the oldest usage of cheom-seong (瞻星臺) in 『Ekottara Āgama』, a Buddhist script translated into Chinese in the late 4th century, and was surprised to learn that its meaning was 'looking up at the brightness left by Śakra'. I also found that 'cheom-seong' had been incorporated in various religious contexts, such as Hinduism, Confucianism, Buddhist, Christianism, and Taoism. In Buddhism, there was good, bad, and neutral cheom-seong. Good cheom-seong meant to look up to heaven in the practice of asceticism, reading the heavenly god's intentions, and achieving the mindfulness of Buddhism. Bad cheom-seong included all astrological fortunetelling activities performed outside the boundaries of Buddhism. Neutral cheom-seong is secular. It may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but was considered to have little meaning unless relating to the spiritual world of Buddhism. Cheom-seong had been performed repetitively in the processes of constructing Buddhist temples in China. According to Buddhist scripts, Queen Māyā of Sakya, the birth mother of Gautama Buddha, died seven days after the birth of Buddha, and was reborn in the Trāyastriṃśa heaven. Buddha, before reaching nirvana, ascended from Jetavana to Trāyastriṃśa and spent three months together with his mother. Gautama Buddha then returned to the human world, stepping upon the stairs built by Viśvakarman, the deity of the creative power in Trāyastriṃśa. In later years, King Asoka built a stupa at the site where Buddha descended. Since then, people have believed that the stairway to the heavens appears at a Buddhist stupa. Carefully examining the paragraphic structure of 『Samguk Yusa』's records on Cheomseongdae, plus other historical records, the fact that the alignment between the tomb of Queen Seondeok and Cheomseongdae perfectly matches the sunrise direction at the winter solstice supports this paper's position that Chemseongdae, built in the early years of Queen SeonDeok's reign (632~647AD), was a gateway to the Trāyastriṃśa heaven, just like the stupa at the Daci Temple (慈恩寺) in China built in 654. The meaning of 'Cheom-seong-dae' thus turns out to be 'adoring Trāyastriṃśa stupa', not 'stargazing platform'.

첨성대의 본질에 관한 현재의 가장 보편적인 가설은 천문관측대설이다. 천문관측대설의 근거는 주장하는 학자들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근거는 '첨성대'라는 이름이며, 이에 대한 타당한 비판은 지금까지 제기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를 밝히고, '첨성대'가 천문관측대설의 타당한 근거인지를 살펴보았다. 천문관련설은 '첨성대'를 주로 '첨+성+대'로 해석했다. '볼 첨(瞻)'자와 '별 성(星)'자와 '대 대(臺)'자의 조합인 '첨성대'는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한다고 주장해 왔다. 한편 종교관련설의 경우, '별 성'은 '하늘 천(天)'을 의미하며, 첨성대에서 바라 본 '하늘'은 불교의 천상세계인 도리천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본 연구는 『삼국유사』(1289±) 이전의 중국 기록에서 '첨성'의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첨성'에 내포된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드러났다. '첨성+대'는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할 수도 있고,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를 뜻할 수도 있었다. 또한 '첨성'이 힌두교, 유교, 불교, 천주교, 도교와 같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으로 실행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고, 불교의 '첨성'의 경우는 적어도 외도(外道)의 '첨성', 법도(法道)의 '첨성', 세속(世俗)의 '첨성'으로 나눠질 수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는 상당히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에 서술된 첨성대의 본질은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를 위한 묘탑(廟塔)으로 드러났다.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와 문무왕대의 사천왕사 건립은 신종원(1996)의 견해대로 밀교 승려 안함(안홍)에 의해 예언되었고, 『삼국유사』가 인용한 『별기』는 안함(안홍)의 참서(예언서)로 드러났다. 선덕여왕릉과 첨성대의 배치가 동지일출선에 정확하게 맞춰져 있음은 첨성대가 선덕여왕 유혼의 도리천 상생 통로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첨성대는 도리천으로 통하는 삼도보계(三道寶階)와 같은 '천국의 계단'를 가진 불탑이었고, '첨성대'는 『삼국유사』 왕력편의 '점성대'와 마찬가지로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라는 의미로 파악되었다. '첨성대'라는 이름은 천문관측대설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천문관련설을 총체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근거로 새롭게 평가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봉진, 1982, 瞻星臺의 機能에 대한 考察, 建築士 1982-2, 대한건축사협회, pp.19-21
  2. 강영경, 1990, 新羅 善德王의 知幾三事에 대한 一考察, 원우논총 8,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pp.187-210
  3. 강재철, 1991, 선덕여왕지기삼사조 설화의 연구, 동양학 2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pp.57-95
  4. 김기홍, 2000,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 비평사
  5. 김용운, 1974, 瞻星臺小考, 역사학보 64, 역사학회, pp.95-114
  6. 김상현, 1981, 萬波息笛說話의 形成과 意義, 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pp.1-27
  7. 김영주, 2007, 公論圈으로서의 瞻星臺 연구, 언론과학연구 7-1,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pp.47-77
  8. 김일권, 2010, 첨성대의 靈臺적 독법과 신라 왕경의 三雍제도 관점, 신라사학보 18, 신라사학회, pp.5-31
  9. 김재관, 1981, 첨성대 토론 유감, 한국과학사회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9-150
  10. 남천우, 1974, 첨성대에 관한 諸說의 검토, 역사학보 64, 역사학회, pp.115-136
  11. 노용필, 2015, 한국 고대의 문선 수용과 그 역사적 의의, 역사학연구 58, 호남사학회, p.56
  12. 맹성렬, 2017,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955-964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10.089
  13. 민영규, 1981, 瞻星臺偶得,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0-146
  14. 박성래, 1980, 첨성대에 대하여, 한국과학사학회지 2-1, 한국과학사학회, pp.136-137
  15. 박창범, 2009, 경주 첨성대,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 워크숍, 한국천문연구원 pp.47-60
  16. 서금석, 2017, 천문대로서의 첨성대 異說에 대한 再論, 한국고대사연구 86, 한국고대사학회, pp.149-193
  17. 서대석, 1997, 한국 신화의 역사적 전개, 구비문학연구 5, 한국구비문학회, pp.9-35
  18. 서정화, 2019, 瞻星臺 축조 의의 一考察, 한국문화 8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pp.77-108
  19. 신용철, 2007, 初期 新羅 佛塔觀에 대한 考察, 문화사학 27, 한국문화사학회, pp.447-465
  20. 신종원, 1992, 안홍과 신라불국토설, 중국철학 3, 중국철학회, pp.167-189
  21. 신종원, 1996, 三國遺事 善德王知幾三事條의 몇 가지 問題,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1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37-66
  22. 옥나영, 2007, 관정경과 7세기 신라 밀교, 역사와 현실 63, 한국역사연구회, pp.249-277
  23. 안지원, 1997, 신라 眞平王代 帝釋信仰과 왕권, 역사교육 63, 역사교육연구회, pp.65-98
  24. 이기동, 1981, 선덕여왕대의 시대: 첨성대 논쟁에 덧붙여서,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5-146
  25. 이동식, 1981, 사고의 심리학과 병리학,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7-148
  26. 이문규, 2004, 첨성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과학사학회지 26-1, 한국과학사학회, pp.3-28
  27. 이상주, 2007, 우암의 화양구곡 '첨성대'에서의 '천문관측'설 및 선기옥형의 용도에 대한 검증 중원문화논총 11, 충북대학교, pp.93-119
  28. 이용범, 1974, 瞻星臺 存疑, 진단학보 38, 진단학회, pp.27-48
  29. 이용범, 1993, 續瞻星臺문제, 한국과학사상사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pp.32-69
  30. 장윤성.장활식, 2009, 첨성대 囬囲井 가설, 한국고대사연구 54, 한국고대사학회, pp.463-502
  31. 장효현, 2014, 景敎(Nestorianism)의 東方 傳播, 동방문학비교연구 2, 동방비교연구회, pp.11-30
  32. 장활식, 2012, 첨성대 옛 기록의 분석, 신라문화 3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17-158
  33. 장활식, 2013, 경주 첨성대의 방향과 상징성, 신라문화 4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11-154
  34. 장활식, 2015, 해동고승전 釋안함전의 분석, 신라문화 4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243-277
  35. 장활식, 2017, 첨성대 축조 발원자, 신라문화 4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31-64
  36. 장활식, 2020, 첨성대 축조연대의 추정, 한국학 43-1, 한국학 중앙연구원, pp.217-263 https://doi.org/10.25024/KSQ.43.1.202003.217
  37. 전상운, 1964,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天文儀器, 고문화 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13-23
  38. 정기호, 1991, 경관에 개재된 내용과 형식의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19-2, 한국조경학회, pp.23-31
  39. 정연식, 2009a, 선덕여왕과 聖祖의 탄생, 첨성대, 역사와 현실 74, 한국역사연구회, pp.299-388
  40. 정연식, 2009b, 첨성대의 기능과 형태에 관한 여러 학설 비판, 역사회보 204, 역사학회, pp.357-403
  41. 정연식, 2010, 7세기 첨성대 건립과 천문이변 기록 증가의 관련설에 대한 비판, 역사회보 206, 역사학회, pp.311-335
  42. 정진희, 2013, 고려 熾盛光如來 신앙 고찰, 정신문화연구 36-3, 한국학중앙연구원, pp.313-342
  43. 조세환, 1998, 첨성대의 경관인식론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6-3, 한국조경학회, pp.178-188
  44. 최재영, 2013, 隋文帝의 正統性과 佛敎政策, 대구사학 111, 대구사학회, pp.91-116
  45. 최종석, 1998, 신라 미륵신앙과 첨성대, 보조사상 27, 보조사상연구원, pp.191-229
  46. 和田雄治, 1910, 慶州瞻星臺の記, 天文月報 2-11, 일본 천문학회, pp.121-124
  47. 白鹿无涯, 2015, 蜀记之七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