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Humor,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유머 감각과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 Received : 2020.08.18
  • Accepted : 2020.09.15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humor',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To do this, fifth graders (n=42) at an elementary school and fifth graders (n=38) at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ests for 'sense of humor',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then administered.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subcategories of 'sense of humor'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subcategories of 'creativity' except 'openness'. However, all subcategories of 'sense of humo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ubcategories of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2. 구현정(2017).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학회지, 46, 5-30.
  3. 구현정, 전정미(2019). 유머학 개론. 서울: 박이정.
  4.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15-42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15
  5. 김건희(2014).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301-313.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301
  6. 김민정(2007).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유머감각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연미(2012). 초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종운, 정주희(2019).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871-895.
  9. 문성실(2010). 대학생의 유머감각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현기, 박재준, 이상구(2011). 성공한 리더는 유머로 말한다. 서울: 미래지식.
  11.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12. 박숙희, 유경훈(2014). 고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329-342.
  13. 박재준(2019). 청소년의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진형(2013).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기술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손민희, 강훈식(2019).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8(2), 191-202.
  16. 송지준(2019).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SPSS와 AMOS를 활용). 파주: 21세기사.
  17. 심인옥(2014). 초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음악성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7(3), 148-158. https://doi.org/10.15434/kssh.2014.27.3.148
  18. 심인옥, 황은정(2015). 학령기아동의 음악적 성향과 유머감각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593-60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593
  19. 이병임(2015).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1), 35-47.
  20. 이재선(2005).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양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이지윤, 강훈식(2018).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7(3), 267-284.
  22.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3. 장해순, 이만제(2014).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25, 308-334.
  24. 차문희, 오희균(2006). 교사의 유머 감각과 과학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1), 67-83.
  25. 최남정, 오정희(2013).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17-4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17
  26.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2007a). 청소년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97-108.
  27.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2007b).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149-167.
  28. 한성일(2016). 유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허영주(2011).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1-29.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1.1
  30. Ardalan, K. (2015). Using entertaining metaphor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se method in a case-based course. In Li, M. & Zhao, Y. (eds),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p. 69-96). Berlin:Springer.
  31. Banas, J., Dunbar, N., Rodriguez, D. & Liu, S. J. (2011). A review of humor in educational settings: Four decades of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60(1), 115-144. https://doi.org/10.1080/03634523.2010.496867
  32. Berge, M. (2017). The role of humor in learning physics: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7(2), 427-450. https://doi.org/10.1007/s11165-015-9508-4
  33. Christensen, A. P., Silvia, P. J., Nusbaum, E. C. & Beaty, R. E. (2018). Clever people: Intelligence and humor production abil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2), 136-143. https://doi.org/10.1037/aca0000109
  34. Garner, R. L. (2006). Humor in pedagogy: How ha-ha can lead to aha!. College Teaching, 54(1), 177-180. https://doi.org/10.3200/CTCH.54.1.177-180
  35. Greengross, G., Martin, R. A. & Miller, G. (2012). Per- sonality traits, intelligence, humor styles, and humor production ability of professional stand-up comedians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6(1), 74. https://doi.org/10.1037/a0025774
  36. Kellerby, D. K. (2011). Effective use of humor in a secondary scienc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37. Lamminpaa, J. & Vesterinen, V. (2018). The use of humour during a collaborative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4), 1718-173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8.1508926
  38. Martin, R. A. (2001). Humor, laughter and physical health methodological issues and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7(4), 504-519. https://doi.org/10.1037/0033-2909.127.4.504
  39. Nusbaum, E. C. (2015).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humor production and personality (Un-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40. Renzulli, J. S. & Hartman, R. K. (1971).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3), 243-248. https://doi.org/10.1177/001440297103800309
  41. Roth, W. M., Ritchie, S. M., Hudson, P. & Mergard, V. (2011). A study of laughter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5), 437-458. https://doi.org/10.1002/tea.20412
  42. Ruch, W. & Hehl, F.-J. (1998). A two-mode model of humor appreciation: Its relation to aesthetic appreciation and simplicity-complexity of personality. In Ruch, W. (ed), The sense of humor: Explorations of a per- sonality characteristic. New York: Mouton de Gruyter.
  43. Thorson, J. A. & Powell, F. C. (199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nse of humor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9(1), 13-23. https://doi.org/10.1002/1097-4679(199301)49:1<13::AID-JCLP2270490103>3.0.CO;2-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