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Evaluation of Rockfall Prevention Net Using Laboratory Pullout Test

실내인발시험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성능평가

  • Kim, TaeSik (Geotechnical & Tunnel Department, Bau Consultant) ;
  • Seo, JinHyu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 Hwang, Youngcheol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angji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10.29
  • Accepted : 2020.11.26
  • Published : 2020.12.01

Abstract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proper performance of the existing rockfall prevention net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human lives and property in the event of rockfall.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rockfall prevention net in Korea, and only the design of rockfall prevention net exists by calculating energy that can be absorbed energy. Therefore, laboratory pullout test was conduct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ockfall prevention net, cuts and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the PVC coating net used in the laboratory pullout test a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the rockfall prevention net.

낙석이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절개지에 설치되어있는 기존 낙석방지망의 적절한 성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경우 낙석방지망에 대한 성능평가의 기준이 전무한 상태이며, 흡수가능한 에너지를 산정하여 이로 인한 낙석방지망의 설계만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석방지망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실내 인발시험에서 사용되는 PVC코팅망에 코팅망을 절단, 절단개수와 표준시험결과와의 하중-변위 특성을 파악하여 낙석방지망의 성능을 알아보았다. 시험 결과, PVC코팅망은 절단면의 개수에 따라서 변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비결속부인 y축의 경우 1개의 절단면에 따라서 변위가 약 3%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결속부인 x축의 경우에는 1개의 절단면에 따라서 변위가 약 5%씩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9),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낙석방지 시설편, pp. 4-11.
  2. 한국금속울타리공업협동조합 (2016), 낙석방지울타리 및 방지망 SPS-KMF 1007-1798, pp. 1-21.
  3. Youn, L. R., Oh, S. W. and Kwon, Y. C. (2014), Laboratory and full-scale testing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rock fall protection system with hexagonal wire net,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9, pp. 69-75 (In Korean). https://doi.org/10.14481/jkges.2014.15.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