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Young Adults: With a Focus on the Employment of Jung's Unconscious Confrontation and Loder's Transformational Theory

청년기의 기독교 변형화교육에 관한 연구: 융의 무의식 대면과 로더의 변형이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09.2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of young adults are based on encounter and identity. These problems of encounter and identity are also connected to the instinct of longing for the "face" of primary caregivers, who acknowledge and affirm themselves as their cherished children. James Loder emphasizes that human "face pursuit instinct" later reaches "formal-operational stage" and leads to religious yearning for God as "the Eternal Face." This pursuit of "face" and "the Eternal Face" is an existential and ontological move to find out "Who am I?" through meaningful encounters. Religious psychologist Carl Jung also points out that scientific thinking has contributed to the liberation of humans from superstitious beliefs. But this has also led to the loss of the precious value of human spirit and the sense of unity with nature. Jung emphasizes that "symbolic play" should help learners and counseler face-to-face with their unconscious mind. By doing so, learners can overcome the wounds and scars of unconsciousness and mature toward the true self. James Loder is a scholar who critically introduced Jung's "unconscientious confrontation" therapy to his educational theory. Beyond Jung's unconsciousness and "symbolic play," Loder proposed transformational education for the learners to participate in meaningful chang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human spirit and the Holy Spirit. With many young adults wandering around in their existential voids, it is clear that functional and socializational education cannot overcome their problems and developmental crisis. This developmental crisis requires a foundation of identity and intimacy in the encounter with God, the "Eternal Fa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Jung's "unconscious confrontation" and Loder's "transformation logic" are employed, transform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the healthy self-identity and intimacy of young adults can be accomplished. This inquiry presents not only theoretical reflection, but also the reactions of young adults and actual feedback obtained through implementing transform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young adults. Through all of these endeavors, this inquiry was completed by proving that "Transform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Young Adults" is an educational theory that can yield actual results and abound fruits. (This enquiry was undertaken by the support of the research fund of PUTS 2020.)

청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은 만남 및 정체성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만남 및 정체성의 문제는 사실상 어린 시절 자신을 인정해주는 긍정해주는 1차 양육자의 '얼굴'을 갈망하는 본능과도 연결되어 있다. 제임스 로더는 인간의 "얼굴" 추구 본능은 이후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러 "영원한 얼굴"이신 하나님을 갈망하는 종교적 사고로 연결됨을 역설한다. 이러한 '얼굴' 및 '영원한 얼굴'의 추구는 의미 있는 만남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를 발견하려는 실존적, 존재론적 움직임인 것이다. 종교심리학자 칼 융은 현대 사회가 절대 진리인 것처럼 신봉하는 과학적 사고가 미신적 신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는 공헌을 하였지만, 이것이 영혼의 소중한 가치 및 자연과의 일체감을 상실케 하는 역기능도 초래하였음 또한 지적한다. 융은 "상징적 놀이"를 통해 학습자 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무의식과 대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강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무의식의 상처와 왜곡을 극복하고 진정한 자기를 향해 성숙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융의 이러한 "무의식 대면"기법을 자신의 교육이론 속에 비판적으로 전유한 학자가 제임스 로더이다. 로더는 융의 무의식과 '상징적 놀이'를 넘어, 인간의 영과 하나님의 영 사이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내면에 놀라운 변화와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돕는 '변형화교육'을 주창한 바 있다. 오늘날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실존적, 존재론적 공허에 빠져 방황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능적, 사회화교육만으로는 이들의 문제와 발달론적 위기를 극복할 수 없음이 분명하다. 이러한 발달론적 위기는 "영원한 얼굴"이신 하나님과의 만남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체성과 친밀감의 토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의 "무의식 대면"과 로더의 "변형의 논리"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때, 청년들의 건강한 자아정체성과 친밀감 형성을 위한 변형화교육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성찰뿐 아니라, 기독교 변형화교육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진 청년들의 반응과 실제 피드백을 함께 제시한다. 이를 통해 "청년을 위한 기독교 변형화교육"이 실제적 성과와 열매를 거둘 수 있는 이론임을 입증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천 (1991).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 김은주 (2018).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의 기독교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적용 : 중년기 생애의 재구성을 위한 접근. 기독교교육논총, 56, 101-134.
  3. 박상진 (2014).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교회교육. 기독교교육논총, 40, 77-110.
  4. 이규민 (2008).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 Jr)의 생애와 기독교교육 사상. 기독교교육논총, 17, 279-315.
  5. 이규민 (2015). 융의 종교심리학에 나타난 종교의 역할과 치유적 기능: 종교이해의 타당성과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43, 137-167.
  6. 이춘제 (1988).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장휘숙 (2000).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8. Berger, P. L, & Luckmann. T. (1966).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NY: Doubleday.
  9. Brown, M. (1965). Ultimate concern: Tillich in dialogue. London: SCM Press.
  10. Buber, M. (2004). 나와 너. 표재명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저 1937 출판)
  11. Erikson, E. H. (2014). 유년기와 사회. 송제훈 역. 서울: 연암서가. (원저 1950 출판)
  12. Fowler, J. (1981). Stage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13. Fowler, J. (1996).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저 1991 출판)
  14. Fowler, J. (2002). 신앙의 발달단계. 사미자 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원저 1981 출판)
  15. Fowler, J., & Loder, J. E. (1982). Conversations on stages of faith and the transforming moment. Religious Education. Mar 1. 133-148.
  16. Jung, C. G. (1958). Psychology and religion. New York: Pantheon.
  17. Jung, C. G. (1961). Memories, dreams, reflections. NY: Vintage Books.
  18. Jung, C. G. (1971). Psychological types. New York: Pantheon.
  19. Kegan, R. (1982). The evolving self: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20. Kierkegaard. S. A. (2008). The sickness unto death. Virginia: A&D Publishing.
  21. Lee, K. M. (1995). Koinonia: A critical study of Lewis Sherrill's concept of koinonia and Jurgen Moltmann's social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as an attempt to provide a corrective to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its educational mini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New Jersey.
  22. Levinson, D. J. (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출판부. (원저 1978 출판)
  23. Loder, J. E. (1966). Religious pathology and christian faith.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24. Loder, J. E. (1989). The transforming moment. Colorado Springs: Helmers & Howard Publishers.
  25. Loder, J. E. (1992).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Colorado Springs: Helmers & Howard Publishers.
  26. Loder, J. E. (1992). 변화의 역동성(2).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297-311.
  27. Loder, J. E. (1992). 성령과 인간 변화(1).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277-296.
  28. Loder, J. E. (1998). The logic of the spirit: Human development in theological perspective. California : Jossey-Bass Inc.
  29. Loder, J. E. (2001). 종교 체험과 삶의 변환. 김성민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원저 1989년 출판)
  30. Loder, J. E. (2006). 신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 발달. 유명복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저 1998 출판)
  31. Loder, J. E. (2009).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신학과 과학의 대화. 이규민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92 출판)
  32. Loder, J. E. (2018). Educational ministry in the logic of the spirit. Eugene, OR: Cascade Books.
  33. Miller, P. H. (1983). Theories of development psychology. NY: W.H.Freeman and Company.
  34. Polanyi, M. (1969). Knowing and be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5. Schultz, D. (2009). 성장심리학. 이혜성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1977 출판)
  36. Spitz, R. A. (1965). The first year of life: A psychoanalytic study of normal and deviant development of object relation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Cited by

  1. 기독청년을 위한 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vol.64, 2020, https://doi.org/10.17968/jcek.2020..64.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