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umorous scenes shown in animation such as types of humor, frequency of humor, hours of humor, and correlation between subject of humor and supporting role. As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and that recorded the ten-times different number of audiences even though both works were produced by the same studio called 'Odolttogi'.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two works, there were differences. Draw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or, the frequency of humor should be a lot more shown in the early to mid part than the latter part, and there should be diverse types of humor. And the frequency of humor by main characters should be increased. When the types of supporting roles were more diverse, the tendency of humor was also shown diversely. Also, the humor that was formed within relationships of character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humor formed alone. Through the slapstick or linguistic comedy in which such interactions are shown into actions, more diverse verbal plays could be shown. These elements could make it possible for animated works to diversely express more creative and funnier scenes of humor.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유머 장면을 유머 유형과 유머 빈도수, 유머 시간, 그리고 유머 주체와 조연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같은 오돌또기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작품이었지만 관객 수에서 10배의 차이를 기록한 <언더독>과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유머 장면을 추출하여 타당도 검사를 한 후 앙리 베르그송 웃음 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후반부보다 초 중반부에 유머 빈도수가 많아야 하며, 유머 유형의 다양성이 필요하였다. 주인공의 유머 빈도수가 높아야 하고, 조연들의 유형이 다양할수록 유머의 성향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머는 혼자보다 등장인물들의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유머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등장인물들의 상호작용은 행동으로 나타나는 슬랩스틱이나 언어코믹으로 다양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애니메이션 작품을 보다 독창적이고 재미있게 하며 다양한 유머 장면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