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빌리 정의를 위한 주빌리 교육의 내용

The Contents of Jubilee Education for Jubilee Justice

  • 투고 : 2020.05.24
  • 심사 : 2020.06.25
  • 발행 : 2020.06.30

초록

최근 코로나 19 전염병의 확산을 비롯해 다양한 위기들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기독교교육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과정 속에서 본고는 구약의 희년사상에 초점을 맞춰 현대적 맥락에서 주빌리 정의가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지를 모색한다. 희년법은 노예해방과 부채면제, 토지반환과 휴경의 네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노예화를 막고 평등을 보존하려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년사상은 그동안 신학적으로나 상황적으로 왜곡되어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간과됨으로써 사회정의를 위한 기독교적 실천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했다. 하지만 희년사상은 기독교의 사사화 문제라든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의 심화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희년사상은 제도적 차원에서 잘못된 법률과 제도를 개혁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제도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 또한 개인적 차원에서 공유경제의 실천 및 인식 변화의 측면에 있어서 성서적 모티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가난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한 주빌리 정의를 지향하는 주빌리 교육은 다양한 간학문적인 지식들을 토대로 하여 인식적 차원으로는 기존의 잘못된 통념을 깨뜨림으로써 학습자들의 의미관점의 전환을 돕고, 실천적 차원에서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위해 여론의 활성화 등 사회적 행동을 지원한다. 이로써 기독교교육의 학습자들이 불의한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공적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economic crisis and poverty that are deepening due to the recent spread of the COVID-19 epidemic.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biblical Jubilee in order to seek how "Jubilee justice" can be realized in the modern context. The Law of Jubilee consists of four contents: the liberation of slaves, debt remission, land return and fallow. Ultimately it aims to prevent human slavery and preserve equality. Nevertheless, the thought of Jubilee has been distorted theologically and situationally, and as a result, it has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re is a limit in Christian practice for social justice. The thought of Jubilee, however,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of modern society such as the issue of the privatization of Christianity or the deepening of polarization caused by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Jubilee can act as a biblical initiative in reforming wrong laws and establishing institutions for the poor on the institutional level; on the personal level, it can be a great motive in terms of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the sharing economy. Jubilee education, which aims for Jubilee justice, helps to break the misconceptions and change the existing meaning perspectives on the basis of various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supports social behavior for transforming social structure through activation of public opinion and fund raising at the practical level. Therefore, the learners of Christian education can play a public role in transforming the unjust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택 (2008). 샬롬을 위한 기독교교육: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17, 193-218.
  2. 강용원 (2011). 세계화와 기독교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26, 21-55.
  3. 강윤주 (2017. 9. 4). 추미애, "슈퍼 지주 대상 보유세 검토해야".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9041063468719 2019. 09. 05. 인출.
  4. 김경열 (2016). 레위기의 신학과 해석: 성전과 거룩한 백성. 서울: 새물결플러스.
  5. 김균진 (1994). 역사의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6. 김근주 (2019). 하나님 나라와 정의와 공의.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7. 김낙년 (2016). 한국의 개인소득 분포. 한국경제의 분석, 22(3), 147-208.
  8. 김난예 (2019). 아나뱁티스트 공동체의 예수 따라 살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2, 161-194.
  9. 김덕훈 (2017. 7. 8).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기본 소득 실험. KBS 뉴스. http://mn.kbs.co.kr/news/view.do?ncd=3512449 2019. 02. 12. 인출.
  10. 김유준 (2019a). 초대 교부들의 희년사상.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11. 김유준 (2019b). 종교개혁자들의 희년사상.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12. 김윤상 (2019). 희년과 특권없는 세상.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13. 김은주 (2016). '혐오' 현상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성찰. 기독교교육논총, 48, 321-348.
  14. 김준우 (2011). 반다나 시바, 다양성과 지역성이 생산과 소비의 논리가 되면 생존이 가능하다. 기독교사상, 633, 232-251.
  15. 김현숙 (2004).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6. 대천덕 (2003). 토지와 경제정의. 전강수, 홍종락 공역. 서울: 홍성사.
  17. 박미경 (2019). 기독교 경제 윤리에 기초한 한국 교회 목회자 사례비 운영의 제안: M교단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60, 261-303.
  18. 박은하 (2016. 7. 19). 세계는 지금 기본소득의 시대. 주간경향.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607191030461&code=115 2019. 02. 12. 인출.
  19. 백은미 (2017). 기독교 교육과정에 내재한 여성혐오 분석과 대안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51, 41-73.
  20. 백은미 (2016). 고통의 종교적 의미 형성을 위한 전환학습. 신학사상, 174, 261-3 01.
  21. 신현우 (2019). 신약성경에는 희년법이 없는가.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22. 오인탁 (1989). 희년의 내용으로서의 교육민주화. 기독교사상, 33(8), 31-42.
  23. 유은주 (2019). 세계화 시대의 희년 공동체 형성을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 인성교육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윤응진 (2015).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기독교교육론. 서울: 너의오월.
  25. 윤응진 (1995). 희년을 위한 교회교육. 기독교사상, 39(1), 20-31.
  26. 이강천 (2017). 코이노니아 경제의 꿈. 서울: 쿰란출판사.
  27. 이경숙 (1997). "기쁨과 은총의 해"로서의 희년의 구약성서적 의의. 희년신학연구. 신학연구위원회 편.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8. 이금만 (2012). 교회교육: 진흥의 방향에 관한 연구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9, 149-173.
  29. 이금만 (2007). 교회교육 이론과 현장의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기독교교육논총, 14, 87-121.
  30. 이윤석 (2011). 다문화 시대의 대학 선교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대학과선교, 20, 37-67.
  31. 이재욱 (2015. 8. 27). "7%만 갚으면 탕감" 빚 족쇄 끊는 '주빌리 은행' 떴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706317.html 2018. 09. 23. 인출.
  32. 이종권 (2008).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위기의 원인과 파급경로. 동향과전망, 6, 173-203.
  33. 임경석 (2011). 글로벌 기본소득. 시대와 철학, 22(4), 255-283.
  34. 임희숙 (2010).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기독교교육논총, 23, 273 -296.
  35. 장성길 (2019). 구약성경에 나타난 희년법. 희년. 김근주 외. 서울: 홍성사.
  36. 장윤재 (2016). 경제양극화 극복을 위한 화해의 선교-교회의 공식문서에 나타난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대학과 선교, 31, 73-106.
  37. 장윤재 (2008). 모든 세계화는 좋은 것인가?: 신자유주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 대학과 선교, 14, 160-179.
  38. 장종철 (1991). 희년을 맞기 위한 평화 통일 교육의 모색. 세계의 신학, 12, 7-20.
  39. 전강수 (2010). 부동산 투기의 종말. 서울: 시대의 창.
  40. 정중호 (2015). 희년 공동체와 한국 - 노비해방, 채무면제, 토지개혁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21(1), 93-120.
  41. 조성찬 (2019). 희년으로 본 북한 상생발전 모델. 김근주 외. 희년. 서울: 홍성사.
  42. 최영실 (1997). 이미 예수에 의해 실현된 희년. 희년신학연구. 신학연구위원회 편.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43. 최은택 (2018).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기독교적 청소년 정의교육. 기독교교육정보, 57, 257-293.
  44. 한국기독교총회교육원 편 (2015). 13개의 신앙주제로 나누는 구역예배 교재1. 서울: 만우와 장공.
  45. 한국기독교총회교육원 편 (2016). 13개의 신앙주제로 나누는 구역예배 교재2. 서울: 만우와 장공.
  46. 한국기독교총회교육원 편 (2017). 13개의 신앙주제로 나누는 구역예배 교재3. 서울: 만우와 장공.
  47. 황예랑 (2008. 11. 2). 볼사 파밀리아! 룰라 강력한 재분배정책.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9547.html#csidxf9cfd553001089980cfecdd97ca4ead 2017. 07. 18. 인출.
  48.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기본소득의 역사. https://basicincomekorea.org/all-about-bi_history/ 2019. 04. 19. 인출.
  49. 행정안전부. 긴급재난지원금. https://www.xn-jj0bb2kr6h965bxcbp8g.kr/main.jsp 2020. 05. 15. 인출.
  50. 희년은행. https://jubileetogether.tistory.com/ 2019. 06. 07. 인출.
  51. 희년함께. http://landliberty.org/ 2019. 06. 07. 인출.
  52. Bellinger, W. H. (2016). 레위기 민수기. 김진선 역. 서울: 성서유니온. (원저 2001 출판)
  53. Bright, J. (1967). The authority of the old testament. London: S.C.M.
  54. Brueggemann, W. (2002). The land: Places as gift, promise and challenge in biblical faith (2nd ed.). Minneapolis, MN: Augsburg Fortress, 2002.
  55. Chang, H, J. (2014a). 장하준의 경제학강의. 김희정 역. 서울: 부키. (원저 2001 출판)
  56. Chang, H, J. (2014b). 나쁜 사마리아인들. 이순희 역. 서울: 부키 (원저 2008 출판)
  57. Coleman, J. A. (1989). The two pedagogies: Discipleship and citizenship. In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discipleship. Boys, Mary C., ed. New York: Pilgrim.
  58. De Vaux, R. (1983). 구약성서의 생활 풍속. 이양구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원저 1958-1960 출판)
  59. De Vaux, R. (1961). Ancient Israel: Its life and institutions (J. McHugh, Trans.). New York: McGraw-Hill. (Original work published 1958-1960)
  60. Eisner, E. (1994). The educational imagination (3rd ed.).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61. Flinders, D. J., N. Noddings, & S. J. Thornton (1986). The null curriculum. Curriculum Inquiry, 16(1), 33-42. https://doi.org/10.1080/03626784.1986.11075989
  62. Freire, P. (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London: Penguin.
  63. Friedman, M. & Rose, F. (1990). Free to choose. New York: Harcourt.
  64. Friedman, T. L. (2000). The Lexus and the olive tree (Rev. ed.).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65. Groome, T. H. (1980).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San Francisco, CA: Harper & Row.
  66. Habel, N. C. (1995). The land is mine. Minneapolis, MN: Augsburg Fortress.
  67. Harris, M. (2015). 주빌리를 선포하라: 21세기를 위한 영성. 김은주 역. 서울: CLC. (원저 1996 출판)
  68. Harris, M. (1999). Proclaiming jubilee justice. The Way, 39(4), 315-324.
  69. Harris, M. (1996). Proclaim jubilee.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70. Hartley, J. E. (2006). 레위기. 김경열 역. 서울: 솔로몬. (원저 1992 출판)
  71. Hartley, J. E. (1992). Leviticus. Dallas, TX: Word Books.
  72. Hayek, F. A. (1988). The fatal conceit. London: Routledge.
  73. Howton, E. (2018. 10. 17). Nearly half the world lives on less than $5.50 a day. The World Bank. Retrived May 22, 2020, from https://www.worldbank.org/en/news/press-release/2018/10/17/nearly-half-the-world-lives-on-less-than-550-a-day.
  74. International Forum on Globalization (2005).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 세계화, 비판을 넘어 대안으로. 이주명 역. 서울: 필맥 (원저 2002 출판)
  75. Kim, H. S. (2015). Seeking critical hope in a global age: Religious education in a global perspective. Religious Education, 110/3, 311-328. https://doi.org/10.1080/00344087.2015.1039389
  76. Kim, U. Y. (2011). Leviticus 25:1-24. A Journal of Bible and Theology, 65(4), 396-398.
  77. Larson, A. (2019, April 22). Academia,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debt: Forming a genuine collaboration. Common Dreams. Retrieved May 10, 2019, from https://publicseminar.org/2019/04/academia-grassroots-organizations-and-debt/
  78. Maas, J. (2019, May 20). Austinite Robert F. Smith pledges to pay 2019 Morehouse graduates' student loan debt. KUT. Retrieved May 22, 2019, from https://www.kut.org/post/austinite-robert-f-smith-pledges-pay-2019-morehouse-graduates-student-loan-debt.
  79. Mezirow, J. (1990).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0. Milgrom, J. (2010). Leviticus 23-27.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81. Myers, B. L. (2017). Engaging globalization: The poor, christian mission, and our hyperconnected world.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82. North, R. (1954). Sociology of the biblical jubilee.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83. Parijs, P. & Vanderbourght, Y. (2017).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4. Park, A. S. (2004). From hurt to healing: A theology of the wounded. Nashville, TN: Abingdon.
  85. Rawls, J. (2003). 정의론. 황경식 역. 서울: 이학사. (원저 1999 출판)
  86. Ringe, S. H. (1985). Jesus, liberation, and the biblical jubilee. Philadelphia, PA: Fortress, 1985.
  87. Sen, A. (2009). The idea of justice. Cambridge, MA: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88. Sen, A. (2008). 센코노믹스: 인간의 행복에 말을 거는 경제학. 원용찬 역. 서울: 갈라파고스. (원저 1999 출판)
  89. Stiglitz, J. E. (2016). Rewriting the rules of the American economy. New York: W. W. Norton.
  90. Stiglitz, J. E. (2013). 불평등의 대가: 분열된 사회는 왜 위험한가. 이순희 역. 파주: 열린책들. (원저 2012 출판)
  91. Stiglitz, J. E. (2002). Globalization and its discontents. New York: W. W. Norton.
  92. Tidball, D. (2016). 레위기 강해: 거룩한 삶을 위해 해방된 백성. 안종희 역. 서울: IVP. (원저 2005 출판)
  93. Wenham, G. J. (1979). The book of leviticus. Grand Rapids, MI: Eerdmans.
  94. Wren, B. A. (1977). Education for justice. Maryknoll, NY: Orbis.
  95. Wuthnow, R. (2002). Beyond quiet influence: Possibilities for the protestant mainline. In The quiet hand of God: Faith-based activism and the public role of mainline protestantism. Evans, J. H. & Wuthnow, R., ed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