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 구현정(2017).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학회지, 46, 5-30.
- 구현정, 전정미(2019). 유머학 개론. 서울: 박이정.
-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15-426.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15
- 김건희(2014).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301-313.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301
- 김민정(2007).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유머감각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연미(2012). 초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운, 정주희(2019).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871-895.
- 문성실(2010). 대학생의 유머감각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민현기, 박재준, 이상구(2011). 성공한 리더는 유머로 말한다. 서울: 미래지식.
-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 박숙희, 유경훈(2014). 고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329-342.
- 박재준(2019). 청소년의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진형(2013).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기술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손민희, 강훈식(2019).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8(2), 191-202.
- 송지준(2019).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SPSS와 AMOS를 활용). 파주: 21세기사.
- 심인옥(2014). 초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음악성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7(3), 148-158. https://doi.org/10.15434/kssh.2014.27.3.148
- 심인옥, 황은정(2015). 학령기아동의 음악적 성향과 유머감각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593-60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593
- 이병임(2015).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1), 35-47.
- 이재선(2005).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양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지윤, 강훈식(2018).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7(3), 267-284.
-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 장해순, 이만제(2014).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25, 308-334.
- 차문희, 오희균(2006). 교사의 유머 감각과 과학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1), 67-83.
- 최남정, 오정희(2013).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17-4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17
-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2007a). 청소년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97-108.
-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2007b).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149-167.
- 한성일(2016). 유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허영주(2011).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1-29.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1.1
- Ardalan, K. (2015). Using entertaining metaphor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se method in a case-based course. In Li, M. & Zhao, Y. (eds),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p. 69-96). Berlin:Springer.
- Banas, J., Dunbar, N., Rodriguez, D. & Liu, S. J. (2011). A review of humor in educational settings: Four decades of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60(1), 115-144. https://doi.org/10.1080/03634523.2010.496867
- Berge, M. (2017). The role of humor in learning physics: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7(2), 427-450. https://doi.org/10.1007/s11165-015-9508-4
- Christensen, A. P., Silvia, P. J., Nusbaum, E. C. & Beaty, R. E. (2018). Clever people: Intelligence and humor production abil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2), 136-143. https://doi.org/10.1037/aca0000109
- Garner, R. L. (2006). Humor in pedagogy: How ha-ha can lead to aha!. College Teaching, 54(1), 177-180. https://doi.org/10.3200/CTCH.54.1.177-180
- Greengross, G., Martin, R. A. & Miller, G. (2012). Per- sonality traits, intelligence, humor styles, and humor production ability of professional stand-up comedians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6(1), 74. https://doi.org/10.1037/a0025774
- Kellerby, D. K. (2011). Effective use of humor in a secondary scienc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 Lamminpaa, J. & Vesterinen, V. (2018). The use of humour during a collaborative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4), 1718-173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8.1508926
- Martin, R. A. (2001). Humor, laughter and physical health methodological issues and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7(4), 504-519. https://doi.org/10.1037/0033-2909.127.4.504
- Nusbaum, E. C. (2015).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humor production and personality (Un-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 Renzulli, J. S. & Hartman, R. K. (1971).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3), 243-248. https://doi.org/10.1177/001440297103800309
- Roth, W. M., Ritchie, S. M., Hudson, P. & Mergard, V. (2011). A study of laughter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5), 437-458. https://doi.org/10.1002/tea.20412
- Ruch, W. & Hehl, F.-J. (1998). A two-mode model of humor appreciation: Its relation to aesthetic appreciation and simplicity-complexity of personality. In Ruch, W. (ed), The sense of humor: Explorations of a per- sonality characteristic. New York: Mouton de Gruyter.
- Thorson, J. A. & Powell, F. C. (199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nse of humor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9(1), 13-23. https://doi.org/10.1002/1097-4679(199301)49:1<13::AID-JCLP2270490103>3.0.CO;2-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