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aking of Speaking Subject in Early Korean Protestantism: Focused on the Educational Spaces for Women

초기 한국 기독교의 교육공간과 말하는 주체의 탄생

  • Received : 2020.05.24
  • Accept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making of speaking subject in early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paces for women. Traditional women could become a speaking subject throug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Protestantism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ree kinds of educational space played the crucial role of making women a speaking subject. The first was Bible class established for women in rural areas. Since most Korean women were unable to read and write, Protestant churches taught them Hangul[Korean alphabet] before teaching the Bible. Korean women studied the Bible in Bible class, Women's Bible School, and Women's High Bible School. Through this education, traditional women were liberated from the world of ignorance and obedience, and then become a speaking subject. The second was speeches and discussions that have emerged in institutional spaces such as mission schools for girls and women's organizations. Students at mission school were able to learn how to express their opinions by way of public speaking and discussion classes. Women were able to become speaking subjec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uch techniques of modern language. At that time, representative discussion spaces were Lee Mun-hoe, Joyce Chapter, and YWCA. The third was testimony and dialect. Unlike sermons and public prayers, which were only allowed to male elites, testimony and dialectics are a form of speech that transcends gender or status constraints. Especially in the space of the revival movement, women confirmed their dignity through active testimony, and their religious identity was strengthened in the process. Dialect also served as the language of liberation for women suffered and alienated from male-dominant culture. Dialect is a device that exercises the right to speak against transcendental authority. Furthermore, in Protestantism of early modern Korea, the speaking subject's act of speech was elevated beyond personal matters to social issues, women's issues, and ethnic issu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여성들이 기독교가 마련한 교육공간을 통해 '말하는 주체'로 거듭난 경로를 추적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초기 기독교는 문자 교육을 수반한 성경공부, 연설과 토론으로 대변되는 근대적 발화양식, 간증과 방언으로 대변되는 기독교 고유의 발화양식 등 세 경로를 통해 여성을 '말하는 주체'로 세울 수 있었다. 첫째 경로는 여자사경회인데, 농어촌 지역의 여성들은 이를 매개로 문자의 세계로 진입하면서 무지와 묵종의 세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둘째 경로는 기독교계 여성교육 기관이 마련한 연설과 토론공간이다. 이화학당의 이문회(以文會), 감리교 여자청년회인 조이스회(Joyce Chapter), 여성단체인 YWCA 등에서 여성들은 근대적 언어구사의 테크닉을 배우면서 말하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었다. 셋째 경로는 기독교 고유의 발화양식인 간증과 방언이다. 남성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던 설교나 공중기도와 달리, 간증과 방언은 성별이나 신분의 제약을 초월하는 발화양식이다. 여성들은 적극적인 간증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엄을 확인하였고, 일종의 해체적 언술 행위인 방언을 매개로 초월적 권위에 기대어 말할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독교가 마련한 교육공간을 통과하면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겪는 고통이 운명 탓이 아니라 사회적 구조나 오랜 악습 때문임을 깨닫고 여성의 교육권과 재산권을 주장하는 '말하는 주체'가 되었다. 지난 30여 년 동안 활발했던 신여성 연구에서는 여성주체 형성의 장치였던 기독교의 영향력에 대해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초기 한국 기독교 교육공간에는 여성을 말하는 주체로 세우는 다양한 언술장치가 있었고, 이는 여성들의 공적 발화에 선도적 역할을 하였음을 밝힌 이 글은 그간의 근대여성 연구의 지평을 보완,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인 외 (2001). 한국여성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 김필례 (1973). 이상을 향하여 다름질쳤던 격동의 시대, 회상의 학창시절:여류21인집. 서울: 신서출판사.
  3. 김필례 (1956.7) 하령회의 유래 한국. YWCA.
  4. 김필례 (1977.1), YWCA 인물사 김필례편: 일본유학이 y와의 인연 가져와. 한국YWCA.
  5. 김필례 (1935). 성교육. 경성: 조선기독교서회.
  6. 김필례 (1926.10.16). 여권문제에서 살길을 찾자. 동아일보.
  7. 김현숙 (2019). 근대초기 기독교 여성과 기독교적 여성교육. 기독교교육논총, 59, 17-58.
  8. 내보 (1898.1.1.). 협성회회보 (제일권일호).
  9. 리원하 (1906.3.15). 김화디경터 슌환셔 부흥회. 그리스도 신문.
  10. 민숙현.박해경 (1981). 한가람 봄바람에: 梨花100年野史. 서울: 지인사.
  11. 박상진 (2019). 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의 역할과 오늘날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58, 11-51.
  12. 박인덕 (1935.3.1). 靑春을 앗기는 佳人哀詞-그리운 梨花칼레지여. 삼천리, 7(3).
  13. 박인덕 (2007). 9월 원숭이. 김세환, 유제관 역. 서울: 인덕대학. (원저 1954 출판).
  14. 서광선 외 (1982).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현상과 구조. 서울: 대화출판사.
  15. 유동식 (1992). 정동제일교회의 역사 1885-1990.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정동제일교회.
  16. 윤정란 (2019). 한국근대여성운동의 역사적 기원지-'여권통문' 결의장소 발굴. 여성과 역사, 30, 33-78
  17. 이숙인 (2005).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서울: 도서출판 여이연.
  18. 이숙진 (2006). 한국기독교와 여성정체성. 서울: 한들.
  19. 이숙진 (2006). 방언과 간증: 성령운동의 젠더정치학. 종교문화비평, 10, 220-245.
  20. 이숙진 (2010). 초기 기독교의 혼인담론. 한국 기독교와 역사, 32, 35-62.
  21. 이연옥 (1998). 여전도회 100년사. 서울: 신앙과 지성사.
  22. 이우정 (1985). 한국 기독교 여성백년의 발자취. 서울: 민중사.
  23. 이치만 (2019). 삼일운동과 기독 여성의 역할. 기독교교육논총, 59, 59-91.
  24. 전영우 (1991). 한국근대토론의 사적연구. 서울: 일지사.
  25. 정동 새 회당에서 행한 일 (1897.12.29.). 대한크리스도인회보.
  26. 정마리아 (1930.1.1). 여전도인의 불평과 희망: 최후승리까지. 기독신보.
  27. 조은하 (2007). 사경회와 기독교 여성교육. 기독교교육논총, 14, 189-220.
  28. Blair. H. (1911, Nov). Womens work in kang kai. The Korea Mission Field, 12.
  29. Blare, W. (1946). Bible study class and revivals, Gold in korea. H.M.I, Topeka Kansas
  30. Cooper, K. (1927). Woman's work in wonsan, in southern methodism in Korea. In J. S. Ryang (Ed.). Seoul: Board of Missions, Korea Annual Conferenc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31. Doty, S. (1893). Girls's school report, korea reports, korea letters and correspondence. Records of the PCUSA.
  32. Hilman, M. R. (1906, August). A wonderful week. The Korea Mission Field.
  33. Marker, J. (1907). Report of the day schools and evangelistic work of the chemulpo an hai ju circuits. Report of Annual Session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sist Episcopal Church.
  34. Moore, S. F. (1906, April). The revival in seoul. The Korea Mission Field,
  35. Choi, P. L. (1923, November). The developement of korean Women during the Past Ten Years. The Korea Mission Field, 19.
  36. Choi, P. L. (1929, December). At conference in India. The Korea Mission Field, 2.
  37. Noble, M. W. (1934). Reminiscences of early christians in korea, in Charles A. Sauer, Within the Gate. Seoul: The Korea Methodist News Service.
  38. Noble, M. W. (1927). 승리의 생활. 경성: 조선야소교서회.
  39. Noble, W., & Jones, G. H. (1907) The religious awakening of korea: An Account of the revival in korean churches in 1907.
  40. Noble, W., & Jones, G. H. (1908). The religious awakening: An account of the revival in korean churches in 1907. New York: Board of the Foreign Missions, MEC.
  41. Report of Educational Committee (1893). Korea reports, korea letters and correspondence. Records of the PCUSA.
  42. Ricoeur. P. (2004).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김한식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원저 1985 출판).
  43. Rothweiler, L. C. (1892, March). What shall we teach in our girl's schools?, The Korean Repository.
  44. Solle, D. (2007). 신비와 저항. 정미현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2001 출판)
  45. Swallen, W. L. (1907 May). God's work of grace in pyeng yang Classes. Korea Mission Field, 3.
  46. Swallen, W. L (1907. January 18) Letter to A. J. Brown, KMPCUSA, Microfilm reel #281, vol. 237
  47. Talmage. E. E. (1932). O.L.S.P.M.K.. Kwangju, Korea.
  48. Underwood. L. H. (1984). 언더우드 부인의 조선생활. 김철 역. 뿌리깊은 나무. (원저 1908 출판)
  49. Underwood. H. G. (1911. October). Bible translating. The Korea Mission Field,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